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알기 쉬운) 정치경제학

(알기 쉬운) 정치경제학 (Loan 17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수행, 1942-
Title Statement
(알기 쉬운) 정치경제학 / 김수행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Physical Medium
xvi, 412 p. : 삽화 ; 24 cm
ISBN
895210303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05)과 색인수록
000 00679namcc2200217 c 4500
001 000000721453
005 20110518112844
007 ta
008 011012s2001 ulka b AK 001c kor
020 ▼a 8952103033 ▼g 9332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99711 ▼f 개가 ▼l 111199712 ▼f 개가 ▼l 121061274 ▼f 과학 ▼l 121061275 ▼f 과학
082 0 4 ▼a 335.4 ▼2 22
085 ▼a 335.4 ▼2 DDCK
090 ▼a 335.4 ▼b 2001d
100 1 ▼a 김수행, ▼d 1942-
245 2 0 ▼a (알기 쉬운) 정치경제학 / ▼d 김수행 저
260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부, ▼c 2001
300 ▼a xvi, 412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405)과 색인수록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 2001d Accession No. 11119971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 2001d Accession No. 1113067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30.122 2001c Accession No. 121061274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35.4 2001d Accession No. 1210612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5.4 2001d Accession No. 1511067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 2001d Accession No. 11119971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 2001d Accession No. 1113067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30.122 2001c Accession No. 121061274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35.4 2001d Accession No. 1210612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5.4 2001d Accession No. 1511067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ⅲ

제1장 시장이란 무엇인가? = 1

  1-1. 시장이냐 정부냐? = 1

  1-2. 자본주의 경제는 시장 이외의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 5

  1-3. 시장과 자본주의는 계속 성장하면서 변한다 = 8

  1-4. 자본의 세계화와 디지털 혁명은 21세기의 중요한 경향이다 = 12

제1편 시장을 구성하는 요소

 제2장 상품 = 17

  2-1. 재화와 서비스가 상품으로 등장해 시장이 발생한다 = 17

  2-2. 다양한 상품시장 = 19

  2-3. '새로운 사회'에서는 상품이 사라질 수 있다 = 21

 제3장 화폐와 가격 = 23

  3-1. 상품화폐의 등장 = 23

  3-2. 화폐의 발달 = 24

  3-3. 화폐의 기능 = 27

   3-3-1. 상품의 가치를 측정하고 표시한다 = 27

   3-3-2. 상품의 유통을 매개한다 = 29

   3-3-3. 지불수단 = 30

   3-3-4. 부의 저장 수단 = 33

   3-3-5. 세계화폐로 기능한다 = 34

  3-4. 가격 = 35

   3-4-1. 상품가치의 실체는 추상적 인간노동이다 = 35

   3-4-2. 시장가격 = 37

  참조 3-A. 화폐의 역사 = 26

  참조 3-B. 현금의 사용을 절약하는 다양한 형태 = 32

 제4장 기업 = 47

  4-1. 기업의 목표 = 47

  4-2. 이윤의 원천 = 49

   4-2-1. 이윤은 매매과정(즉 시장)에서는 창조되지 않는다 = 49

   4-2-2. 노동력의 착취가 이윤의 원천이다 = 50

  4-3. 이윤을 증대시키는 방법 = 55

   4-3-1. 노동시간의 연장 = 55

   4-3-2. 노동생산성의 향상 = 56

   4-3-3. 협업 = 57

   4-3-4. 분업 = 58

   4-3-5. 기계화, 자동화, 그리고 정보화 = 60

   4-3-6. 노동강도의 강화 = 61

   4-3-7. 노동의 유연화 = 64

  4-4. 기업 형태 = 70

   4-4-1. 주식회사 = 70

   4-4-2. 재벌 = 73

   4-4-3. 공기업 = 75

  참조 4-A. 2000년 노동자 월평균임금 166만 8천 원 = 54

  참조 4-B. 정부산하기관 낙하산 인사 실태(사장, 이사장급)(2001. 3)(『인터넷 한겨레』) = 76

 제5장 권력 = 79

  5-1. 시장은 권력에 의해 조성된다 = 79

  5-2. 국가(또는 정부)의 기능 = 81

  5-3. 국가의 상대적 자율성 = 84

  5-4. 자본의 세계화와 정부 = 86

제2편 경제발전과 시장의 발전

 제6장 자본축적과 노동시장 = 91

  6-1. 자본축적 = 91

  6-2. 고용과 노동시장 = 95

   6-2-1. 자본구성과 고용량 = 96

   6-2-2. 기술혁신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자본축적이 진행하면, 고용량은 증가한다 = 97

   6-2-3. 기술혁신이 일어나면서 자본축적이 진행하면, 고용량은 상대적으로도 절대적으로도 감소할 수 있다 = 98

   6-2-4. 실업자는 항상 있기 마련이다 = 100

   6-2-5. 노동자계급은 더욱더 자본의 지배에 종속된다 = 101

 제7장 화폐시장과 자본시장 = 103

  7-1. 자금조달 방식 = 103

  7-2. 한국 기업의 자금조달 형태 = 105

  7-3. 주식의 가치, 주식의 시장가격과 거품 = 107

  7-4. 한국의 주식시장 = 109

  7-5. 노름꾼의 '안락사'? = 113

 제8장 해외시장 = 117

  8-1. 상품의 수출과 수입 = 118

  8-2. 금융자본의 해외대부와 외환·주식에 대한 투기 = 122

  8-3. 해외직접투자 = 126

  참조 8-A. 한국의 수출구조 = 120

 제9장 정부의 경제정책 = 129

  9-1. 정부가 개입할 수밖에 없는 사건들 = 129

  9-2. 케인스의 기본생각 = 132

  9-3.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 134

  9-4. 환율 인상의 딜레마 = 135

  9-5. 사회보장제도 = 138

   9-5-1. 서구의 경우 = 138

   9-5-2. 한국형 복지국가? = 140

  참조 9-A. 한국의 청소년이 불쌍하다 = 142

제3편 경제위기와 시장기능의 마비

 제10장 경기변동의 주요 개념 = 147

  10-1. 추세와 순환 = 147

  10-2. 경제위기와 공황 = 149

 제11장 경제위기(또는 공황)를 야기하는 환경 = 153

  11-1. 화폐경제 = 154

  11-2. 생산의 무계획성 = 156

  11-3. 생산의 목적이 이윤 추구 = 158

  참조 11-A. 공황의 가능성에 관한 하일브로너의 견해 = 160

 제12장 공황이 전개되는 과정 = 165

  12-1. 이윤율의 저하 = 166

  12-2. 유효수요의 부족 = 172

  12-3. 금융의 불안전성 = 176

  참조 12-A. 이윤율을 계산하는 방법 = 171

  참조 12-B. 2000년 하반기의 한국경제는 공황은 아니지만 위기 = 178

 제13장 세계대공황의 역사 = 181

  13-1. 20세기의 세계경제사 = 181

  13-2. 1974-75년의 세계대공황 = 184

   13-2-1. 1970-71년의 경기 후퇴 = 184

   13-2-2. 1972-73년의 투기적 벼락경기 = 186

   13-2-3. 1973년 10월-1974년 1월의 유가폭등 = 187

   13-2-4. 공황의 전개과정 = 188

  13-3. 1987년 10월의 세계적인 주식시장 공황 = 189

  13-4. 공황에 빠질 우려가 있는 미국경제(2001년) = 192

 제14장 1997년 12월의 한국 공황 = 195

  14-1. 중요한 두 가지 해석 = 195

  14-2. 아시아 모델과 경제공항 = 196

   14-2-1. 반-아시아 모델 견해 = 197

   14-2-2. 친-아시아 모델 견해 = 199

  14-3. 한국 공황의 기원 = 202

   14-3-1. 공황의 주기적 성격 = 202

   14-3-2. 공황의 제도적 성격 = 205

제4편 자본주의적 발전과 자유경쟁의 제한

 제15장 독점 = 211

  15-1. 경쟁과 독점 = 211

  15-2. 산업과 은행의 관계 = 213

  15-3. 독점은 생산의 무계획성을 제거할 수 없다 = 217

  15-4. 일본의 재벌 = 219

  15-5. 한국의 재벌 = 220

   15-5-1. 성장과정과 자본축적방식 = 220

   15-5-2. 지배구조 = 226

   15-5-3. 독점적 지위 = 228

   15-5-4. 문어발 확장과 독재체제 = 230

   15-5-5. 재벌 대우에 대한 검찰의 수사 = 234

  참조 15-A. 우성건설의 부도와 은행 = 215

  참조 15-B. 부동산 가격과 불로소득 = 224

  참조 15-C.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연보(『한겨레 신문』) = 225

  참조 15-D. 상위 5대 재벌의 내부지분율 = 228

  참조 15-E. 재벌의 총자산 규모 = 230

  참조 15-F. 2000년 말 현재 30대 재벌 = 233

 제16장 노동조합 = 237

  16-1. 자본가계급과 노동자계급 사이의 투쟁 = 237

   16-1-1. 자본의 순환과정에서 본 노자대립 = 237

   16-1-2. 계급투쟁의 이론적 의의 = 238

   16-1-3. 노동운동과 시민운동 = 241

   16-1-4.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244

  16-2. 독일의 노사관계 = 246

   16-2-1. 독일 모델의 네 가지 원리 = 246

   16-2-2. 노동조합 = 248

   16-2-3. 사용자협회 = 249

   16-2-4. 공장위원회 = 249

   16-2-5. 노동쟁의의 형태 = 250

  16-3. 스웨덴의 노사관계 = 251

   16-3-1. 스웨덴 모델 = 251

   16-3-2. 협력주의적 노사관계 = 252

   16-3-3. 연대임금정책 = 253

   16-3-4. 공동결정법 = 254

   16-3-5. 임노동자기금 = 255

   16-3-6. 중앙단체협약의 붕괴 = 256

   16-3-7. 노동운동의 현황 = 257

  16-4. 노동조합과 노동자 정당 사이의 관계 : 영국의 경우 = 257

   16-4-1. 노동당의 창당 : 주체와 이념 = 258

   16-4-2. 노동당 집권의 역사 = 259

   16-4-3. 노동당의 당내 민주화과정 = 263

   16-4-4. 노동당의 사회주의는 무엇인가? = 264

   16-4-5. 노동당의 대외정책 = 268

   16-4-6. 노동당과 두 차례의 세계대불황 = 271

   16-4-7. 토니 블레어의 제3의 길 = 274

   16-4-8. 국민정치를 계급정치로! = 276

  16-5. 한국의 노사관계 = 277

   16-5-1.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 277

   16-5-2. 노동쟁의 = 280

   16-5-3. 노동운동의 장래 = 281

  참조 16-A. 노사정위원회 설립 = 279

  참조 16-B. '실망실업자'가 크게 늘고 있다 = 281

  참조 16-C.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과 복수노조 = 283

 제17장 국가에 의한 경제 재편 = 285

  17-1. 신자유주의의 등장 = 285

  17-2. 영국 신보수주의(또는 신자유주의)의 실패 = 287

   17-2-1. 통화주의 = 288

   17-2-2. 공급중시 경제학 = 290

   17-2-3. 규제 완화 = 292

   17-2-4. 민영화 = 295

   17-2-5. '강한 정부'와 패권국 = 296

  17-3. 한국의 구조조정 = 298

   17-3-1. IMF가 요구한 구조조정 = 298

   17-3-2. 4대부분의 구조조정 = 300

   17-3-3. 구조조정은 대량해고와 다르다 = 308

   17-3-4. 부실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 = 312

   17-3-5. 재정위기 = 313

  참조 17-A. 한전 민영화 : 켈리포니아의 전력 비상사태(『한겨레 21』) = 304

  참조 17-B. 공적 자금 제대로 썼나(『중앙일보』) = 315

제5편 21세기 자본주의의 역사적 경향

 제18장 자본의 세계화 경향 = 319

  18-1. 자본의 국제화와 세계화의 차이 = 319

  18-2. 자본의 국제화 = 322

  18-3. 1970년 이래 자본의 국제화 = 329

  18-4. 다국적 기업의 동향 = 331

  18-5. 자본의 세계화 경향과 노동자계급 = 333

  18-6. 국제화와 국민국가의 개입 능력 = 334

  18-7. 국제경쟁력 향상 전략의 함정 = 336

  참조 18-A. 국경은 사라지는가? = 325

  참조 18-B. GNP를 GDP로 바꾼 이유 = 327

 제19장 디지털 혁명의 국내외 파급효과 = 339

  19-1. 생산고정과 유통과정의 혁명 = 340

  19-2. 정보기술산업의 발달 = 341

  19-3. 디지털 혁명과 노동자계급 = 342

  19-4. 미국의 '신경제' = 344

  19-5. 디지털 혁명의 국제적 효과 = 345

 제20장 한국자본주의와 '새로운 사회' = 347

  20-1. 1980년대의 '한국사회구성체 논쟁' : 회고 = 347

   20-1-1. 노동자 대투쟁 이후 왜 보수진영의 결집력이 강화되었는가? = 348

   20-1-2. 진보진영의 이론과 실천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었나? = 353

   20-1-3. 올바른 시각은 무엇인가? = 359

  20-2. 김영삼 정부가 주창한 '세계화' 비판 = 363

   20-2-1. '세계화'의 의미 = 363

   20-2-2. 재벌에 대한 면죄부 = 364

   20-2-3. 패권주의 = 366

   20-2-4. 농업 포기 = 367

   20-2-5. 재벌에 대한 지원 = 369

   20-2-6. 올바른 방향 = 371

  20-3. 김대중 정부의 '구조조정' 비판 = 372

   20-3-1. 1997년 12월의 공황 : 자본주의 체제의 문제 = 373

   20-3-2. IMF의 특별구제금융 : 벼랑외교의 필요성 = 376

   20-3-3. 금융구조의 혁명 : 증권시장 중심의 약점 = 378

   20-3-4. 외국자본의 우대 : 해외 매각과 투기적인 외국단기자본 = 380

   20-3-5. 남한 대중의 희생과 북한에 대한 동포주의 : 모순의 격화 = 382

   20-3-6. 공적 자금 : 기득권층을 위해 국민이 희생 = 385

  20-4. 한국경제의 변혁 = 386

   20-4-1. 국유화한 금융기관의 운영방법 = 386

   20-4-2. 재벌개혁의 방향 = 388

   20-4-3. 경제발전, 민주주의, 인본주의 = 390

  20-5. 자본의 지배를 극복하자! = 401

  참조 20-A. 하일브로너, 『21세기 자본주의』 = 395

  참조 20-B. 대우차 희생, 비방은 있다(『인터넷 한겨레』) = 398

참고문헌 = 405

찾아보기 = 40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