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27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00720406 | |
005 | 20211007164448 | |
007 | ta | |
008 | 011005s2001 ulk b 000c kor | |
020 | ▼a 8985548700 ▼g 04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99519 ▼f 개가 ▼l 111199520 ▼f 개가 ▼l 131016069 ▼f 의학 |
082 | 0 4 | ▼a 302.23 ▼2 21 |
085 | ▼a 302.23 ▼2 DDCK | |
090 | ▼a 302.23 ▼b 2001e | |
100 | 1 | ▼a 강준만, ▼g 康俊晩, ▼d 1956- ▼0 AUTH(211009)5382 |
245 | 1 0 | ▼a 대중매체 이론과 사상 / ▼d 강준만 |
260 | ▼a 서울 : ▼b 개마고원, ▼c 2001 | |
300 | ▼a 527 p. ; ▼c 23 cm | |
490 | 1 0 | ▼a 학술문고 ; ▼v 2 |
500 | ▼a 대중매체의 겉과 속 | |
504 | ▼a 참고문헌: p. 500-527 | |
830 | 0 | ▼a 학술문고 (개마고원) ; ▼v 2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111995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111995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115353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4101746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2-07-11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410174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310160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511084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511085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111995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111995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115353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4101746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2-07-11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410174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310160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511084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2.23 2001e | 등록번호 1511085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 사회의 지적 풍토 속에서 구체적인 현실과 접속하고, 이를 반영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문제 제기를 담은 강준만 교수의 대중매체 개론서.
이 책은 단순한 소비의 차원이 아닌, 적극적으로 이미지를 부여하고, 창출하며,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나가고 있는 대중매체를 탄생시킨 당대의 현실과의 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TV로 대변되는 영상매체가 정치·사회에 미친 영향을 키치라는 말로 대변되는 1960년대 미국 하위문화와 수잔 손택의 '감수성의 문화', 앤디 워홀의 '팝아트'와 대중매체의 발전 과정 등이 다루어진다.
또한 '대중매체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허버트 실러의 문화제국주의론,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충돌론', 히틀러와 무솔리니, 그리고 매카시의 선정선동술, 마돈나의 페미니즘에 이르기까지 좀더 폭넓은 의미의 대중매체 이론과 사상까지 적극적으로 포괄하고 있다.
이 책에 소개된 대중매체 이론·사상은 이론 그 자체 또는 전문가들을 위해 소개된 것이 아니라 그것과 현실과의 관계, 유의미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대중매체 관련 전공자는 물론, 대중매체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게도 좋은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강준만(지은이)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준만은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이다. 전공인 커뮤니케이션학을 토대로 정치, 사회, 언론, 역사, 문화 등 분야와 경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사회를 꿰뚫어보는 안목과 통찰을 바탕으로 숱한 의제를 공론화해왔다. 2005년에 제4회 송건호언론상을 수상하고, 2011년에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국의 저자 300인’, 2014년에 『경향신문』 ‘올해의 저자’에 선정되었다. 저널룩 『인물과사상』(전33권)이 2007년 『한국일보』 ‘우리 시대의 명저 50권’에 선정되었고, 『미국사 산책』(전17권)이 2012년 한국출판인회의 ‘백책백강(百冊百講)’ 도서에 선정되었다. 2013년에 ‘증오 상업주의’와 ‘갑과 을의 나라’, 2014년에 ‘싸가지 없는 진보’, 2015년에 ‘청년 정치론’, 2016년에 ‘정치를 종교로 만든 진보주의자’와 ‘권력 중독’, 2017년에 ‘손석희 저널리즘’와 ‘약탈 정치’, 2018년에 ‘평온의 기술’과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2019년에 ‘바벨탑 공화국’과 ‘강남 좌파’, 2020년에 ‘싸가지 없는 정치’와 ‘부동산 약탈 국가’, 2021년에 ‘부족주의’ 등 대한민국의 민낯을 비판하면서 한국 사회의 이슈를 예리한 시각으로 분석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좀비 정치』, 『발칙한 이준석』, 『단독자 김종인의 명암』, 『부족국가 대한민국』, 『싸가지 없는 정치』, 『권력은 사람의 뇌를 바꾼다』, 『부동산 약탈 국가』, 『한류의 역사』, 『쇼핑은 투표보다 중요하다』, 『강남 좌파 2』, 『바벨탑 공화국』,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평온의 기술』, 『약탈 정치』(공저), 『손석희 현상』, 『박근혜의 권력 중독』, 『힐러리 클린턴』, 『도널드 트럼프』, 『전쟁이 만든 나라, 미국』, 『정치를 종교로 만든 사람들』, 『지방 식민지 독립선언』,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 『싸가지 없는 진보』, 『감정 독재』, 『미국은 세계를 어떻게 훔쳤는가』, 『갑과 을의 나라』, 『증오 상업주의』,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책』(전23권), 『한국 근대사 산책』(전10권), 『미국사 산책』(전17권) 외 다수가 있다.

목차
목차 제1장 대중매체의 역사와 개념 매체 테크놀러지가 인류 역사에 미친 영향 = 16 대중매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 21 대중·군중·공중의 정의(定義) = 27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정의(定義) = 30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특성 = 33 대중신문의 탄생 약사(略史) = 39 한국 언론사 주요 연표 = 45 한국 대중문화 약사(略史) = 51 한국 매체 관련 통계 = 58 제2장 대중매체의 기능과 효과 기능주의와 신기능주의 = 70 대중매체의 5대 기능 = 74 대중매체의 효과이론 = 77 효과이론 비판 = 80 이용과 충족이론 = 83 대중매체 의존이론 = 85 의제설정 기능이론 = 88 지식격차가설 = 91 '침묵의 나선'이론 = 93 '다원적 무지' = 96 '제3자 효과가설' = 99 배양효과이론 = 101 제3장 언론과 여론 언론의 6대 규범이론 = 110 게이트키퍼이론 = 118 '집단사고'와 '집단극화' = 121 뉴스 가치와 공정성 = 125 전문주의 이데올로기 = 129 프레임이론 = 132 공공저널리즘 = 142 리영희의 커뮤니케이션 사상 = 145 김중배의 커뮤니케이션 사상 = 151 월터 리프먼의 여론관 = 155 '시사적 인간'과 '역사의 가속화' = 161 제4장 영상매체와 사회 문화적 민주주의 = 166 TV의 '소아병주의' = 169 TV와 민주주의의 위기 = 172 토드 기틀린의 미디어이론 = 178 마셜 맥루한의 미디어이론 = 190 토니 슈바르츠의 미디어이론 = 199 장 보드리야르의 미디어이론 = 203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 206 제5장 대중매체와 소비사회 광고혁명과 소비사회 = 216 수용자 상품론 = 222 대니얼 부어스틴의 '의사사건'론 = 225 수잔 손택의 '감수성의 문화' = 236 크리스토퍼 래시의 '자기 도취의 문화' = 246 앤디 워홀의 '팝아트' = 253 제6장 국제 커뮤니케이션 매스컴과 사회발전 = 262 미디어제국주의론 = 268 문화제국주의론 = 273 신국제 정보질서 논쟁사 = 278 허버트 실러의 문화제국주의론 = 291 프란츠 파농의 커뮤니케이션이론 = 301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 312 강상중의 '일본적 오리엔탈리즘' = 315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충돌론' = 317 노엄 촘스키의 미디어이론 = 323 앨빈 토플러의 미디어이론 = 332 니콜라스 네그로폰테의 디지털이론 = 341 제7장 대중매체와 선전·선동 파시즘 = 350 부드러운 파시즘 = 357 히틀러의 선전선동술 = 364 무솔리니의 선전선동술 = 372 패카시의 선전선동술 = 377 프랑스 드골의 '언론 대숙청' = 389 머리 에들먼의 '상징정치론' = 392 제8장 대중사회의 개인 자크 엘륄의 프로파간다론 = 406 에리히 프롬의 커뮤니케이션이론 = 418 피에르 브르디외의 커뮤니케이션이론 = 426 어빙 고프먼의 커뮤니케이션이론 = 434 마돈나의 페미니즘 = 445 수용자운동과 압력단체이론 = 458 제9장 대중매체와 지식인 피에르 부르디외의 지식이론 = 464 노엄 촘스키의 지식인론 = 472 크리스토퍼 래시의 지식인론 = 477 '미디어 지식인'의 '주류 콤플렉스' = 483 시장은 누구의 것인가? =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