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초판 간행사 = 19
증보판 간행사 = 21
자서(自敍)
인생 회고록 = 33
1. 서장(序章) = 33
서두(序頭)에 = 33
어린 시절 = 34
교육계 20년 = 36
해방 정계에서 활약 = 37
초대 주미 대사 시절 = 38
제2대 국무 총리 취임 = 40
중책 맡은 유엔 대표 = 42
민주당 창당 = 45
2. 부통령 시절 = 47
'못살겠다 갈아 보자' = 47
청천 벽력 해공 급서(急逝) = 50
'죄없는 죄인' 부통령 = 53
잇따른 부통령 후보의 액운 = 56
유석 서거와 3·15 부정 선거 = 59
민권 승리를 위한 부통령직 사임 = 63
3. 제2 공화국 정치 백서 = 67
국무 총리 인준 경위 = 67
조각의 참담한 진통 = 71
자유하의 갖가지 시련 = 73
경제 제일주의 정책 = 77
일반의 의혹을 해명하며 = 80
세칭 청와대 4자 회담 = 83
8개월 집권 자가 비판 = 86
4. 침묵의 세월 = 89
집권 18일만에 쿠데타 모의 = 89
5·16 비화 = 91
오직 사학(史學)의 평가만이 = 96
결언(結言), 침묵 속의 기도 = 97
6·25 동란과 워싱턴 = 100
6·25 사흘 전 덜레스의 언약 = 100
워싱턴에서의 6·25 = 104
미군파병이 결정되기까지 = 108
전세계에 방송된 울분의 연설 = 113
나의 부통령직 4년 = 117
의로운 민주 혁명 4·19 = 117
민주 보루의 등대수로서 = 119
대통령이 증오하는 부통령 = 122
공관에서의 민주 투쟁 = 126
부패는 더해 가고 = 129
보안법 반대 투쟁 = 131
차의 양쪽 수레바퀴 = 133
절망을 뚫고 일어서는 국민 = 134
결언-사임의 이유 = 136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 138
그리스도교의 영향력 = 138
종교와 사회 및 정치 생활 = 140
가톨릭 정치가의 감화 = 142
그리스도교 교육가의 사도적 사명 = 143
근로 대중 = 144
기술적 원조 = 145
가톨릭교 사회 봉사의 구실 = 146
언론의 힘 = 147
교회와 신흥 국민 = 149
백사장의 유언을 따르리 = 151
선거 유세차 강행군 = 151
백사장에서의 흥분과 호남선 열차 = 152
눈물의 선거전을 치르고 = 153
백사장 유언 어찌 잊으랴 = 155
연설문집
아시아를 위한 한국의 고투 = 159
민주당 부통령 후보 담화 = 163
부통령 당선에 감격하여 나의 소신을 피력한다 = 165
부통령 광복절 기념 연설 = 169
정치 도의심의 확립 = 169
나의 시정 방침 다섯 가지 = 170
민주당 부통령 후보 지방 유세 1(대구) = 174
짝잃은 외기러기의 비애 = 174
부통령 탄압은 전국민에 대한 모독 = 176
모든 인권은 하느님이 주신 것 = 179
모든 자유를 보장해 = 181
민주당 부통령 후보 지방 유세 2(부산) = 184
부통령직 사임 성명 = 186
국무 총리 국회에서의 시정 방침 연설 1 = 189
국무 총리 민의원에서의 시정 연설 2 = 193
제2 공화국 경축사 = 196
국무 총리 민의원에서의 시정 연설 3 = 199
유엔 정치 위원회 결정에 대한 국무 총리 특별 담화문 = 203
4·19 기념사 요지 = 205
국무 총리 경제 시정 연설 = 208
제5회 신문 주간 기념 연설 = 210
4·19는 민주의 가능성 = 210
민주 역량 과시가 민주당 정부 목표 = 211
난동과 폭력이 위협 요소 = 213
내각 약체설에 대해 = 215
부정·부패의 제거 = 216
언론인의 채무 = 218
민주 정치의 챔피언 = 222
세계 만방에 호소한다 = 225
신앙 백서
구약 성경의 역사적 가치 = 231
서언 = 231
역사로서의 성경 = 232
결론 = 239
교회의 유일성 = 241
옥스퍼드 운동의 전망 = 253
가톨릭 액션이란 = 261
정의 = 261
목적 = 262
기능의 성격과 범위 = 262
필요성 = 263
참가할 본분 = 263
고등 성직 계급 = 265
성직자 = 266
회원의 자격과 훈련 = 266
사회 경제 활동 = 267
정치 문제 = 267
노동 문제 = 269
학계와의 협조 = 269
부활의 교훈 = 271
반세기 유서 깊은 호교서 "교부들의 신앙" = 273
신앙 생활의 반려 = 273
획기적인 출판 효과 = 276
프로테스탄트 형제들과 왜 대화를 해야 하나 = 279
합일의 필요성 절실 = 279
진리와 사랑의 공통점 찾아 = 280
일반의 교회관 비판 = 283
서언 = 283
형식주의 = 283
현실과 인간 부정 = 284
폐쇄적이고 독선적 = 285
영적 지도 = 287
1. 촛불 하나 켜 들고 나서자 = 287
2. 참고 용서하자 = 288
3. '미지근'한 자 되지 말자 = 290
4. 한담 유벌 = 294
5. 세라회에 대하여 = 297
세라 운동의 유래와 성장 = 298
세라회의 목적 = 299
세라 클럽의 형식 과정 = 300
회원의 특전 = 301
미사 전례의 사적 소고 = 302
교회 초창기 = 303
금단 해제 후 = 304
카를 대제 이후 = 304
기원 1000년부터 500년 간 = 305
종교 개혁 전후기 = 306
20세기 = 307
성 프란치스코 재속 제3회 = 308
위대한 성자 프란치스코 = 308
프란치스코 3회의 유래 = 309
3회의 목적과 사명 = 311
입회 자격·절차·서약 = 311
의무와 특전 = 312
프란치스코회와 한국 = 313
운석 선생 회고의 일화
자유의 고귀한 시련 / 곽상훈 = 317
하늘이 주지 않는 기회 = 317
동아 일보에 준 톱뉴스 = 320
"명당을 썼구려" = 323
뜨거운 잔 기울여 보세 = 324
차원 높은 강자 / 김영선 = 326
운석은 강인(强人)이었다 = 326
3차원의 인간을 몰라줘 = 328
못다한 과업 = 329
거룩한 평신도 장 요한 / 노기남 = 331
거성은 지다 = 331
용산 신학교 시절 = 332
신앙적 교육가 = 335
신앙의 정치가 = 337
"우리를 위해 빌어 주소서" = 340
완전한 신앙의 인간 / 모윤숙 = 344
신앙인을 접촉하는 "독립당" = 344
무릎이 아팠던 새벽 미사 = 345
유일 합법 정부 47표 = 347
완전한 신념의 사람 = 349
민주주의의 희생자 / 박순천 = 351
역경을 이겨 낸 위대성 = 351
내 이름은 "자장면" = 354
애틋한 동지애 = 356
천당에서도 외로울 듯 = 358
신앙의 정치가 / 선우종원 = 361
몸에 밴 민주주의 = 361
국무 총리를 보좌하며 = 362
부산 정치 파동 전야 = 363
신앙의 정치인 = 365
민주주의의 속죄양 / 송원영 = 367
민주 투사 운석 / 오위영 = 370
7천 불로 운영한 주미 대사관 = 370
장 박사를 국무 총리에 추천 = 372
정치 노선을 같이한 장 박사 = 373
교육가로서의 운석 / 유동진 = 375
일인(日人) 교무 주임을 내쫓은 배짱 = 375
어느 요리집에서 = 377
공사 분명한 진실한 교육가 = 378
신부 대접엔 제자도 가리지 않아 = 379
부통령 차 타면 무사 통과 = 381
장 박사의 건강과 나 / 유병서 = 383
장 박사 선종기 / 유수철 = 389
굳은 신앙인 = 389
성당과의 깊은 인연 = 390
전교 회장하러 유학길 = 392
프란치스코 3회원 = 394
선종의 순간 = 395
민주주의의 상징 / 유홍열 = 398
나의 견진 대부 = 398
파리에서의 조선 고적 도보 = 401
민주주의의 등불 = 404
상징적 인물 = 406
다채로운 업적 / 윤형중 = 409
고난의 길 앞장서 = 409
신앙의 절대적인 힘 = 411
땀을 뺀 덜레스 장관 = 413
악에 저항하며 = 416
피를 싫어한 정객 = 419
불멸의 의지 / 이귀영 = 421
5·10 총선이 맺어 준 인연 = 421
믿지 못한 동직자들 = 422
악랄한 갖가지 탄압 = 424
항상 부드러우시던 얼굴 = 426
박애의 정치가 / 이홍열 = 428
조용한 귀공자 = 482
이름났던 명문장과 필적 = 429
온갖 것에 안목 높은 멋쟁이 = 431
남을 괴롭히지 않는 착한 성품 = 433
너무 인간적인 것이 흠 = 435
자유와 민권의 상징 = 436
초인적인 외교 역량 / 장기영 = 438
유엔의 한국 승인 = 438
교황에게서 받은 묵주 = 439
술 담배 몰라 = 440
파리에서 받은 주미 대사직 = 441
성인다운 면모 = 442
외유 내강한 신념의 인간 / 조재천 = 443
존경과 친근감을 느끼게 하는 분 = 443
저격에도 태연 = 444
단호한 태도 = 444
외유 내강한 분 = 445
"나도 가야지" = 446
정치인이기 전에 인간이 되라 = 447
성실을 지킨 정치인 / 주요한 = 448
부통령 개인 성명서 도맡아 = 448
늘 신변에 위협을 느껴 = 450
성실한 인품의 광채 = 452
언행 일치의 인물 / 한근조 = 455
머리말 = 455
학창 시대 = 455
부산 피난 시대 = 457
민주당 시대 = 462
맺는 말 = 469
민주주의의 씨앗 / 현석호 = 470
국제 신사의 면모 = 470
평생 몰랐던 외도 = 472
교직 생활 17년 = 474
내일의 씨앗 = 475
특별 자료
운석 시대 7대 사건 = 479
부산 정치 파동 = 481
해공·유석 서거 = 492
대구 개표 중단 사건 = 499
부통령 피격 사건 = 507
4·19 혁명 = 516
민주당 단명 내각 = 525
5·16 사태 = 530
추모의 글
조가(弔歌) / 김남조 = 541
경건한 사랑의 생애 / 이효상 = 542
민족의 슬기로운 위표(偉標) / 정일권 = 544
백성 위한 십자가 / 박순천 = 546
위대한 민주 시민 운석 / 유진오 = 549
장면 박사의 국민장 / 동아 일보 = 553
장면 박사의 서거를 애도 / 서울 신문 = 555
장면 박사의 서거를 애도 / 조선 일보 = 557
장면 박사의 서거 / 중앙 일보 = 560
장면 박사의 국민장 / 한국 일보 = 562
장면 박사의 서거를 슬퍼한다 / 가톨릭 시보사 = 564
운석 장 박사를 애도함 / 김도연 = 566
오직 양심의 자유를 추구 / 김영선 = 569
장면 박사 서거를 애도함 / 조재천 = 572
오호(嗚呼) 운석 장면 선생 / 최석호 = 575
천국에 계신 장 박사님께 / 최염열 = 578
하느님께 맡긴 '영욕과 실의' / 현석호 = 580
묘비 제막식 개회사 / 양일동 = 583
고(故) 요한 장면 박사 묘비 제막에 붙여 / 이효상 = 585
운석 장면 박사 묘비문 / 박종화 = 587
부록
雲石 博士 輓 / 유치웅 = 593
민주당 정부는 과연 무능했는가 / 정헌주 = 595
잘못 투영된 민주당 정권 = 595
단군 이래의 민주주의 신화 = 596
민주주의 신화와 시련들 = 597
언론계에 불어온 자율적 바람 = 599
중석 부정 사건에 멍든 민주당 정부 = 602
민주당 정부는 부패했는가 = 603
직업 관료제 확립과 첫 공채 = 605
자유당 정권의 유산인 가난 = 607
경제적 응급 조치, 국토 사업 개발 = 609
정권의 운명을 건 국토 개발 사업 = 610
국토 건설 대원 2천 명 공채 = 612
비정상적 경제 질서의 수술 = 614
도용당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615
미국, 민주당 정부 지원에 적극적 = 619
경제 개발과 5만 감군 = 621
한일 국교 조기 타결 전망 = 621
허구투성이 '한강변의 기적' = 623
시장 경제와 기업가 정신 / 김입삼 = 625
빛 바랜 청사진 '5개년 계획' = 625
민주당의 경제 발전 청사진 = 628
대통령 서면 회고 / 김대중 = 631
1. 장면 박사와의 인연 혹은 숨은 일화에 대해서 = 631
2. 경제 건설에 대해서 = 635
3. 신파의 특성에 대해서 = 636
4. 장 박사로부터 영세를 받게 된 과정 = 636
5. 5·16과 관련 장 박사와 윤보선 대통령에 대한 평가 = 637
6. 장 박사와 제2 공화국에 대한 평가 = 637
한국 현대사에서 제2 공화국 민주당 정권의 의미 / 조광 = 639
1. 시작하는 말 = 639
2. 연구사적 검토 = 641
3. 장면과 그 시대 = 646
4. 민주당 정권의 역사적 의미 = 649
5. 시론적 제안 = 653
(부록) 한국사 개설서에 나타난 민주당 정권 = 654
장면 박사 30주기 미사 = 663
운석 장면 박사 연보(1899-1966) = 667
장면 저작 일람 = 677
장면 관계 1·2차 자료 목록 = 679
초판 편집 후기 = 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