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2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722827 | |
005 | 20100807035918 | |
007 | ta | |
008 | 011022s2001 ulk 000a kor | |
020 | ▼a 8987192083 ▼g 94330: ▼c \8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201076 ▼f 개가 ▼l 111201077 ▼f 개가 |
082 | 0 4 | ▼a 331 ▼2 21 |
090 | ▼a 331 ▼b 2001b | |
110 | ▼a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 |
245 | 1 0 | ▼a 신자유주의 시대, 노동자의 희망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 ▼d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지음. |
260 | ▼a 서울 : ▼b 현장에서미래를 , ▼c 2001. | |
300 | ▼a 168 p. ; ▼c 23 cm. | |
490 | 0 0 | ▼a 노동이론정책총서 ; ▼v 08 |
504 | ▼a 참고문헌 : p. 167-168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 2001b | 등록번호 1112010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 2001b | 등록번호 1112010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 2001b | 등록번호 1511158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 2001b | 등록번호 1511158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 2001b | 등록번호 1112010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 2001b | 등록번호 1112010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 2001b | 등록번호 1511158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 2001b | 등록번호 1511158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노동과 자본의 격돌 속에서도 여전히 노동 내부에서는 경제발전, 사회발전이라는 미명하에 현실가능성, 대안있는 정책 등을 근거로 사실상 자본에 대한 노동자의 양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다. 때로는 '합리적 구조조정'이라는 목소리, 대로는 '구조조정 피해 최소화' '정책대안론' 등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반노동자적 이데올로기와 그에 기반한 계급협조적-노자협조적 기류가 그것이다.
이 책은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가 창립 6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심포지엄을 준비하면서 제출된 글을 모은 것이다. 진보운동내의 신자유주의적 경향과 논쟁을 본격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현재 드러나고 있는 양상이나 그 직접적인 배경만이 아니라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에 대한 세계사적, 거시적 접근과 현 국면에 대한 규명, 그리고 그에 맞서고 있는 전세계·민중의 움직임과 한국노동자계급의 투쟁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데에 이르렀다. 연구소는 그 내용을 "신자유주의 시대, 노동자의 희망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로 모아서 이 책을 구성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 4 1주제 신자유주의 시대와 저항운동 : 세계사적 차원에서 / 김세균 = 9 2주제 친자본 '진보' 이데올로기 : 경제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 채만수 = 47 3주제 시민적 이슈와 시민운동에 대한 민중적 관심 : 일반민주주의투쟁과 노동운동 / 조희연 = 71 4주제 신자유주의 시대, 노동자의 희망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 정병기 외 =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