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行政史』를 내며 = 5
제1장 한국 행정의 역사적 이해 = 17
제1절 행정사의 의의와 학문적 특징 = 17
1. 행정사의 의의 = 17
2. 행정사 연구의 유용성과 특징 = 18
제2절 행정사의 분류·연구 영역 및 시대 구분 = 24
1. 행정사의 분류 = 24
2. 행정사의 연구 영역 = 25
3. 행정사의 시대 구분 = 27
제3절 행정사의 연구 방법론 = 29
1. 연구 방법의 의의 = 29
2. 연구의 절차 = 30
제2장 행정 이념의 변화 = 33
제1절 머리말 = 33
제2절 행정 이념에 관한 이론적 논의 = 35
1. 용어 정의 = 35
2. 행정 이념의 차원 분류 = 37
3. 성장 단계별 구분 = 38
4. 지배적 경제 유형에 따른 구분 = 43
제3절 국가별 행정 이념 = 44
1. 고려 시대의 행정 이념 = 44
2. 조선 시대의 행정 이념 = 47
3. 일제 시대의 행정 이념 = 52
4. 미 군정기의 행정 이념 = 54
5. 현대 정부의 행정 이념 = 55
제4절 맺음말 = 58
제3장 고조선, 부여 시대의 행정 = 59
제1절 역사적 상황 = 59
1. 고조선 = 59
2. 부여 = 60
제2절 고조선의 행정 = 61
1. 단군 신화 속에 나타난 행정 = 61
2. 행정 환경 = 62
3. 행정 = 62
제3절 부여의 행정 = 64
1. 행정 환경 = 64
2. 왕과 가(加) = 65
3. 사출도(四出道) = 65
4. 법치 = 66
제4장 삼국 시대의 행정 = 67
제1절 고구려 = 67
1. 왕조의 발전 = 67
2. 중앙 통치 조직 = 72
3. 지방 행정 = 76
4. 교육 기관 = 77
제2절 백제 = 78
1. 왕조의 발전 = 78
2. 중앙 통치 조직 = 82
3. 지방 행정 = 85
제3절 신라, 통일 신라의 행정 = 86
1. 신라 왕조의 발전 = 86
2. 관계(官階) : 골품계 = 93
3. 중앙의 주요 관부 = 95
4. 신라의 교육 기관과 독서 삼품과 = 97
5. 지방 제도 = 99
6. 군제 = 100
제5장 고려 시대의 행정 = 103
제1절 고려 왕조의 발전 = 103
1. 체제 안정 발전기 = 103
2. 무신 정권기 = 106
3. 원의 간섭과 고려의 쇠망 = 107
제2절 행정 환경 = 108
1. 정치 = 108
2. 경제 = 110
3. 사회·문화 = 111
제3절 중앙 행정 기관 = 112
1. 삼성 육부제 = 112
2. 관품계 = 117
제4절 지방 행정 제도 = 117
1. 5도 양계 체제로의 발전 = 117
2. 군현 지역과 부곡 지역 = 119
3. 향리, 사심관 = 120
제6장 조선 시대의 행정 = 121
제1절 조선 시대의 행정 환경 = 121
1. 정치 = 121
2. 경제 = 127
3. 사회 = 130
4. 교육·문화 = 132
제2절 조직과 운영 = 134
1. 중앙 행정기관 = 134
2. 지방 행정기관 = 146
제3절 인사/관료 = 154
1. 품계제 = 154
2. 충원 = 157
3. 근무 = 161
제4절 조선 말의 행정 개혁 = 164
1. 대원군·고종의 개혁 = 165
2. 갑오·을미 개혁 = 171
3. 광무 개혁 = 174
제7장 일제 강점기의 행정 = 176
제1절 일제 강점기의 변화 = 176
1. 식민 통치 준비기 = 176
2. 식민 통치 형성기 = 179
3. 회유 조정기 = 180
4. 병참 기지화 및 전시 동원기 = 182
제2절 총독부의 역할과 기구 = 182
1. 조선 총독 = 182
2. 조선총독부 = 184
3. 한국 통치를 위한 법령 = 187
제3절 주요 행정 = 188
1. 사법·경찰·군대 행정 = 188
2. 자문 기관 = 191
3. 경제·행정 = 192
4. 교육 행정 = 195
제4절 지방행정 = 196
1. 지방 행정 기구와 조직 = 196
2. 지방관 = 197
제5절 일제 말기의 전시 행정 체제 = 200
1. 일제 말기의 전시 행정 체제 = 200
제6절 활발한 독립 운동 = 202
1. 한일 합방 전후의 독립 운동 = 203
2. 1920년대 이후 국내의 항일 투쟁 = 203
3. 해외의 항일 투쟁 = 205
제8장 미 군정기 = 207
제1절 행정 환경 = 207
1. 정치 = 207
2. 경제 = 209
3. 사회 = 211
제2절 행정 조직 = 212
1. 중앙 행정 조직 = 212
2. 지방 행정 조직 = 214
제3절 제도 개선 및 인사 관리 = 215
1. 제도 개선 = 215
2. 인사 관리 = 217
3. 형태 = 218
제4절 주요 정책 = 219
1. 경제 정책 = 219
2. 교육 정책 = 222
3. 경찰 정책 = 223
제9장 대한민국의 발전과 행정 환경 변화 = 225
제1절 이승만 대통령 시대 = 225
제2절 윤보선 대통령 시대 = 228
제3절 박정희 대통령 시대 = 229
1. 정치 = 229
2. 경제 = 235
3. 사회·문화 = 236
제4절 전두환 대통령 시대 = 239
1. 정치 = 239
2. 경제 = 241
3. 사회·문화 = 244
제5절 노태우 대통령 시대 = 246
1. 정치 = 246
2. 경제 = 248
3. 사회·문화 = 250
제6절 김영삼 대통령 시대 = 252
1. 정치 = 252
2. 경제 = 254
3. 사회·문화 = 256
제7절 현대 사회, 문화 행정 환경의 변화 = 257
1. 생활 수준 = 257
2. 교육 수준 = 259
3. 민영화 = 261
4. 노사 갈등 = 266
제10장 헌법 : 행정의 근간 = 271
제1절 헌법의 역사 = 271
제2절 헌법의 정신, 기본 원리 = 276
1. 헌법 전문 = 276
2. 헌법 속에 나타난 기본 정신 = 278
제3절 삼권 분립 = 274
제4절 대통령제와 내각제 = 288
제11장 국회, 정당, 이익 집단과 행정 = 292
제1절 국회 = 292
1. 국회의 위치 = 292
2. 국회의 구성 = 297
3. 국회의 역할 = 299
제2절 정당 = 303
1. 정당의 체제 변화 = 303
2. 한국 정당의 구조 = 312
3. 정당의 역할 = 316
제3절 이익집단 = 324
1. 이익집단의 성장과 변화 = 324
2. 한국 이익집단의 과제 = 328
제12장 법원과 행정 = 330
제1절 사법과 사법부 = 330
1. 뜻 = 330
2. 국민들의 재판 청구권과 법원 = 331
제2절 사법부의 조직과 인사 = 331
1. 법원 = 331
2. 법원 행정처 = 336
3. 인사 = 336
제3절 사법부의 운용 = 338
1. 사법권의 독립 = 338
2. 재판 공개 = 339
3. 삼심제 = 339
제4절 헌법재판소 = 340
1. 헌법 재판의 의미와 역사 = 340
2. 조직 = 342
3. 역할 = 344
제5절 행정 심판 = 346
1. 행정 심판의 뜻과 종류 = 346
2. 행정 심판의 당사자, 관계인 = 346
3. 행정 심판 기관 = 347
4. 행정 심판 청구 = 348
제13장 대통령 = 349
제1절 대통령의 위치와 권력 = 349
1. 대통령의 위치 = 349
2. 대통령의 선임 = 351
3. 대통령의 권한 = 353
제2절 역대 대통령 = 356
1. 대통령 개관 = 356
2. 이승만 = 358
3. 윤보선 = 360
4. 박정희 = 361
5. 최규하 = 361
6. 전두환 = 362
7. 노태우 = 363
8. 김영삼 = 364
9. 김대중 = 365
제3절 대통령 비서실 = 366
1. 위치와 역할 = 366
2. 대통령 비서실 기구의 변화 = 370
제14장 정부 조직과 관리 = 373
제1절 관료제 정부 조직의 특징 = 373
1. 관료제란? = 373
2. 관료제의 장점과 단점 = 374
3. 관료제 조직의 변화 = 375
제2절 정부 조직의 변화 = 376
1. 정부 조직 현황 = 376
2. 정부 수립 이후의 중앙 부처 조직의 변화 = 382
3. 특수 행정기관 = 391
4. 지방 행정 조직 = 395
5. 정부 산하기관 = 400
제15장 지방 행정 = 402
제1절 지방 조직의 역사적 변화 = 402
1. 특별시·광역시·도 = 403
2. 시·군·구 = 404
3. 읍·면·동·리 = 404
제2절 지방 행정 역할 변화 = 404
1. 담당 업무 = 404
2. 집권과 분권 = 405
3. 중앙 통제와 지방 자율 = 406
제3절 내무부, 행정자치부에 의한 지방 행정 = 407
1. 내무부 = 407
2. 행정자치부 = 408
제4절 자치 시대의 지방 행정 = 409
1. 지방자치의 역사 = 409
2. 지방 의회 = 411
3. 지방자치단체장 = 415
제16장 인사 행정 = 417
제1절 공무원의 숫자와 종류 = 417
1. 공무원의 숫자 = 417
2. 공무원의 종류 = 419
3. 폐쇄형 공무원제와 개방적 공무원제 = 421
4. 공직 분류 = 423
제2절 공무원 계급 제도 = 424
1. 계급 구분 현황 = 424
2.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424
3. 직업공무원제 = 425
제3절 공무원 임용 제도 = 426
1. 신규 채용 = 426
2. 승진 임용 = 428
3. 근무 성적 평정 = 429
제4절 보수 = 430
1. 보수 체계 = 430
2. 공무원 연금 = 433
3. 보수 차별화 = 436
제5절 공무원 부패 방지 = 439
1. 공무원 징계 = 439
2. 박정희 대통령 시기의 반부패 정책 = 441
3. 전두환 대통령 시기의 반부패 정책 = 444
4. 노태우 대통령 시기의 반부패 정책 = 447
5. 김영삼 대통령 시기의 반부패 정책 = 448
6. 김대중 대통령 시기의 반부패 정책 = 450
제17장 재무행정 = 452
제1절 재정과 재정 규모 = 452
제2절 예산 제도의 변화 = 454
1. 중앙 예산 기관의 변천 = 454
2. 예산 제도의 변화 = 455
3. 예산 절차 = 456
4. 일반 재무 행정 = 458
제18장 북한의 행정 = 461
제1절 머리말 = 461
제2절 북한 행정의 기초와 환경 = 463
1. 북한 행정의 기초 = 464
2. 북한 행정의 환경 = 465
제3절 북한 행정 체계의 구조 = 466
1. 의의 = 466
2. 중앙 행정 = 469
3. 지방 행정 = 471
제4절 북한 행정 체계의 기능 = 475
1. 북한 행정 체계의 대국민 기능 = 475
2. 북한 행정 체계의 국가 발전 전략적 기능 = 477
제5절 북한의 행정 관리 = 479
1. 정책 관리 = 479
2. 국가 계획 = 479
3. 인사 행정 = 480
4. 재무 행정 = 484
5. 관료 행정 = 486
제6절 맺음말 = 487
제19장 한국 행정의 미래 = 489
제1절 세기의 전환점 = 490
제2절 변동 사회의 행정상(行政像) = 494
1. 변화하는 행정의 환경 = 495
2. 행정의 변화 : 주된 추세 = 504
제3절 새로운 행정의 패러다임 = 511
제4절 맺음말 = 514
부록
1. 정부기구 변천 현황 = 516
2. 유형별 현황(기관장 직급순) = 520
3. 특별 지방 행정기관 현황 = 525
4. 부처별 공기업 현황 = 525
참고문헌 = 527
찾아보기 = 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