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개관
제1장 개관 / 박경자
1. 배경 = 3
2. 제1부 = 7
3. 제2부 = 8
4. 제3부 = 18
5. 제4부 = 20
6. 제5부 = 24
7. 제6부 = 28
8. 제7부 = 30
9. 제8부 = 32
참고문헌 = 35
제2장 영어교사와 영어학습자 / 박경자 ; 이희경
1. 배경 = 36
2. 교사 = 39
2.1 영어교육의 내용 = 39
2.2 영어교사의 영어교육방법 = 41
2.3 영어교사의 자세와 인성 = 46
3. 한국영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53
4. 교사의 신념과 역할 = 55
5. 학습자 = 69
5.1 학습자 신념체계 = 69
5.2 인지방법 = 72
5.3 학습책략 = 74
6. 해결책 = 76
연습문제 = 77
참고문헌 = 78
제2부 지도내용
제3장 발음지도 / 노경희
1. 배경 = 83
2. 우리 나라의 현황 및 발음교육의 문제점 = 85
3. 발음지도 = 85
3.1 발음습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 = 86
3.2 발음지도의 내용 = 88
3.3 발음지도의 방법 = 95
3.4 발음규칙의 제시 = 99
4. 해결책 = 99
연습문제 = 100
참고문헌 = 101
제4장 말하기 지도 / 김성찬
1. 배경 = 105
1.1 외국어 학습과 모국어 혹은 제2언어 습득 = 106
1.2 외국어 학습과정과 모국어 습득과정이 같다고 여기는 교수법 = 107
1.3 외국어 학습과정과 모국어 습득과정을 다르게 여기는 교수법 = 109
2. 우리 나라의 말하기 교육현황 = 114
2.1 초등학교의 말하기 교육현황 = 114
2.2 중·고둥학교의 말하기 교육현황 = 114
3. 문제점 = 115
3.1 입학시험 방향문제 = 116
3.2 교사의 자질과 수급문제 = 116
3.3 교수법 문제 = 117
3.4 재정상의 문제 = 118
4. 해결책 = 118
4.1 입학시험방향 = 119
4.2 교사의 자질 및 수급 = 119
4.3 교수법 = 120
4.4 재정 = 121
연습문제 = 122
참고문헌 = 123
제5장 듣기지도 / 강복남
1. 배경 = 125
1.1 듣기기능의 본질 = 126
1.2 듣기이행의 과정 = 128
1.3 듣기능력의 전이효과 = 131
1.4 듣기지도 순서와 방법 = 133
2. 교육현장의 듣기지도 및 연구현황 = 137
2.1 초등학교 = 137
2.2 중·고등학교 = 138
2.3 대학교 = 139
3. 듣기지도의 문제점 = 140
4. 듣기 지도방안 = 142
4.1 듣기지도의 원리 = 143
4.2 듣기중심 교수이론 = 147
4.3 수업계획 = 153
5. 해결책 = 156
연습문제 = 157
참고문헌 = 159
제6장 읽기지도 / 강혜순
1. 배경 = 166
1.1 읽기모형 = 167
1.2 배경지식 = 173
1.3 초인지개념과 주요모형 = 178
2. 우리 나라 현황 = 181
3. 문제점 = 181
4. 해결책 : 상호교수법 = 182
연습문제 = 186
참고문헌 = 187
제7장 쓰기지도 / 김성찬 ; 주용균
1. 배경 = 191
2. 우리 나라 쓰기교육 현황 = 193
2.1 초등학교의 쓰기교육 현황 = 193
2.2 중·고등학교의 쓰기교육 현황 = 193
2.3 대학교의 쓰기교육 현황 = 194
3. 문제점 = 194
3.1 입학시험 방향문제 = 194
3.2 교사의 자질과 수급문제 = 195
3.3 교수법 문제 = 195
3.4 재정상의 문제 = 197
4. 해결책 = 197
4.1 입학시험방향 = 197
4.2 교사의 자질 및 수급 = 198
4.3 교수법 = 198
4.4 재정 = 200
연습문제 = 200
참고문헌 = 201
제8장 오류지도 / 신봉수
1. 배경 = 202
1.1 오류의 정의 = 203
1.2 오류의 원인 = 205
1.3 오류분석의 목적과 이론적 배경 = 210
1.4 오류분석의 중요성 = 212
1.5 오류분석의 적형성 문제 = 213
1.6 오류분석 절차 = 214
1.7 오류의 교정 = 217
2. 교육현장에서의 실제적인 오류교정의 예 = 220
2.1 영어발음에 있어서의 오류분석 = 220
2.2 영어작문에 있어서의 오류분석 = 223
3. 오류분석에 있어서의 문제점 = 231
4. 해결책 = 232
연습문제 = 233
참고문헌 = 234
제9장 문법지도 / 박혜숙
1. 배경 = 236
2. 문법지도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 = 237
2.1 구조-행동주의 접근방식 = 237
2.2 생성- 인지주의 = 239
2.3 의사소통중심의 접근방식 = 240
2.4 자연주의 접근방식 = 242
3. 문법지도의 효과 = 244
4. 우리 나라 문법교육의 문제점 = 247
5. 문법지도를 위한 삼차원의 문법틀 = 249
6. 문법지도의 구성 = 252
6.1 예시화 단계 = 253
6.2 연습단계 = 254
6.3 의사소통단계 = 259
7. 오류과정 = 260
8. 해결책 = 261
연습문제 = 261
참고문헌 = 262
제10장 생활영어지도 / 정대성
1. 배경 = 264
1.1 과업의 정의 = 265
1.2 과업의 구성요소 = 265
1.3 과업의 유형 = 268
1.4 과업중심 교수방법의 특성 = 270
2. 생활영어 회화지도의 현황 = 270
2.1 교강사 현황과 설비현황 = 271
2.2 생활영어 회화교재구성 = 273
2.3 수업운영현황 = 275
3. 생활영어 회화지도의 문제점 = 279
3.1 교강사와 시설문제점 = 279
3.2 생활영어 회화교재 문제점 = 280
3.3 수업운영의 문제점 = 281
4. 효율적 생활영어 회화지도를 위한 제안 = 282
4.1 교강사 및 시설현황에 대한 제안 = 282
4.2 생활영어 회화교재에 대한 제안 = 283
4.3 수업운영에 대한 제안 = 283
4.4 과업중심 교수방법의 실제적용과 타당성 검증 = 284
5. 과업중심 교수방법의 문제점과 연구과제 = 292
6. 해결책 = 292
연습문제 = 293
참고문헌 = 294
제11장 영미문화지도 / 노금숙
1. 배경 = 296
1.1 문화와 사회 = 297
1.2 언어와 문화 = 299
1.3 언어와 (문화적 주체로서의)인종 = 301
2. 문화적 개념과 언어교육 = 302
3. 학교문화의 문제와 영미문화 = 306
3.1 도가니(melting pot)와 모자이크(mosaic) = 307
3.2 고정관념과 일반화 = 307
3.3 미국적 가치관의 주류(mainstream) = 308
3.4 개인주의와 사적 자유(privacy) = 308
3.5 평등성(equality) = 308
3.6 미래계획 = 308
3.7 비교문화(cross-cultural) 의사소통 = 309
4. 해결책 : 문화지도의 발전방향 = 309
4.1 문화교육을 위한 확실한 목표를 갖는 것 = 311
4.2 문화의미의 이해 = 311
4.3 실제적 내용을 통해 문화학습과 언어학습의 연결 = 312
4.4 문화 사이의 다른 점과 같은 점의 인식 = 312
4.5 문화적 인식에 있어서 개인적인 단계의 동일시 = 313
4.6 단지 목표문화가 아닌 다양한 문화의 인식 = 313
4.7 문화는 밝은 면과 함께 어두운 면도 있다는 것을 인식시킴 = 313
4.8 그들 자신의 학습형태를 발달시키기 위해서 학생들을 고무시킴 = 313
4.9 문화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학습전략을 만드는 것이 중요함 = 314
4.10 문화를 가르치기 위해 사회적 자료와 개인적 자료의 활용 = 314
연습문제 = 315
참고문헌 = 316
제3부 지도방법
제12장 우리 나라 영어교수방법 / 곽혜영 ; 성귀복
1. 배경 = 321
1.1 교사중심의 학습방법 = 321
1.2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 = 325
2. 우리 나라의 영어교수현황 = 329
2.1 영어교수법 변천사 = 329
2.2 중·고등학교의 영어교육현황 = 330
3. 우리 나라 영어교수방법의 문제점과 개선책 = 330
3.1 듣기 교수 = 331
3.2 말하기 교수 = 335
3.3 읽기 교수 = 339
3.4 쓰기 교수 = 342
3.5 교수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외적 요인 = 344
4. 해결책 = 346
연습문제 = 348
참고문헌 = 350
제13장 중등영어교수법 개선에의 장애요인과 대안 / 최태희
1. 배경 = 352
2. 우리 현장에서 교수이론적용시의 한계 및 대안 = 353
2.1 우리 현장에서 교수이론적용시의 한계 = 353
2.2 새로운 교수이론의 정착을 위한 제안 = 360
3. 행정적·제도적 개선 = 364
3.1 경력교사를 위한 제도개선 = 364
3.2 신임교사를 위한 제도개선 = 367
4. 해결책 = 367
연습문제 = 369
참고문헌 = 370
제14장 학생중심의 열린 교수방법 / 이은주
1. 배경 = 375
1.1 학생중심의 영어교육과정 개발 = 375
1.2 언어학습책략에 관한 연구 = 376
1.3 교실에서의 학습책략 = 377
1.4 언어학습에 있어서의 학습자 중심의 접근법 = 378
2. 우리 나라의 현황과 문제점 = 379
3. 해결책 : 학생중심의 열린 영어교육실시 = 380
3.1 학습환경조성 = 380
3.2 학습계획에 학생포함 = 380
3.3 학생들의 학습요구파악 = 381
3.4 학습목표설정에 학생포함 = 381
3.5 학습평가과정에 학생참여 = 381
3.6 정리 = 382
연습문제 = 384
참고문헌 = 385
제15장 학생들의 동기유발을 위한 다양한 영어지도 방법 / 임자연
1. 배경 = 387
1.1 통합적 동기와 도구적 동기 = 388
1.2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 391
2. 동기에 관한 연구 = 392
2.1 ESL과 EFL 환경에서의 동기연구 = 392
2.2 우리 나라의 연구 = 393
3. 문제점 = 394
4. 해결책 = 394
4.1 수업활동 = 395
4.2 교사 = 395
4.3 학습자 = 396
4.4 수업교재 = 397
4.5 수업계획안 = 397
연습문제 = 398
참고문헌 = 399
제4부 지도안 작성과 도구
제16장 전통적인 영어교수도구 / 한호
1. 배경 = 405
1.1 시각적 도구 = 406
1.2 청각적 도구 = 417
1.3 시청각 도구 = 419
2. 우리 나라의 현황 = 421
3. 문제점 = 422
4. 해결책 = 423
연습문제 = 425
참고문헌 = 426
제17장 인터넷을 이용한 영어읽기지도 / 조인정
1. 배경 = 427
2. 인터넷과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학습 = 431
2.1 정보검색도구들을 활용한 영어학습 = 431
2.2 의사소통도구들을 활용한 언어학습법 = 437
3. 한국의 인터넷 활용 영어교육현황 = 441
3.1 인터넷 활용 교육을 위한 제반시설 = 441
3.2 각급 학교의 인터넷 활용현황 = 443
3.3 교육관련기관과 기업체의 인터넷 활용현황 = 444
4. 현 인터넷 활용 영어교육의 문제점 = 445
5.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교육활성화 = 447
5.1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학습법의 개발 = 447
5.2 교사연수 = 448
5.3 웹 읽기과제의 분석 = 449
6. 해결책 = 453
연습문제 = 454
참고문헌 = 455
제18장 어학실험실과 시청각도서실의 역할 / 김희범
1. 이론적 고찰 = 459
1.1 어학실험실의 정의 = 460
1.2 어학실험실의 발전 = 460
1.3 어학실험실의 형태 = 462
1.4 어학실험실에서의 학습방법 = 464
2. 우리 나라의 어학실험실 현황과 그 역할 = 464
2.1 어학실험실의 현황 = 465
2.2 어학실험실의 역할 = 468
3. 어학실험실의 문제점 = 469
3.1 어학실험실 수업의 비관론 = 469
3.2 어학실험실 수업의 낙관론 = 471
4. 어학실험실의 개선방안 = 472
4.1 수업운영면 = 473
4.2 교재면 = 474
4.3 기재면 = 474
4.4 시청각도서실의 운영면 = 474
5. 해결책 = 475
연습문제 = 477
참고문헌 = 479
제19장 멀티미디어를 통한 영어지도 / 유석훈
1. 서론 = 481
2. 컴퓨터를 이용한 영어교육의 과거와 현재 = 482
3.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의 근황 = 488
4.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영어교육 = 491
5. 해결책 = 499
연습문제 = 501
참고문헌 = 503
제20장 신문을 이용한 영어지도 / 이미선
1. 배경 = 509
2. 이론적 배경 = 511
2.1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 = 511
2.2 협동학습법과 제2언어 교실 = 513
3. 신문의 구성 및 각 부분의 활용 = 516
3.1 기술적 자료 = 516
3.2 짧은 자료 = 517
3.3 긴 자료 = 518
4. 우리 나라의 현황과 문제점 = 520
5. 해결책 : 신문을 이용한 교실활동의 실례 = 521
5.1 어휘학습 = 522
5.2 읽기능력 = 523
5.3 쓰기능력 = 523
5.4 말하기능력 = 524
5.5 듣기능력 = 525
5.6 문법학습 = 525
5.7 통합적 지도안 = 526
연습문제 = 527
참고문헌 = 528
제5부 교재개발 및 선택
제21장 초등학교 영어교재개발 / 최승연
1. 배경 = 533
1.1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 533
1.2 초등학교 영어의 성격 = 535
1.3 초등학교 영어의 목표 = 535
1.4 초등학교 영어교육 실시의 이론적 근거 = 536
1.5 우리 나라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중요성 = 538
1.6 우리 나라 초등영어교육의 역사 = 538
2. 초등학교 영어교재의 현재상황 = 538
2.1 과거의 초등영어교재 = 539
2.2 현재 초등영어 교재분석 = 539
3. 초등학교 영어교재의 문제점 = 550
3.1 전체면수 및 분량 = 550
3.2 교재의 구성 및 체제 = 550
3.3 어휘 = 551
3.4 발음학습 = 552
3.5 문법내용 = 553
3.6 한 문장의 최대어휘수 = 554
3.7 학습내용의 기능 = 554
3.8 Chant 및 노래 = 555
3.9 삽화 및 그림의 구성과 내용 = 556
3.10 녹음상태, 가격, 프로그램의 길이 = 556
3.11 교재채택의 문제점 = 557
4. 해결책 = 558
4.1 교과서의 구성 및 체제 = 558
4.2 어휘 = 559
4.3 발음학습 = 560
4.4 문법 = 561
4.5 학습내용의 기능, 소재, 주제 및 배경 = 562
4.6 역할극 및 이야기 열차 = 563
4.7 삽화 및 그림의 구성과 내용 = 563
4.8 오디오 테이프의 활용 및 프로그램의 길이 = 564
4.9 상급학년 교재와의 연관성 = 564
연습문제 = 565
참고문헌 = 567
제22장 중학교 영어교재개발 / 장복명
1. 배경 = 570
2. 영어교과서 개발의 기초 = 571
2.1 영어교과서 개발의 중요성 = 572
2.2 영어교과서의 위상 = 578
2.3 영어교과서의 역할 = 580
3. 교육과정과 영어교과서의 연관성 = 585
3.1 우리 나라 영어과 교육과정의 변천모습 = 586
3.2 제6차 교육과정의 특징 = 588
3.3 제6차 교육과정개혁과 영어교과서의 연관성 = 593
4. 해결책 = 595
연습문제 = 598
참고문헌 = 599
제23장 고등학교 영어교재개발 / 이재근
1. 배경 = 602
2.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이론적 배경 = 603
2.1 의사소통능력의 개념변화 = 603
2.2 의사소통기능 = 608
2.3 제6차 교육과정과 의사소통기능분류 = 609
3. 의사소통기능중심의 우라 나라 고등학교 공통영어현황 = 615
3.1 공통영어 체제분석 = 616
3.2 9종 공통영어의 체제에 대한 비교분석 = 621
3.3 9종 공통영어의 의사소통기능에 대한 비교분석 = 623
4. 해결책 = 626
연습문제 = 629
참고문헌 = 630
제24장 대학교 영어교재개발 / 김정희
1. 배경 = 632
1.1 학생들 요구에 부응하는 교재개발 = 633
2. 대학교 교재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 = 635
2.1 프로그램과 정책 = 636
2.2 계획세우기 = 636
3. 우리 나라의 대학교에서의 현황 = 643
4. 해결책 = 645
연습문제 = 648
참고문헌 = 649
제6부 지도평가
제25장 영어평가 / 김성혜
1. 배경 = 657
2. 언어평가의 유형 = 659
3. 언어평가의 시대적 구분 = 664
4. 한국의 영어평가 = 666
4.1 한국의 영어평가연구 = 666
4.2 중·고등학교 영어시험문제의 특성 = 667
5. 해결책 = 671
연습문제 = 673
참고문헌 = 674
제7부 교과과정과 사교육현황
제26장 교과과정변천 / 김현진
1. 배경 = 679
2. 언어교육과정이론 = 680
2.1 언어교수활동과 언어교육과정활동 = 681
2.2 언어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요소들 = 686
2.3 언어교육과정개발 = 687
2.4 언어교육과정의 변천 = 690
3. 언어교수요목이론 = 691
3.1 교수요목의 발달과 개념의 변화 = 691
3.2 교수요목의 구분 = 692
3.3 교수요목의 종류 = 692
4. 우리 나라 영어과 교육과정 = 695
4.1 우리 나라 교육과정 = 695
4.2 우리 나라 영어과 교육과정 = 697
4.3 우리 나라 영어교육과정 변천사 = 697
4.4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 704
5. 해결책 = 724
연습문제 = 725
참고문헌 = 726
제27장 조기 영어교육 / 맹은경
1. 배경 = 730
2. 조기 외국어 교육에 대한 찬성론 = 731
2.1 신경언어학적 관점 = 731
2.2 사회·심리학적 관점 = 733
2.3 심리언어학적 관점 = 734
2.4 정치·경제·사회·문화적 관점 = 735
3. 조기 외국어 교육에 대한 반대론 = 736
3.1 신체적인 영역 = 737
3.2 정의적 영역 = 737
3.3 심리언어학적인 측면 = 738
4.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찬성론 = 739
4.1 심리언어학적 측면 = 740
4.2 정치·경제·사회·문화적 관점 = 740
5.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반대론 = 741
5.1 조건부 반대론 = 742
5.2 전면 반대론 = 743
6. 우리 나라 현황 및 문제점 = 744
6.1 교사 = 744
6.2 교육 = 748
6.3 교재 = 751
6.4 교육환경 = 754
6.5 교수법 = 756
7. 해결책 = 758
연습문제 = 759
참고문헌 = 760
제28장 학교 외 영어지도현황 / 신규철
1. 배경 = 768
2. 조기 영어교육에 관한 이론 = 769
3. 사교육의 현황 = 773
3.1 영어학원 = 774
3.2 학습지 = 775
3.3 사교육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 776
4. 학교의 조기 영어교육현황 = 778
4.1 초등학교 교과과정 = 781
4.2 학교 조기 영어교육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 786
5. 해결책 = 789
연습문제 = 790
참고문헌 = 791
제8부 사회언어학 관점에서 본 영어교육
제29장 사회언어학과 영어교육 / 김재원
1. 배경 = 795
2, 의미적 접근 = 796
2.1 관사 = 797
2.2 to부정사와 동명사 = 798
2.3 겹부사 = 800
3. 의사전달적 접근 = 802
3.1 관사 = 802
3.2 관용적 표현 = 803
3.3 생략 = 804
4. 사회문화적 접근 = 805
4.1 관사 = 806
4.2 어휘, 어구, 관용적 표현의 문장 = 807
4.3 현재완료시제 = 808
5. 해결책 = 809
참고문헌 = 810
제30장 화용론적 관점에서 본 영어교육 / 정은혁
1. 배경 = 811
2. 사죄화행에 관한 연구 = 812
3. 실험 = 816
3.1 연구문제 = 816
3.2 사죄책략정의 = 816
3.3 연구방법 = 817
4. 실험결과 = 819
4.1 제2언어 사죄책략의 사용 = 819
4.2 제2언어 사죄책략의 차이점과 유사점의 원인 = 822
5. 토의 = 823
6. 해결책 = 824
참고문헌 = 826
영문색인 = 833
국문색인 = 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