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35namccc200361 k 4500 | |
001 | 000000720044 | |
005 | 20100807031940 | |
007 | ta | |
008 | 010905s2001 ulk 001a kor | |
020 | ▼a 8977358361 ▼g 93700 : ▼c \13000 | |
035 | ▼a KRIC08010370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196192 ▼f 개가 ▼l 111196193 ▼f 개가 ▼l 111196194 ▼f 개가 |
082 | 0 4 | ▼a 417.7 ▼2 21 |
090 | ▼a 417.7 ▼b 2001 | |
100 | 1 | ▼a Armstrong, David F. |
245 | 1 0 | ▼a 몸짓과 언어본성 / ▼d David F. Armstrong [저] ; ▼e William C. Stokoe ; ▼e Sherman E. Wilcox [공저] ; ▼e 김영순 역 ; ▼e 백혜정 ; ▼e 이준석 [공역]. |
246 | 1 9 | ▼a Gesture and the nature of language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1. | |
300 | ▼a 370 p. ; ▼c 25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 : p. 321-345 | |
650 | 0 | ▼a Gesture. |
650 | 0 | ▼a Sign language. |
650 | 0 | ▼a Biolinguistics. |
650 | 0 |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x Syntax |
650 | 0 | ▼a Language and languages ▼x Origin. |
700 | 1 | ▼a Stokoe, William C. |
700 | 1 | ▼a 김영순, ▼e 역 ▼0 AUTH(211009)39640 |
700 | 1 | ▼a 백혜정, ▼e 역 ▼0 AUTH(211009)111823 |
700 | 1 | ▼a 이준석, ▼e 역 ▼0 AUTH(211009)85432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7.7 2001 | Accession No. 11119619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7.7 2001 | Accession No. 1111961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7.7 2001 | Accession No. 1111961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David E. Armstrong(지은이)
<몸짓과 언어본성>
김영순(옮긴이)
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공과대학교에서 문화교육학부 석사,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학과장, 인하대 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 BK21 FOUR 글로컬다문화교육연구단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다문화 사회와 공존의 인문학』,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이론가들』, 『다문화교육과 협동학습 경험』, 『이주여성의 상호문화 소통과 정체성 협상』, 『공유된 미래 만들기』가 있다. 연구방법론 분야의 공동저술로는 『질적 연구 여행』, 『질적연구의 즐거움』이 있다. 또한 다문화교육 및 교육인류학 분야에서 등재지 이상 학술지 논문 140여 편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의 말 개요 육체로부터 온 언어 제1장 몸짓의 세계 1.1 기호 언어와 구두 언어 = 17 1.2 몸짓으로서의 말 = 20 1.3 몸짓으로서 기호화 = 24 1.4 의미적 음운론 = 25 1.5 몸짓으로서의 언어 = 30 1.6 언어의 진화적 관점 = 31 1.7 통사론 파악하기 = 37 제2장 몸짓의 본성 2.1 기호와 스피치의 비교 = 45 2.1.1. 형식주의적 접근 = 46 2.1.2. 인지적 대안 = 54 2.2 몸짓이란 무엇인가? = 58 2.3 동작으로서의 스피치 = 64 2.4 몸짓의 양면성 = 68 2.5 인식의 범주화 = 71 2.6 지각을 위한 운동의 역할 = 74 2.7 전국적 사상, 선개념 및 선통사론 = 78 2.8 사건 인지와 언어 = 80 2.9 시각적 몸짓 : 보는 언어 = 86 제3장 기호 언어와 구두 언어는 다르게 조직되어 있는가? 3.1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 온 언어 = 93 3.2 기호 언어의 기술 = 100 3.3 하부 어휘 층위의 조직적 유사성 찾기 = 102 3.4 차이점 발견 = 115 3.5 요약 = 126 제4장 언어는 단원적인가? 4.1 언어에 대한 단원이론과 연합이론 = 131 4.2 단원성과 대뇌 국지화 = 133 4.3 적응성과 연합주의 = 135 4.4 언어적 양상과 단원성 = 137 4.5 "공간적" 통사론과 좌뇌 = 141 4.6 동시성과 계시성 : 모듈과 = 144 4.7 말과 기호에서 동시조음 = 148 4.8 단원주의와 연합주의 = 158 제5장 언어 습득 욕구는 선천적인가? 5.1 보편 문법 = 168 5.2 언어 발달에 있어서 유전적으로 결정된 이정표가 있는가? = 169 5.3 무엇이 숙달되어야 하는가? 구조와 적응성 = 173 5.4 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와 종의 특성 = 175 5.5 문법 유전자? = 182 5.6 과거 시제와 준모듈 방식 = 183 5.7 분포된 신경회로와 신경적 다원주의 = 191 5.8 몸짓 습득 이론의 특성 = 194 제6장 사회로부터 온 언어 6.1 우주의 특별한 부분에서 온 언어 = 197 6.2 움직임, 두뇌, 사회, 언어 = 204 제7장 통사론의 기원 : 명명과 관계로서 몸짓 7.1 언어의 체계 = 219 7.2 두 번째 하위 체계 = 225 7.3 전체 뇌에서의 언어 = 228 7.4 기호 언어와 손짓 = 236 7.5 몸짓 통사론 = 238 7.6 씨앗 속의 나무 = 242 7.7 씨앗의 개화 = 247 7.8 문화와 공동 진화하는 언어 = 252 7.9 패턴의 정교화 = 254 7.10 몸짓과 도상성 = 258 7.11 통사론 신호하기 = 263 제8장 신체로부터 온 언어 : 진화론적 관점 8.1 인간 적응 복합체 = 270 8.2 다윈 이론 : 점진주의, 증진주의 그리고 중단 = 276 8.3 대뇌 불균형의 진화 = 282 8.4 인류의 생활 양식 = 289 8.5 조상의 가계 = 291 8.6 인류의 사회적 행동 = 294 8.7 언어의 기원과 진화 = 302 8.8 진화적인 문제로서 언어와 수명 = 311 8.9 신체로부터 온 언어 : 최종 은유들 = 317 참고문헌 = 321 찾아보기 =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