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21세기의 교육과 교사 = 11
1. 신교육체제 특징과 목표 = 16
2. 교육개혁 과제 = 17
제2장 교사의 역할과 자질 = 23
1. 교직의 특성 = 25
2. 교직의 전문성 = 27
3. 교사의 역할과 자질 = 30
4. 역할 기대와 역할 갈등 = 50
5. 학교에서의 교사적 역할 = 60
6. 사회에서의 교사의 역할 = 65
제3장 효과적인 교사 = 67
1. 효과적인 교사 = 69
2. 효과적인 교수 원칙 = 77
3. 효과적인 교사의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는 요인 = 81
4. 효과적인 교수 기술 = 85
제4장 교사와 학생의 관계 = 89
1. 자아충족적 예언 = 91
2. 교사기대의 사회심리적 근거 = 91
3. 교사의 기대효과와 지향점 = 93
4. 낙인이론 = 99
제5장 주의 집중 = 107
1. 주의 집중의 개념 = 109
2. 주의 집중 방법 = 110
3. 교실에서 주의 집중을 형성·유지하는 방안 = 114
4. 구체적인 주의 집중 방법 = 121
5. 강화 = 129
6. 결손 행동 증강을 위한 행동 수정 = 147
7. 과잉 행동 약화를 위한 행동 수청 = 150
8. 행동 수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 151
9. 소란스러운 교실을 조용히 시키는 구체적 방법 = 154
제6장 창의성을 높이는 발문법 = 157
1. 발문의 개념 = 159
2. 발문의 목적= 160
3. 발문 유행의 분류 = 162
4. 창의성을 높이는 발문 = 172
5. 발문의 방법 = 178
6. 발문 내용의 구성 = 181
7. 발문의 분위기 조성 = 182
8. 발문의 적시성 = 183
9. 발문의 처리 = 183
10. 발문과 학업 성취 및 사고력 = 184
11. 발문의 실제 = 186
12. 창의성을 높이는 발문을 활용한 수업지도안의 구성 = 191
13. 발문의 원리 = 194
14. 발문에 대한 반응 유형 = 196
15. 학급 토의에서 학생의 언어적 참여를 증가시키는 방법 = 203
제7장 교사의 상담 및 대화기법 = 207
1. 대화기법의 필요성 = 210
2. Rogers의 상담이론 = 210
3. Ginot의 『교사와 학생 사이』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 행동에 대한 교사의 자세 = 215
4. 교사의 대화 전략 = 220
5. 교사 효율성 훈련(T.E.T.)의 특성 = 223
6. 효율적인 의사 소통의 기법 = 231
7. Dinkmeyer 등의 효율적인 교수를 위한 체계적 훈련 = 233
8. 4명의 격려받은 학생 = 236
9. 의사소통: 경청하기 = 240
제8장 훈육 = 251
1. 문제행동의 이해 = 253
2. 문제행동 수정연구 사례 = 261
3. 문제행동의 원인과 해결 방안-심리학적인 분석을 중심으로 = 264
4. 문제행동을 다루는 방법 = 271
제9장 학급경영 = 275
1. 학급경영의 개념 및 의의 = 277
2. 학급경영의 원리 = 280
3. 효율적인 학급경영의 요건 = 282
4. 학급경영시 효율적인 문제해결 = 289
5. 교사의 학급경영 사례 = 294
제10장 교원의 권리와 의무 = 299
1. 교원의 권리 = 301
2. 교원의 의무 = 315
3. 외국의 교원보수제도 = 319
4. 우리 나라의 교원보수제도 = 322
제11장 교육 인사 행정 = 327
1. 교육 인사 행정의 개념과 기능 = 330
2. 교육 직원의 선발과 임용 = 333
3. 승진 제도 = 355
4. 전직과 전보 = 362
5. 교육 직원의 능력 발전 = 366
6. 영국의 교원 정책과 한국의 교원 정책 비교 = 367
7. 일본의 교원 정책 = 369
제12장 교원의 윤리 = 373
1. 교원윤리의 중요성 = 375
2. 교원윤리의 범위 = 380
3. 교원윤리의 성격 = 383
4. 교원윤리의 제측면 = 386
5. 우리 나라의 교원윤리 강령 = 394
6. 교원윤리에 관한 유형별 사례 = 409
제13장 교원단체 = 415
1. 한국의 교원단체 = 417
2. 한국교원단체의 어제와 오늘 = 427
3.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431
4.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활동 = 442
5. 한국교원노동조합 = 449
6. 한국교총과 교원노조 = 450
7. 외국의 교원단체 = 453
8. 교원단체활동의 개선방향 = 466
부록 = 469
참고문헌 = 481
찾아보기 = 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