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15c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00721737 | |
005 | 20100807034537 | |
007 | ta | |
008 | 991229s1999 ulka 000a kor | |
020 | ▼a 8987192245 : ▼c ₩13,000 | |
020 | 1 | ▼a 8987192237(세트) |
035 | ▼a KRIC07498345 | |
040 | ▼a 223009 ▼c 223009 ▼d 211009 | |
049 | 1 | ▼l 111201098 ▼f 개가 ▼l 111201099 ▼f 개가 |
082 | 0 4 | ▼a 331.880953 ▼2 21 |
090 | ▼a 331.880953 ▼b 1999a | |
100 | 1 | ▼a 김영수 , ▼d 1963- ▼0 AUTH(211009)137917 |
245 | 1 0 | ▼a 한국 노동자 계급정치운동 : ▼b 연대의 정치, 통일의 정치, 분화의 정치 / ▼d 김영수 지음. |
260 | ▼a 서울 : ▼b 현장에서 미래를 , ▼c 1999. | |
300 | ▼a 443 p. : ▼b 삽도 ; ▼c 23 cm. | |
490 | 1 0 | ▼a 연구총서 ; ▼v 3 |
504 | ▼a 참고문헌 : p. 425-441 | |
653 | ▼a 연대통일 | |
653 | ▼a 노동운동 | |
653 | ▼a 계급운동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1999a | 등록번호 1112010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1999a | 등록번호 1112010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한국 노동자 정치운동과 민주노조운동간의 긴밀한 연대관계를 토대로 한국 노동운동의 30년 역사(1970년부터 1999년 말까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평가하고 있다. 노동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책들이 있지만, 노동조합운동의 역사만으로 혹은 노동자 정치운동만의 역사만으로는 한국 노동운동의 역사와 현실을 올바르게 반영하지 못한다. 노동자 계급운동의 주체들은 노동조합운동과 노동자 정치운동의 긴밀한 연대투쟁의 과정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민주노조운동과 관련된 노동자 정치운동의 구체적인 활동의 내용과 방식을 역사적으로 분석·평가한 책, 노동자 계급운동의 역사를 일면적이고 단편적으로 분석·평가해 왔던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책이 <한국 노동자 계급정치 운동>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영수(지은이)
아프리카 정치의 역사를 공부하고 연구하였다. 그들의 공동체적인 삶 속에 들어 있는 다양한 민주주의적 대안에 천착하였다. 그곳에는 권력보다 권리가 살아 있었다. 그리고 권리 주체들의 생활이 자유로웠다. 권력은 그저 권리의 보조 장치로 남아 있었다. 한국 민주주의가 나아갈 길을 아프리카 공동체의 권리 모델에서 찾고자 배우고 가르쳤던 이유였다. 정치학으로 학위를 받은 이후 학술 연구지 《진보평론》의 편집위원으로 연구 활동을 하면서, 한편으로는 공공운수노동조합의 조직국과 정책국에서 활동하였다. 삶의 현장과 멀리 떨어진 이론의 추상성과, 사유와 성찰의 빈곤함 때문에 드러나는 구체적 삶의 앙상함을 넘어서기 위해 각종 사회운동 단체에서 ‘활동 연구자 혹은 연구활동가’로 살았다. 보편성과 특수성이 만나는 교차로의 복합성과 접합성을, 거시적이거나 미시적인 것보다 그 두 가지를 융합시키는 중범위적인 접근으로 탈자본주의 사회의 대안적인 권력 관계와 이상적인 권리 자치 사회를 모색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는 10여 년 전부터 귀농귀촌해 시간의 절반은 사과밭에서 노동을, 나머지 절반은 대학에서 연구와 가르침과 배움을 함께하는 ‘반노반지(半勞半知)’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저서로는 『화해는 용서보다 진실을 요구한다-남아공 민주주의의 역사·현실·미래』, 『과거사청산, 민주화를 넘어 사회화로』, 『민주주의를 혁명하라』, 『당신은 민주국가에 살고 있습니까』 등이 있고, 공저로 『지식의 공공성 딜레마』, 『공무원 노동운동사』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1장 연대통일의 역사적 현상과 대상 Ⅰ. 현상으로서의 연대통일 = 11 Ⅱ. 대상으로서의 연대통일 = 16 Ⅲ. 노동운동의 시기별 연대통일 = 20 제2장 연대통일의 노동자 계급정치론 Ⅰ. 노동자 계급운동론 = 24 Ⅱ. 연대관계의 노동정치론 = 29 Ⅲ. 노동자 계급정치 운동의 연대통일관계 = 46 제3장 제1기(1970. 11∼1980. 5)한국 노동자 계급정치운동 Ⅰ. 1970년대 노동자 계급정치운동의 역사적 토대 = 72 Ⅱ. 노동운동에 대한 국가의 대응 = 85 Ⅲ. 국가에 대한 노동운동의 대응 = 93 Ⅳ. 노동운동의 통일 = 115 Ⅴ. 소결 = 119 제4장 제2기(1980. 5∼1987. 6)한국 노동자 계급정치운동 Ⅰ. 노동운동의 조건 = 123 Ⅱ. 노동운동에 대한 국가의 대응 = 131 Ⅲ. 국가에 대한 노동운동의 대응 = 147 Ⅳ. 노동운동의 통일 = 192 Ⅴ. 소결 = 200 제5장 제3기(1987. 7∼1993. 1)한국 노동자 계급정치운동 Ⅰ. 노동운동의 조건 = 204 Ⅱ. 노동운동에 대한 국가의 대응 = 214 Ⅲ. 국가에 대한 노동운동의 대응 = 226 Ⅳ. 노동운동의 통일 = 270 Ⅴ. 소결 = 298 제6장 제4기(1993. 2∼1999. 8)한국 노동자 계급정치운동 Ⅰ. 노동운동의 조건 = 231 Ⅱ. 노동운동에 대한 국가의 대응 = 309 Ⅲ. 국가에 대한 노동운동의 대응 = 323 Ⅳ. 노동운동의 통일 = 351 Ⅴ. 소결 = 386 제7장 결론 Ⅰ. 한국 노동자 계급운동의 연대통일관계 = 390 Ⅱ. 이론적 함의 = 405 Ⅲ. 이론적 한계와 과제 =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