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
1. 교육정치학의 태동 = 13
2. 교육정치학의 탐구영역 = 19
3.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과 전망 = 32
제2장 교육선발의 정치학
1. 교육선발과 정치학 = 43
2. 교육선발의 사회적·정치적 의미 :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의 예를 중심으로 = 48
3. 우리 나라 교육선발의 정치학적 분석 = 55
4. 교육 선발의 정치학에서 교육 선발의 교육학으로 = 76
제3장 1980년대 교육개혁의 정치적 의미와 교육적 의미 : 졸업정원제와 과외금지 정책을 중심으로
1. 정치를 위한 교육개혁과 교육을 위한 정치 = 79
2. 7.30 교육개혁의 전개과정과 주요 내용 = 83
3. 7.30 교육개혁안의 정치적 의미와 교육적 의미 : 졸업정원제와 과외금지 정책을 중심으로 = 90
4. 교육개혁에 대한 정치적 접근의 한계 = 110
제4장 교육정치학적 관점에서 본 교사 양성 체제
1. 교육정치학적 관점과 교사 양성 체제 = 115
2. 교육정치학적 관점에서 본 교사양성체제의 성립과 전개 과정 = 117
3. 교사 양성 체제에 대한 기술적 합리성 가정 = 126
4. 교사 양성 체제에 대한 대안적 논의 = 132
5. 교사 양성 체제와 교육학 = 137
제5장 교육자치 의미와 전망 : 지방교육자치제도를 중심으로
1. 교육자치를 보는 관점 = 141
2. 전통적인 교육자치 논의의 한계 = 144
3.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과 교육의 개념간의 분화가 교육자치에 주는 시사점 = 148
4.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문제와 개선방향 = 155
5. 결론 = 162
제6장 홈스쿨(Home School)의 교육적·정치적 의미
1. 홈스쿨의 개념과 문제인식 = 165
2. 홈스쿨의 배경 = 167
3. 홈스쿨의 현황 : 미국을 중심으로 = 174
4. 홈스쿨의 교육적·정치적 의미 = 179
5. 홈스쿨의 한국에의 적용 가능성 = 189
제7장 21세기 교육개혁과 교육정치학 :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1. 교육개혁과 학교붕괴 = 193
2. 20세기형 학교체제의 위기 요인 = 196
3. 21세기 교육개혁 전망 :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 208
4. 21세기 교육개혁의 교육정치학적 함의 = 221
제8장 교육기관 평가의 배경과 의의
1. 시·도 교육청 평가 = 225
2. 학교평가 = 233
3. 대학평가 = 242
제9장 교육정책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탐색
1. 분석의 틀 = 251
2. 실증주의 접근 = 255
3. 후기 실증주의 접근 = 258
4. 비판 이론 접근(Ⅰ) : Habermas = 263
5. 비판이론 접근 (Ⅱ) : Comstock과 Fay = 267
6. 교육정책 연구의 전망 = 271
참고문헌 = 275
인명색인 = 295
내용색인 =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