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자의 뿌리. 1 (47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언종, 1952-
서명 / 저자사항
한자의 뿌리. 1 / 김언종 지음
발행사항
파주 :   문학동네,   2001,   (2009)  
형태사항
564 p., 도판 [2]장 : 삽화 ; 23 cm
ISBN
898281423X 8982814221 (전2권) 9788982814235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687camcc2200241 c 4500
001 000000722397
005 20111018093856
007 ta
008 011017s2001 ulkaf 001c kor
020 ▼a 898281423X ▼g 04810
020 1 ▼a 8982814221 (전2권)
020 ▼a 9788982814235
035 ▼a (KERIS)BIB000008052390
040 ▼a 241050 ▼c 241050 ▼d 211009
082 0 4 ▼a 495.711 ▼2 22
085 ▼a 497.11 ▼2 DDCK
090 ▼a 497.11 ▼b 2001c ▼c 1
100 1 ▼a 김언종, ▼d 1952- ▼0 AUTH(211009)104105
245 1 0 ▼a 한자의 뿌리. ▼n 1 / ▼d 김언종 지음
260 ▼a 파주 : ▼b 문학동네, ▼c 2001, ▼g (2009)
300 ▼a 564 p., 도판 [2]장 : ▼b 삽화 ; ▼c 23 cm
500 ▼a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011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0111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4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762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762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762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762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4101160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중앙도서관/지정도서실/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76254 도서상태 지정도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9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92044665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10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약헌 497.11 2001c 1 등록번호 912016208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1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210804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210804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211892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211898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511177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512270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512270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011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0111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4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762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762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762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762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4101160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중앙도서관/지정도서실/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11276254 도서상태 지정도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9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92044665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10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약헌 497.11 2001c 1 등록번호 912016208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210804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210804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211892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211898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511177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512270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11 2001c 1 등록번호 1512270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며 시사(時事)와도 밀접한 용어 323개(1298자)를 골라 글자의 뿌리와 형성 과정, 원래의 뜻과 현재 널리 쓰이는 뜻, 그리고 용례의 근원을 밝힌 『한자의 뿌리』(전2권)가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최근의 '한자 경시 풍조'에 대해 저자는 "한문은 예나 지금이나 외국어 문장이지만, 우리가 일상 언어 생활에서 쓰고 있는 한자 단어는 우리 민족이 우리 문법과 어법에 끌어들여, 우리 민족의 생리와 사고방식에 맞춰 천년 이상이나 갈고 닦으며 활용해온 어엿한 우리 '국어'"라며 한문의 위상을 다지고, 한글 전용을 제대로 실천하기 위해서라도 형(形:꼴) 음(音:소리) 의(義:뜻)를 알아 한글로 표기된 한자 낱말이라도 국어사전 없이 그 뜻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출간 의도를 밝히고 있다. 한자의 '뿌리'를 찾는 즐거움저자는 책머리에서 이 책을 읽고 한자학 방면에서 무언가 얻으려는 독자에게 "한자의 자원(字源)에 대해 가지고 있던 기존의 상식을 잊어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그만큼 중일(中日) 학자들이 혹시라도 알까봐 조바심 나는 기상천외한 곡설이 우리나라 한자학계에 난무하고 있는 터. 이 책에서는 저자의 안내로 제대로 된 의미를 익히는 즐거움이 크다. 순 우리말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면 한자어인 낱말이 적지 않다. 가게[假家], 서랍[舌盒], 단지, 김치[沈菜], 고추[苦椒], 피리 등이 있다. '곤두박질'도 그중 하나인데 근두와 박질이 그 정체이다. 위의 경우 말고도 많은 예가 저자에 의해 밝혀진다. 괴이한 내력을 가진 맹(孟)자는 아이의 상형 子(자)와 그릇의 상형 皿(명)을 더한 '맏이'다. 고대 중국 남방의 일부지역에서는 맏아들을 잡아 먹는 괴상한 습속이 있었다 한다. 이는 묵자(『墨子』)에 나오는 말로서 '아우를 위해서'였다고 한다. 더 끔찍한 일은 "맛있는 것은 임금에게 바치는데 임금이 기분이 좋으면 그 애비에게 상을 주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孟자에서 子는 맏아들이자 이미 맛있게 요리된 음식이요, 皿은 요리를 담은 그릇이다. 최근에는 그 사용이 적어졌지만 한때 사회적 성취도가 높은 여성에게 붙는 말이었던 여류(女流)의 본뜻은 무엇일까. 女(녀)는 겹처 모은 두 손을 허벅지 위에 얹은 채 '다소곳이 꿇어앉은 여자'의 상형이다. 流(류)는 '죽은 아이를 물에 버리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현재 모양에서도 두 개의 물과 거꾸로 놓인 아이 子자를 찾아볼 수 있다. 물 수가 두 번이나 쓰였으니 물이 흘러간다는 뜻이 생기고 '세월이 흐른다', '무리'라는 뜻이 생겨난 것이다. 그런데 여류는 원래 기생(妓生)을 뜻하는 말이었다. 송나라 오자목(吳自牧)이 쓴 『몽량록(夢梁錄)』에 "지금 항주의 여류 웅보보와 후배 계집아이들이 모두이(당나라 때의 단편소설을 각색한 희곡)를 본받고 있는데 사설 솜씨와 노래 솜씨가 빼어났다"라는 기록도 있다. 또한 명대의 희곡 고명(高明)의 『비파기(琵琶記)』에는 "마누라는 아녀자일 뿐이니 제까짓 게 무얼 알겠습니까"라는 기록이 있는데 여기서는 여류가 하찮은 부녀자의 뜻으로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이 책에는 323개의 한자어와 1298자의 한자의 숨은 뜻이 그 근원과 함께 밝혀져 있어 평소 어려워하던 한문의 원리를 쉽게 깨우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마다 들어 있는 삽화는 재미와 함께 이해를 돕는다. 문자의 역사와 함께 한자의 원리 익히기한자가 탄생되기 시작한 시기는 단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오늘날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문자는 상(商)나라 때 갑골(甲骨)에 새겨놓은 글자 갑골문과 청동기에 새겨놓은 글자 금문(金文)이지만 상나라 문자가 이미 상당 수준 발달한 것이므로 실제 한자가 탄생된 시기는 하(夏)나라 혹은 훨씬 이전의 시기인 신석기시대라 추측할 수 있다. 진(秦)나라는 통일왕조를 건립한 후 문자를 통일할 것을 주장하고 진나라의 문자에 부합하지 않은 것을 모두 없애버렸다. 이로써 소전(小篆)이 나오게 되었다. 갑골문에서 시작하여 현재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반듯한 한자[해서(楷書) 혹은 정해(正楷)라 부른다]를 쓰게 되기까지 한자를 쓰는 방법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 책에서는 갑골과 금문, 소전까지의 한자 자형의 변천과정을 살피고 있다. 갑골과 금문에 비해 소전은 형체도 간단하고 구조도 가지런하며 쓰는 방법도 일정한 규범을 지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편방(偏旁)을 취하고 있는 여러 글자는 그 편방을 쓰는 방법과 위치가 모두 일정하였다. 문자가 체계화되는 발판이 되었던 것이다. 이후 소전이 점차 발전하여 진한시대의 예서(隸書)를 거쳐 오늘날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정해로 한자 형태가 변천하게 되었다. 저자 소개김언종(金彦種) 1952년 경북 안동 출생하여 1978년 경희대학교 국문과 졸업했다. 1987년 국립대만사범대학 대학원 졸업(중국문학 석사.박사). 경희대 중문과 조교수, 부교수(1985~1994) 역임. 현재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漢宋實用文與朝鮮丁茶山文學論之硏究』 『丁茶山論語古今註原義總括考徵』, 공역서로는 『漢字의 歷史』 『正體傳重辨』 『茶山과 文山의 人性論爭』 『茶山과 臺山?淵泉의 經學論爭』 『茶山의 經學認識』 등이 있다. 이 책에 대하여한자는 글자 하나하나마다 창제(創製)와 형성(形成)의 원리가 있고 독특한 뜻이 들어 있음을 알고는 있지만 그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이제 김 교수의 책을 읽으니 그간의 모든 의문이 여름날 얼음 녹듯 풀린다. 중국 문자학계의 업적을 쉽고도 친절하게 소개하고 자신이 터득한 견해를 제시한 이 책이 오래오래 독자들의 사랑을 받을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李佑成(학술원 회원.민족문화추진회 회장)나는 오래 전부터 이 시대의 모든 사람들에게 한자 교육이 한글 교육과 꼭 같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고 그 구체적인 방법을 나름대로 고심해왔다. 이제 김 교수의 책을 보니 재미있게 씌어져 있을 뿐 아니라 한자 하나하나의 구성원리와 낱말의 정확한 용례까지도 알기 쉽게 되어 있다. 한자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매우 좋은 교재가 될 것으로 믿고 널리 추천한다. ―李龍兌(삼보컴퓨터 명예회장)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며 시사(時事)와도 밀접한 용어 323개(1298자)를 골라 글자의 뿌리와 형성 과정, 원래의 뜻과 현재 널리 쓰이는 뜻, 그리고 용례의 근원을 밝힌 『한자의 뿌리』(전2권)가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최근의 '한자 경시 풍조'에 대해 저자는 “한문은 예나 지금이나 외국어 문장이지만, 우리가 일상 언어 생활에서 쓰고 있는 한자 단어는 우리 민족이 우리 문법과 어법에 끌어들여, 우리 민족의 생리와 사고방식에 맞춰 천년 이상이나 갈고 닦으며 활용해온 어엿한 우리 '국어'”라며 한문의 위상을 다지고, 한글 전용을 제대로 실천하기 위해서라도 형(形:꼴) 음(音:소리) 의(義:뜻)를 알아 한글로 표기된 한자 낱말이라도 국어사전 없이 그 뜻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출간 의도를 밝히고 있다. 한자의 '뿌리'를 찾는 즐거움저자는 책머리에서 이 책을 읽고 한자학 방면에서 무언가 얻으려는 독자에게 “한자의 자원(字源)에 대해 가지고 있던 기존의 상식을 잊어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그만큼 중일(中日) 학자들이 혹시라도 알까봐 조바심 나는 기상천외한 곡설이 우리나라 한자학계에 난무하고 있는 터. 이 책에서는 저자의 안내로 제대로 된 의미를 익히는 즐거움이 크다. 순 우리말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면 한자어인 낱말이 적지 않다. 가게[假家], 서랍[舌盒], 단지, 김치[沈菜], 고추[苦椒], 피리 등이 있다. '곤두박질'도 그중 하나인데 근두와 박질이 그 정체이다. 위의 경우 말고도 많은 예가 저자에 의해 밝혀진다. 괴이한 내력을 가진 맹(孟)자는 아이의 상형 子(자)와 그릇의 상형 皿(명)을 더한 '맏이'다. 고대 중국 남방의 일부지역에서는 맏아들을 잡아 먹는 괴상한 습속이 있었다 한다. 이는 묵자(『墨子』)에 나오는 말로서 '아우를 위해서'였다고 한다. 더 끔찍한 일은 “맛있는 것은 임금에게 바치는데 임금이 기분이 좋으면 그 애비에게 상을 주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孟자에서 子는 맏아들이자 이미 맛있게 요리된 음식이요, 皿은 요리를 담은 그릇이다. 최근에는 그 사용이 적어졌지만 한때 사회적 성취도가 높은 여성에게 붙는 말이었던 여류(女流)의 본뜻은 무엇일까. 女(녀)는 겹처 모은 두 손을 허벅지 위에 얹은 채 '다소곳이 꿇어앉은 여자'의 상형이다. 流(류)는 '죽은 아이를 물에 버리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현재 모양에서도 두 개의 물과 거꾸로 놓인 아이 子자를 찾아볼 수 있다. 물 수가 두 번이나 쓰였으니 물이 흘러간다는 뜻이 생기고 '세월이 흐른다', '무리'라는 뜻이 생겨난 것이다. 그런데 여류는 원래 기생(妓生)을 뜻하는 말이었다. 송나라 오자목(吳自牧)이 쓴 『몽량록(夢梁錄)』에 “지금 항주의 여류 웅보보와 후배 계집아이들이 모두이(당나라 때의 단편소설을 각색한 희곡)를 본받고 있는데 사설 솜씨와 노래 솜씨가 빼어났다”라는 기록도 있다. 또한 명대의 희곡 고명(高明)의 『비파기(琵琶記)』에는 “마누라는 아녀자일 뿐이니 제까짓 게 무얼 알겠습니까”라는 기록이 있는데 여기서는 여류가 하찮은 부녀자의 뜻으로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이 책에는 323개의 한자어와 1298자의 한자의 숨은 뜻이 그 근원과 함께 밝혀져 있어 평소 어려워하던 한문의 원리를 쉽게 깨우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마다 들어 있는 삽화는 재미와 함께 이해를 돕는다. 문자의 역사와 함께 한자의 원리 익히기한자가 탄생되기 시작한 시기는 단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오늘날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문자는 상(商)나라 때 갑골(甲骨)에 새겨놓은 글자 갑골문과 청동기에 새겨놓은 글자 금문(金文)이지만 상나라 문자가 이미 상당 수준 발달한 것이므로 실제 한자가 탄생된 시기는 하(夏)나라 혹은 훨씬 이전의 시기인 신석기시대라 추측할 수 있다. 진(秦)나라는 통일왕조를 건립한 후 문자를 통일할 것을 주장하고 진나라의 문자에 부합하지 않은 것을 모두 없애버렸다. 이로써 소전(小篆)이 나오게 되었다. 갑골문에서 시작하여 현재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반듯한 한자[해서(楷書) 혹은 정해(正楷)라 부른다]를 쓰게 되기까지 한자를 쓰는 방법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 책에서는 갑골과 금문, 소전까지의 한자 자형의 변천과정을 살피고 있다. 갑골과 금문에 비해 소전은 형체도 간단하고 구조도 가지런하며 쓰는 방법도 일정한 규범을 지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편방(偏旁)을 취하고 있는 여러 글자는 그 편방을 쓰는 방법과 위치가 모두 일정하였다. 문자가 체계화되는 발판이 되었던 것이다. 이후 소전이 점차 발전하여 진한시대의 예서(隸書)를 거쳐 오늘날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정해로 한자 형태가 변천하게 되었다. 저자 소개김언종(金彦種) 1952년 경북 안동 출생하여 1978년 경희대학교 국문과 졸업했다. 1987년 국립대만사범대학 대학원 졸업(중국문학 석사.박사). 경희대 중문과 조교수, 부교수(1985~1994) 역임. 현재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漢宋實用文與朝鮮丁茶山文學論之硏究』 『丁茶山論語古今註原義總括考徵』, 공역서로는 『漢字의 歷史』 『正體傳重辨』 『茶山과 文山의 人性論爭』 『茶山과 臺山?淵泉의 經學論爭』 『茶山의 經學認識』 등이 있다. 이 책에 대하여한자는 글자 하나하나마다 창제(創製)와 형성(形成)의 원리가 있고 독특한 뜻이 들어 있음을 알고는 있지만 그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이제 김 교수의 책을 읽으니 그간의 모든 의문이 여름날 얼음 녹듯 풀린다. 중국 문자학계의 업적을 쉽고도 친절하게 소개하고 자신이 터득한 견해를 제시한 이 책이 오래오래 독자들의 사랑을 받을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李佑成(학술원 회원.민족문화추진회 회장)나는 오래 전부터 이 시대의 모든 사람들에게 한자 교육이 한글 교육과 꼭 같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고 그 구체적인 방법을 나름대로 고심해왔다. 이제 김 교수의 책을 보니 재미있게 씌어져 있을 뿐 아니라 한자 하나하나의 구성원리와 낱말의 정확한 용례까지도 알기 쉽게 되어 있다. 한자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매우 좋은 교재가 될 것으로 믿고 널리 추천한다. ―李龍兌(삼보컴퓨터 명예회장)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언종(지은이)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경희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사범대학 대학원에서 중국문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희대학교 중문과 조교수와 부교수를 역임했고,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송실용문학여조선정다산문학론지연구』, 『정다산논어고금주원의총괄고징』, 『한자의 뿌리』, 『한자어 의미 연원사전』(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정체전중변』, 『다산과 문산의 인성논쟁』, 『다산과 대산·연천의 경학논쟁』, 『다산의 경학세계』, 『역주 시경강의』, 『외암 이간의 철학과 삶』(이상 공역), 『한자의 역사』, 『혼돈록』 등이 있다. 주요 판본교열 및 표점 작업으로 『정본 여유당전서』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권
 책머리에 = 5
 가족家族 = 17
 가차假借 = 20
 간담肝膽 = 24
 간섭干涉 = 27
 간지干支 = 30
 간첩間諜 = 37
 감사感謝 = 41
 감시監視 = 44
 강감찬姜邯贊 = 47
 개혁改革 = 51
 거북龜卜 = 54
 건강健康 = 57
 건배乾杯 = 60
 검찰檢察 = 63
 결백潔白 = 66
 결혼結婚 = 69
 경선競選 = 72
 경제經濟 = 75
 경찰警察 = 78
 계란鷄卵 = 81
 계발啓發 = 83
 계산計算 = 87
 고로高爐 = 90
 고부姑婦 = 94
 고향故鄕 = 97
 공갈恐喝 = 100
 공약公約 = 105
 공인公人 = 108
 과욕過慾 = 111
 과학科學 = 114
 관광觀光 = 117
 관혁貫革 = 121
 광복光復 = 124
 광음光陰 = 127
 교량橋樑 = 132
 교수敎授 = 135
 교체交替 = 138
 교통交通 = 140
 구룡九龍 = 143
 권력權力 = 146
 귀순歸順 = 149
 극일克日 = 152
 극장劇場 = 155
 근두박질근頭撲跌 = 158
 금수禽獸 = 162
 금연禁煙 = 166
 금융金融 = 168
 기氣 = 171
 기권棄權 = 174
 기독基督 = 176
 기만欺瞞 = 179
 기아飢餓 = 182
 기아起亞 = 186
 길흉吉凶 = 189
 김치沈菜 = 191
 남산南山 = 195
 내홍內訌 = 199
 뇌졸중腦卒中 = 202
 누란累卵 = 205
 능지凌遲 = 208
 단배團拜 = 213
 단절斷絶, 계승繼承 = 216
 답답沓沓 = 220
 당신當身 = 223
 대란大亂 = 228
 대통령大統領 = 231
 덕담德談 = 234
 도력道力 = 237
 도서島嶼 = 240
 도적盜賊 = 244
 독도獨島 = 249
 독설毒舌 = 252
 돌진突進 = 255
 동冬 = 259
 동네同內 = 262
 동무同舞 = 264
 동본혼同本婚 = 266
 동생同生 = 270
 동서東西 = 273
 띠支 = 275
 만세萬歲 = 277
 만화漫畵 = 280
 망명亡命 = 283
 매매賣買 = 285
 명복冥福 = 288
 명쾌明快 = 291
 명함名銜 = 294
 목탁木鐸 = 297
 몽夢 = 301
 무고誣告 = 304
 무기武器 = 307
 무당巫堂 = 307
 문화文化 = 313
 물건物件 = 315
 미국美國 = 318
 미망인未亡人 = 321
 미소微笑 = 325
 민주民主 = 330
 민초民草 = 332
 박사博士 = 335
 반장班長 = 339
 백성百姓 = 343
 백전백승百戰百勝 = 346
 번호番號 = 350
 법法 = 354
 변수變數 = 358
 병역兵役 = 361
 병원病院 = 365
 보배寶貝 = 369
 보복報復 = 372
 보수保守 = 375
 보편普遍 = 378
 복제複製 = 381
 부침浮沈 = 384
 북풍北風 = 389
 분당分黨 = 393
 분묘墳墓 = 396
 불佛, 사寺, 승僧 = 399
 불살不殺 = 403
 붕우朋友 = 406
 비겁卑怯 = 410
 비밀秘密 = 413
 비행기飛行機 = 416
 빈부貧富 = 419
 빙부聘父, 빙모聘母 = 422
 사과謝過, 사죄謝罪 = 425
 사대事大 = 429
 사돈査頓 = 432
 사랑思量 = 435
 사면赦免 = 438
 사양仕樣 = 442
 사전辭典 = 446
 사정司正 = 449
 사진寫眞 = 452
 사회社會 = 455
 삼복三伏 = 458
 삼촌三寸 = 464
 삼한사온三寒四溫 = 466
 상가商街 = 469
 서불徐佛 = 472
 석별惜別 = 476
 선물膳物 = 479
 선생先生 = 482
 성균관成均館 = 485
 성탄절聖誕節 = 490
 세모歲暮 = 494
 소주燒酒 = 497
 쇠약衰弱 = 500
 수고受苦 = 506
 수능修能 = 510
 수사搜査 = 513
 수치搜恥 = 516
 숙맥菽麥 = 519
 습득拾得 = 522
 승강昇降 = 525
 시댁媤宅 = 528
 시장市場 = 530
 식모食母 = 533
 신문新聞 = 535
 신앙信仰 = 538
 신포新浦 = 541
 심천深淺 = 543
 주요 참고서 = 547
 찾아보기 = 548
2권
 아성 牙城 = 571
 아첨 阿諂 = 574
 악마 惡魔 = 577
 안녕 安寧 = 580
 안주 按酒 = 583
 압구정 狎鷗亭 = 587
 액취 腋臭 = 590
 야 野 = 593
 야합 野合 = 596
 약 藥 = 600
 약속 約束 = 607
 어부 漁夫 = 610
 어용 御用 = 614
 억장 億丈 = 617
 억장 輿論 = 620
 여류 女流 = 623
 연등燃燈 = 626
 연방聯邦 = 629
 연예인演藝人 = 633
 연착륙軟着陸 = 637
 연휴連休 = 641
 염화시중拈花示衆 = 643
 영식令息, 영애令愛 = 646
 영욕榮辱 = 650
 영웅英雄 = 653
 오답誤答 = 657
 오만傲慢 = 661
 옥편玉篇 = 663
 온실溫室 = 666
 완장阮丈 = 669
 왜倭 = 672
 외가外家 = 675
 요구要求 = 677
 요정妖精 = 679
 용서容恕 = 683
 용인술用人術 = 686
 우울憂鬱 = 689
 원단元旦 = 692
 원인原因 = 695
 월북越北 = 697
 위기危機 = 700
 유골遺骨 = 703
 유괴誘拐 = 706
 유교儒敎 = 709
 유언비어流言蜚語 = 712
 육포단肉浦團 = 715
 은닉隱匿 = 718
 음모陰謀 = 720
 음주飮酒 = 723
 의리義理 = 726
 의사醫師 = 732
 이력履歷 = 736
 이해利害 = 739
 인물人物 = 742
 인민人民 = 745
 인사人事 = 748
 인색吝嗇 = 750
 인수引受 = 753
 인형人形 = 756
 임거정林巨正 = 759
 자기自己 = 762
 자녀子女 = 764
 자당慈堂 = 768
 자매姉妹 = 772
 장葬 = 775
 장롱欌籠 = 778
 장모丈母 = 781
 장원壯元 = 783
 장인丈人 = 786
 재상宰相 = 788
 재앙災殃 = 790
 재원才媛 = 793
 저축貯蓄 = 796
 전쟁戰爭 = 799
 전철前轍 = 801
 전철電鐵 = 804
 절체절명絶體絶命 = 808
 접안接岸 = 812
 정년停, 定年 = 816
 제수弟嫂 = 820
 조상祖上 = 823
 조선朝鮮 = 826
 좌우左右 = 829
 좌절挫折 = 831
 주역周易 = 834
 주유注油 = 838
 주체主體 = 841
 준비準備 = 844
 지록위마指鹿爲馬 = 846
 지옥地獄 = 850
 차선次善 = 853
 창업創業, 수성守成 = 856
 창피猖披 = 860
 책임責任 = 863
 처첩妻妾 = 866
 천착穿鑿 = 869
 청구靑丘 = 872
 청문회聽聞會 = 875
 체육體育 = 878
 초상初喪 = 881
 초청招請 = 883
 추석秋夕 = 886
 축대築臺 = 889
 축하祝賀 = 892
 춘곤春困 = 895
 춘부장椿府丈 = 898
 출마出馬 = 901
 충신忠臣 = 905
 취임就任 = 908
 치매癡매 = 911
 친척親戚 = 914
 칠판漆板 = 916
 침대寢臺 = 919
 침장沈藏 = 922
 쾌유快癒 = 925
 타협妥協 = 928
 탐색探索 = 931
 태극太極 = 933
 퇴직退職 = 936
 투쟁鬪爭 = 940
 파산破産 = 943
 파업罷業 = 946
 판례判例 = 949
 팽烹 = 952
 폐弊 = 955
 포행暴行 = 958
 폭로暴露 = 961
 풍년豊年 = 964
 필사必死 = 967
 하夏 = 970
 하야下野 = 973
 학문學問 = 976
 학벌學閥 = 979
 한강漢江 = 982
 한국韓國 = 986
 한심寒心 = 989
 합종연횡合縱連橫 = 991
 항룡亢龍 = 995
 항상恒常 = 998
 해결解決 = 1002
 해고解雇 = 1004
 해정解정 = 1006
 향항香港 = 1009
 헌금獻金 = 1012
 형님兄任 = 1016
 형평衡平 = 1019
 호가呼價 = 1021
 호랑이虎狼이 = 1025
 혼수昏睡 = 1028
 화복禍福 = 1030
 화성火星 = 1033
 화신花信 = 1036
 환경環境 = 1039
 황제皇帝 = 1042
 횡설수설橫說竪說 = 1045
 효孝 = 1050
 후회後悔 = 1054
 훤당萱堂 = 1057
 휘지비지 諱之비之 = 1061
 흑자黑字 = 1064
 희석稀釋 = 1067
한자란 무엇인가 = 1071
주요 참고서 = 1124
찾아보기 = 112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