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후기 = 5
서문 = 9
저자 서문 = 11
한국 독자를 위한 서문 = 13
제1장 들어가며 : 교육의 위기 = 21
제2장 전인교육이란 무엇인가? = 27
1. 전인교육은 풍요로운 삶을 위한 준비이다. = 27
2. 전인교육은 자기충족적이다. = 28
3. 전인교육은 인간중심적이다. = 30
4. 전인교육은 균형과 조화를 추구한다. = 31
5. 전인교육은 동기부여적이다. = 32
6. 전인교육은 통합적이다. = 33
7. 전인교육은 적합성이 있다. = 34
8. 전인교육은 의미가 있다. = 35
9. 전인교육은 내성적(內省的/introspective)이다. = 36
10. 전인교육은 외향적(extrospective)이다. = 36
제3장 전인교육과 학습자 = 39
1. 들어가며 = 39
2. 학생의 권리 = 40
3. 학생의 책임 = 41
4. 학생의 행위와 행동 = 43
5. 학생의 자아상 = 45
6. 타인들에 대한 학생의 가치 = 46
7. 학생의 목적과 목표 = 47
8. 학생의 통로와 활동 = 48
9. 학생의 상호작용 = 49
10. 학생들의 시간 사용 = 50
제4장 전인교육과 교사 = 53
1. 들어가며 = 53
2. 교사의 역할에 대한 비전 = 56
3. 교사의 계획 = 57
4. 교사와 학생의 관계 = 59
5. 교사의 교수양식 = 60
6. 학생의 향상에 대한 교사의 평가 = 61
7. 교사의 자질 = 64
8. 교사의 직업적인 성장 = 66
9. 교사의 시간과 스케쥴 = 66
제5장 전인교육과 교육과정 = 69
1.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 69
2. 교육과정의 통합 = 69
3. 교육의 구성요소 = 74
4. 교육의 구성요소의 통합 = 75
5. 현 교육과정의 주요한 문제들 = 77
6. 전인교육과 교육과정 = 79
제6장 전인교육과 언어 = 81
1. 들어가며 = 81
2. 언어의 구성 요소 = 81
3. 언어 기능 = 85
4. 언어 사용 = 86
5. 언어교수-학습의 주요 목표 = 87
6. 사용방법의 결정 = 89
7. 사용방법에 대한 결론 = 93
8. 전인교육과 언어 = 94
제7장 전인교육과 사회과학 = 99
1. 사회과학이란 무엇인가? = 99
2. 사회과학 교수-학습의 주요 목표 = 101
3. 사회과학의 통합 = 104
4. 사회과학과 다른 학문들과의 통합 = 106
5. 전인교육과 사회과학 = 107
제8장 전인교육과 생명과학·물상과학 = 111
1. 생명과학과 물상과학이란 무엇인가? = 111
2. 과학 교수-학습의 주요 목표 = 112
3. 생명과학과 물상과학의 통합 = 115
4. 과학과 다른 학문들과의 통합 = 116
5. 전인교육과 생명과학·물상과학 = 119
제9장 전인교육과 수학 = 123
1. 들어가며 = 123
2. 수학 교수-학습의 주요 목표 = 124
3. 수학공부의 통합 = 126
4. 수학과 다른 학문들과의 통합 = 129
5. 논리, 통찰력, 창의성의 발달 = 132
6. 전인교육과 수학 = 136
제10장 전인교육과 자유교과 = 139
1. 자유교과에서 '자유'의 의미 = 139
2. 자유교과 교수-학습의 주요 목표 = 140
3. 자유교과와 다른 학문들과의 통합 = 144
4. 전인교육과 자유교과 = 146
제11장 전인교육과 학교행정 = 147
1. 들어가며 = 147
2. 기본적인 요구와 목표 : 학습관리 = 147
3. 교육행정의 적합한 원리 = 148
4. 방문객들이 보는 전반적인 학교풍토 = 151
5. 교장의 관계 = 152
제12장 전인교육과 지역사회 = 159
1. 들어가며 = 159
2. 지역사회 활동을 통한 학점 이수 = 160
3. 지역사회 일에 참여하여 얻는 이점 = 165
제13장 전인교육의 실행 = 169
1. 들어가며 = 169
2. 전인교육의 주요목표 = 170
3. 실제적인 권장사항 = 171
제14장 결론 = 179
1. 혁명인가? 발전인가? = 179
2. 주의사항 = 182
주/참고문헌 = 185
인명색인 = 191
내용색인 = 193
지은이·옮긴이 소개 =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