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스위스연방민주주의 연구

스위스연방민주주의 연구 (3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안성호
서명 / 저자사항
스위스연방민주주의 연구 / 안성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대영문화사 ,   2001.  
형태사항
446 p. ; : 삽도 ; 26 cm.
ISBN
8976441001
일반주기
부록: 1. 스위스의 민병제와 민방위제. 2. 연방하원의원의 투표방법. 3. 스위스연방헌법.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87-390.)과 색인수록
000 00752camccc200229 k 4500
001 000000720023
005 20100807031914
007 ta
008 010910s2001 ulka 001a kor
020 ▼a 8976441001 ▼g 93350 : ▼c \17,000
035 ▼a KRIC07951809
040 ▼a 242009 ▼c 242009 ▼d 211009
049 1 ▼l 111196222 ▼f 개가 ▼l 111196223 ▼f 개가 ▼l 111196224 ▼f 개가
082 0 4 ▼a 321.809494 ▼2 21
090 ▼a 321.809494 ▼b 2001
100 1 ▼a 안성호 ▼0 AUTH(211009)65936
245 1 0 ▼a 스위스연방민주주의 연구 / ▼d 안성호 지음.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 ▼c 2001.
300 ▼a 446 p. ;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 1. 스위스의 민병제와 민방위제. 2. 연방하원의원의 투표방법. 3. 스위스연방헌법.
504 ▼a 참고문헌( p. 387-390.)과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1.809494 2001 등록번호 1111962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1.809494 2001 등록번호 1111962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1.809494 2001 등록번호 1111962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1.809494 2001 등록번호 1511133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1.809494 2001 등록번호 1111962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1.809494 2001 등록번호 1111962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1.809494 2001 등록번호 1111962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1.809494 2001 등록번호 1511133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안성호(지은이)

한국행정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으며, 세종-제주자치분권발전특위 위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전대학교 교수와 부총장, 한국지방자치학회회장, 지방분권개헌국민행동 공동의장 등을 역임했다. 『왜 분권국가인가』, 『양원제 개헌론』, 『현대리더십의 이해』, 『분권과 참여: 스위스의 교훈』, 『스위스 연방민주주의 연구』, 『한국지방차치론』, 『리더십철학(번역)』 등의 책을 출간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3

제1부 스위스연방민주주의의 이해

 제1장 스위스연방의 지리와 역사

  제1절 스위스연방의 지리 = 25

  제2절 스위스연방의 역사 = 31

   1. 서약자동맹 시대 = 32

   2. 헬베티아공화국 시대 = 39

   3. 조정헌법 시대 = 41

   4. 동맹협약 시대 = 42

   5. 연방국가 시대 = 46

 제2장 다문화사회의 정치적 통합

  제1절 스위스 국민통합의 성공요인= 53

   1. 문화적 요인 = 54

   2. 경제적 요인 = 56

   3. 외부적 압력 = 57

   4. 민주주의와 사회적 가치 = 58

   5. 민주주의와 연방주의의 결합 = 60

  제2절 종교적 소수와 민족적 소수 : 공존에서 다원주의로 = 62

   1. 정치적 구교주의 : 분열에서 통합으로 = 62

   2. 복수언어주의 = 66

   3. 주-라 캔톤의 분리 : 통합의 예외 = 71

  제3절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도전 = 73

   1. 본거지 없는 노동계급 = 73

   2. 계급투쟁에서 경제적 동반관계로 = 75

  제4절 비례대표제 : 권력공유의 열쇠 = 80

  제5절 스위스 다원주의의 한계 : 통합을 위한 새로운 도전 = 82

 제3장 연방주의

  제1절 스위스 연방주의의 성격 = 85

   1. 스위스 연방주의의 형성 = 85

   2. 연방·캔톤·코뮌 간의 권한배분 = 87

   3. 비중앙집권화 = 90

   4. 연방·캔톤·코뮌의 관계 = 92

  제2절 의사결정과정의 연방주의적 특징 = 93

   1. 양원제 입법부 = 93

   2. 정당과 이익집단 = 98

   3. 국민과 캔톤의 투표 = 105

   4. 코뮌의 중요성 = 105

   5. 주민의 자원봉사행정 = 109

  제3절 스위스 연방제의 운영 = 111

   1. 협동적 연방주의 = 111

   2. 정책실험을 고무하는 연방주의 = 113

   3. 불평등을 완화하는 연방주의 = 118

   4. 지역 간 연대를 고무하는 연방주의 = 119

   5. 분리주의 문제의 연방적 해법 : 주-라 캔톤의 출현 = 123

  제4절 스위스 연방주의의 한계 = 127

   1. 집행의 한계 = 127

   2. 연방정부의 취약성 = 129

  제5절 스위스 연방주의에 대한 도전 = 133

   1. 연방주의와 민주주의의 갈등 = 133

   2. 대도시권 문제 = 138

   3. 국제화와 지방분권화의 양립가능성 = 140

 제4장 준직접민주주의와 권력공유

  제1절 스위스의 준직접민주주의 = 145

   1. 시민투표 = 145

   2. 시민발안 = 147

   3. 직접민주주의와 준직접민주주의의 발달 = 147

  제2절 직접민주주의와 시민참여 = 151

   1. 결정권을 갖는 다수 = 151

   2. 스위스인들의 투표행태 = 153

  제3절 시민투표와 시민발안 = 156

   1. 시민투표와 시민발안에서 다룬 쟁점들 = 156

   2. 정치적 의제설정과 직접민주주의 = 157

   3. 시민투표와 시민발안의 활용 = 159

   4. 시민투표와 시민발안의 상이한 효과 = 161

   5. 시민투표의 이해 = 166

   6. 시민투표에 의한 권력공유 = 173

   7. 스위스의 준직접민주주의에 대한 평가 = 183

 제5장 스위스연방민주주의의 성격 : 비교의 관점

  제1절 직접민주주의 = 195

   1. 직접민주주의의 경험 비교 = 195

   2. 미국과 스위스의 직접민주주의 비교 = 199

   3. 직접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 = 205

  제2절 연방주의 = 211

   1. 연방주의의 요소 = 211

   2. 연방주의의 구조·과정·문화 = 213

   3. 연방주의의 현대적 의미 = 215

   4. 비영토적 연방주의 = 222

  제3절 권력공유와 협의민주주의 = 224

   1. 다수결민주주의와 협의민주주의 = 224

   2. 민주적 권력공유 : 다문화사회 갈등해결의 열쇠 = 227

   3. 성공적 권력공유의 비결 : 민주주의 문화의 형성 = 231

제2부 스위스연방민주주의의 통치구조와 지방자치제도

 제6장 연방과 캔톤의 관계

  제1절 연방과 캔톤 간의 권한배분 = 235

   1. 입법권의 배분 = 237

   2. 집행권의 배분 = 240

  제2절 연방과 캔톤의 협동 = 241

  제3절 캔톤의 지위 = 242

   1. 캔톤의 국정참여 = 242

   2. 캔톤에 대한 연방통제 = 243

 제7장 연방의회·연방내각·연방법원

  제1절 연방의회 = 249

   1. 연방의회의 조직 = 249

   2. 연방의회의 활동 = 255

   3. 연방의회의 권한 = 259

   4. 연방의회의원의 법적 지위 = 265

  제2절 연방내각 = 266

   1. 연방내각의 지위 = 266

   2. 연방내각의 조직 = 266

   3. 연방내각의 권한 = 272

   4. 연방행정부 = 276

  제3절 연방법원 = 278

   1. 연방법원의 지위 = 278

   2. 연방법원의 조직 = 279

   3. 연방법원의 권한 = 283

   4. 헌법재판권 = 286

 제8장 준직접민주주의제도

  제1절 참정권과 준직접민주주의제도 = 293

   1. 참정권 = 293

   2. 준직접민주주의 제도 = 294

  제2절 시민투표제 = 296

   1. 헌법시민투표 = 296

   2. 법률시민투표 = 297

   3. 조약시민투표 = 297

   4. '긴급일반구속적 연방결의'에 대한 시민투표 = 298

  제3절 시민발안제 = 299

   1. 헌법시민발안 = 300

   2. 법률시민발안 = 301

   3. 행정시민발안 = 301

  제4절 시민소환제 = 302

  제5절 기타 선거권 = 303

 제9장 지방자치제도

  제1절 캔톤자치제도 = 305

   1. 캔톤의 입법기관 = 308

   2. 캔톤내각 = 314

   3. 캔톤의 사법기관 = 318

   4. 캔톤 수준의 정치적 권리 = 319

  제2절 코뮌자치제도 = 322

   1. 코뮌의 정부형태 = 323

   2. 선거인단 = 327

   3. 코뮌의회 = 331

   4. 코뮌의 행정기관 = 332

   5. 코뮌의 정당정치 = 335

  제3절 기타 공공단체 = 336

   1. 디스트릭트 = 336

   2. 코뮌 내의 공공단체 = 337

   3. 특별코뮌 = 338

  제4절 코뮌들의 협력 = 341

   1. 광역행정조직 = 341

   2. 코뮌들의 협정 = 342

  제5절 코뮌에 대한 캔톤의 감독 = 342

   1. 원칙과 감독권의 범위 = 342

   2. 감독방식 = 343

 제10장 재네바 캔톤의 지방자치제도

  제1절 제네바 캔톤의 개관 = 345

  제2절 제네바 캔톤의회 = 348

   1. 캔톤의회의원 = 348

   2. 캔톤의회의 권한 = 349

   3. 캔톤의회의 조직과 운영 = 349

  제3절 제네바 캔톤내각 = 350

   1. 캔톤각료 = 350

   2. 캔톤내각의 권한 = 351

   3. 행정조직 = 352

  제4절 제네바 캔톤의 사법기관 = 352

   1. 민사소송기관 = 353

   2. 형사소송기관 = 354

   3. 행정소송기관 = 354

  제5절 재네바 캔톤의 직접민주주의제도 = 355

   1. 시민발안제 = 355

   2. 시민투표제 = 358

  제6절 코뮌에 대한 제네바 캔톤의 감독 = 359

   1. 코뮌의회의 의결에 대한 캔톤의 승인 = 359

   2. 코뮌재정에 대한 캔톤의 감독 = 360

   3. 코뮌의회의 해산과 행정관의 임명 = 360

   4. 징계처분 = 361

  제7절 재네바 캔톤의 코뮌자치제도 = 361

   1. 제네바 캔톤 코뮌들의 개황 = 361

   2. 코뮌의회 = 363

   3. 코뮌행정기관 = 365

   4. 코뮌들의 직접민주주의제도 = 366

   5. 코뮌들의 광역행정조직 = 369

 제11장 연방·캔톤·코뮌재정

  제1절 연방·캔톤·코뮌재정의 현황 = 371

  제2절 연방·캔톤·코뮌세 = 376

   1. 주요 연방·캔톤·코뮌 공동세 = 378

   2. 주요 연방단독세 = 381

   3. 주요 캔톤·코뮌단독세 = 382

  제3절 재정조정과 지원금 = 384

   1. 재정조정과 지원금의 현황 = 384

   2. 연방의 지원금과 재정조정의 방법 = 385

참고문헌 = 387

〈부록Ⅰ〉 스위스의 민병제와 민방위제 = 391

〈부록Ⅱ〉 연방하원의원의 투표방법 = 398

〈부록Ⅲ〉 스위스연방헌법 = 402

찾아보기 = 44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