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모택동 선집. 1

모택동 선집. 1 (Loan 6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毛泽东, 1893-1976 김승일, 1955-, 역
Title Statement
모택동 선집. 1 / 모택동 ; 김승일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범우사,   2001   (2014 2쇄)  
Physical Medium
401 p. : ; 23 cm
Series Statement
중국문화총서 ;3-1
Varied Title
毛澤東選集
ISBN
890804194X 8908041931(세트)
Subject Added Entry-Geographic Name
China --History --1949-1976
주제명(개인명)
Mao, Zedong,   1893-1976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00717607
005 20221110154651
007 ta
008 010917s2001 ulk 000c kor
020 ▼a 890804194X ▼g 04910
020 1 ▼a 8908041931(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chi
049 1 ▼l 111196653 ▼f 개가 ▼l 111196654 ▼f 개가
082 0 4 ▼a 335.4345 ▼a 951.05092 ▼2 23
085 ▼a 335.4345 ▼2 DDCK
090 ▼a 335.4345 ▼b 2001 ▼c 1
100 1 ▼a 毛泽东, ▼d 1893-1976 ▼0 AUTH(211009)97896
245 1 0 ▼a 모택동 선집. ▼n 1 / ▼d 모택동 ; ▼e 김승일 옮김
246 0 9 ▼a 毛澤東選集
246 3 ▼a Mao Zedong xuanji
260 ▼a 서울 : ▼b 범우사, ▼c 2001 ▼g (2014 2쇄)
300 ▼a 401 p. : ; ▼c 23 cm
440 0 0 ▼a 중국문화총서 ; ▼v 3-1
600 1 0 ▼a Mao, Zedong, ▼d 1893-1976
651 0 ▼a China ▼x History ▼y 1949-1976
700 1 ▼a 김승일, ▼d 1955-, ▼e
900 1 0 ▼a 마오쩌둥,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5.4345 2001 1 Accession No. 1111966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345 2001 1 Accession No. 11119665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345 2001 1 Accession No. 1117812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5.4345 2001 1 Accession No. 1511709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5.4345 2001 1 Accession No. 1111966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345 2001 1 Accession No. 11119665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345 2001 1 Accession No. 1117812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5.4345 2001 1 Accession No. 1511709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총 4 권으로 이루어진 모택동 선집은 중국인들이 존경하는 모택동의 사상과 철학을 그가 발표한 저작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모택동 사상은 초기(1911 ~1920)와 중기(1921 ~ 1957) 그리고 후기(1958 ~ 1976)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1차 국공합작과 장정 등을 거쳐 1940년대에 많은 부분이 완성되었다.

이 책에는 유격전술, 대중조직 방법,토지개혁 방법, 민족통일전선의 형성과 구상, 신민주주의 의론, 사상개조운동, 실천론과 모순론 등 중국혁명의 각 시기에 있어서 모택동의 주요한 사상이 정리.집대성되어 있다.


◎ 모택동이 직접 편집과 교열에 참여한 선집 전4권을 8년에 걸쳐 완성!

범우사는 [모택동 선집] 제2판을 지난 1999년 베이징 인민출판사와 독점계약하여 번역작업을 착수하여 드디어 4권을 완간했다.
[모택동 선집](제1~4권)의 초판은 50년대 초부터 60년대 초를 전후하여 출판되었다. 그로부터 30~40년이 지난 후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는 중국공산당 창건 70돌을 맞아 이를 수정하여 제2판을 출판키로 결정했다. 초판 편집은 모택동이 직접 참여하여 지도하는 가운데 출판된 것이기에, 제2판에서는 원래 수록한 글들을 그대로 두고 <서책주의를 반대하는가>라는 글 한 편만을 더 보충하였다. 이 글은 한때 분실되었던 것을 60년대 초에 다시 찾은 것으로, 찾은 후에 모택동이 교열을 거쳐 1964년에 출판한 <모택동 저작선>에 처음 공개적으로 발표한 글이다. 거기에다 제2판에서는 초판에서 잘못 밝혀진 집필 날짜와 발표일을 고쳤고, 본문에 있는 서술 가운데 역사적 사실과 다르게 표현된 오식과 누락 등을 정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수정 작업은 모택동의 의견에 따라 1962년부터 착수하여 근 20~30년간 지속되었으며, 이에 진행된 사료 수집과 학술 연구를 통해 얻은 성과에 근거하여 수정하고 보충하였다. 이 선집에는 여타 저작집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던 일부 중요한 연설이나 포고문, 기사 등이 모두 수록되어 있다.

◎ 모택동 사상의 정수, 대중지도 이론의 진수

《모택동 선집》은 총4권으로 되어 있는데 1권에는 제1925년부터 1927년까지의 1차 국내혁명전쟁 시기와 1928년부터 1937년까지의 2차 국내혁명전쟁 시기의 저작들이 수록되어 있다. 2권에는 1937년부터 1941년까지의 항일전쟁 시기의 저작들이 수록되어 있고 3권에는 항일전쟁 시기의 저작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4권에는 제3차 국내혁명전쟁 시기의 저작들이 시대별로 체계적으로 수록되어 있다.
1권에는 유격전술, 대중조직 방법, 토지개혁 방법, 민족통일전선의 형성과 구상, 신민주주의 의론, 사상개조운동, 실천론과 모순론 등 중국혁명의 각 시기에 있어서의 모택동의 주요한 사상이 정리, 집대성되어 있다.
2권에는 일본에 대항하여 투쟁의 기치를 세우려는 모택동의 저작들과 항일을 위한 여러가지 전략들이 소개되어 있다. 국공 분열보단 다함께 항전의 승리라는 하나의 목표를 위해 투쟁해야 한다는 모택동의 강한 의지와 사상을 엿볼 수 있다.
3권에는 확대되고 본격화 되어가는 항일전쟁을 수행하는 중국공산당원의 과제와 자세, 침략자인 일제에 투항하고 협조하던 매국노들에 대한 질타, 항일전쟁보다 도탄에 빠진 인민에 대한 수탈과 공산당 타도에만 힘을 기울이는 부패한 국민당 정권에 대한 항의, 그리고 앞으로 중국 인민 전체를 이끌어가야 할 중국공산당원들의 마음가짐과 태도에 대한 가르침이 정리, 집대성되어 있다.
4권에는 제2차세계대전의 종료 후 패망한 일본의 잔재 세력과 국민당 세력, 이를 지원하는 미국에 대한 공산당의 입장과 대중에 대한 선전, 성장해 가는 공산당 당원을 독려하고 어떻게 더욱 성장시켜 나아갈 것인가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 여전히 유효한 모택동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기회

그의 사상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반봉건?반식민지적인 중국사회에 접목시켜 공산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전술상의 요청으로 나온 혁명이론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이 책의 기조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영향을 받았지만, 한편으로는 중국적 전통도 함께 중시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모택동의 독창적 사상의 표현이자 중국 혁명의 지도이념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화대혁명에 대한 비판으로 모택동 사상은 쇠락했으며 오늘날에도‘4대 현대화’정책의 추진으로 격하되어 가고 있지만, 그의 모순론이나 신민주주의론 등의 몇몇 이론들은 아직도 일부 이론가들에게 적지 않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아직도 중국인들의 존경을 받고 있는 모택동의 사상과 철학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마오쩌둥(지은이)

중국의 정치가이자 공산주의이론가, 혁명가. 후난성(湖南省) 샹탄현(湖潭縣) 출생. 젊은 시절 마르크스주의에 접하여 1921년 7월 중국공산당의 제1회 대표대회에 참가했고, 농민운동에 종사하다가 1931년 11월 장시성(江西省) 루이진(瑞金)의 중화소비에트 임시정부 주석을 맡았다. 대장정(大長征)을 거쳐 산시성(陜西省) 옌안(延安)에 근거지를 마련한 후 항일 민족통일전선을 강화하는 전술을 취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동시에 중앙인민정부 주석이 된 후 1958년부터 대약진 운동 등 급진정책을 시행하다가 실패하여 1959년 류사오치(劉少奇)에게 국가주석을 넘겨주었다. 1966년부터 청년학생 중심의 홍위병을 앞세워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을 발동하여 중국사회에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남겼다. 1976년 4월 오랜 독재 정치에 항거하는 텐안먼(天安門)사건이 일어났고, 그는 이 해 9월 83세를 일기로 병사했다. 1981년 6월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그의 공과(功過)에 대해 ‘공적이 1차적이고, 과오는 2차적’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김승일(옮긴이)

경기도 안성 출신. 동국대 사학과(문학학사). 대만국립정치대(문학석사), 일본 규슈대(문학박사) 등에서 중국역사를 연구하고 귀국한 후,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을 거쳐 국민대와 동아대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연구와 강연활동중. 한중일 3개국에서의 생활과 경험을 통해 동아시아세계의 문화교류, 사회경제 교류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역사와 동아시아 지역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정책을 연구하여 동아시아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데 진력하고 있다. 논문으로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 비교연구〉, 〈에도시기, 일본의 조선 성리학 수용과 그 의의에 대한 연구〉, 〈21세기 동아시아 협력의 이념과 전략〉 등 150여 편을 발표하였고, 《한민족과 동아시아 세계》, 《한중관계의 오해와 진실》, 《중국혁명의 기원》 등의 저서 35권, 《모택동 선집》, 《등소평 문선》, 《한중관계사》 등 130여 권의 역서를 출간하였다. 중국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중국정부로부터 2012년 제6회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으며, 2015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해외전문위원에 발탁되어 활동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출간사 = 3
서문 = 5
제1차 국내혁명전쟁 시기
 중국의 사회 각 계층 분석(1925년 12월 1일) = 17
 호남농민운동 시찰보고(1927년 3월) = 29
  1. 농민문제의 중요성 = 29
  2. 농민조직의 성공 = 30
  3. 토호열신을 타도하고 모든 권력을 농민협회로 = 31
  4. '참! 엉망이군!'과 '참! 잘되었군!' = 33
  5. 소위 '과격하다'는 문제 = 34
  6. 소위 '불한당운동'이란? = 36
  7. 혁명의 선봉 = 37
  8. 14가지 대사업 = 41
제2차 국내혁명전쟁 시기
 중국의 홍색정권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1928년 10월 5일) = 73
  1. 국내의 정치정세 = 73
  2. 중국에서 홍색정권이 탄생하고 존재하는 원인 = 74
  3. 호남·강서 접경지대의 할거와 8월의 실패 = 77
  4. 호남·강서 접경지대의 할거 국면이 호남·호북·강서 세 성에서 차지하는 위치 = 79
  5. 경제 문제 = 79
  6. 군사근거지 문제 = 80
 정강산 투쟁(1928년 11월 25일) = 84
  1. 호남·강서 접경지대의 할거와 8월의 실패 = 84
  2. 할거지구의 현정세 = 90
  3. 군사 문제 = 91
  4. 토지 문제 = 99
  5. 정권 문제 = 103
  6. 당조직 문제 = 105
  7. 혁명의 성격 문제 = 110
  8. 할거지구 문제 = 112
 당내의 그릇된 사상을 시정하는 문제에 대하여(1929년 12월) = 119
  1. 단순한 군사적 관점에 대하여 = 120
  2. 극단적 민주화에 대하여 = 122
  3. 비조직적 관점에 대하여 = 124
  4. 절대적 평균주의에 대하여 = 125
  5. 주관주의에 대하여 = 126
  6. 개인주의에 대하여 = 127
  7. 유구사상에 대하여 = 129
  8. 맹동주의의 잔재에 대하여 = 130
 한 점의 불꽃도 들판을 태울 수 있다(1930년 1월 5일) = 133
 서책주의를 반대하자(1930년 5월) = 147
  1. 조사 없이는 발언권이 없다 = 147
  2. 조사는 곧 문제 해결의 열쇠다 = 148
  3. 서책주의를 반대하자 = 149
  4. 실정조사가 없으면 관념론적인 계층평가와 사업 지도가 행해지게 되며, 그렇게 되면 기회주의 혹은 맹동주의에 빠지게 된다 = 150
  5. 사회경제 조사가 정확한 계층평가의 기준이 되는 것이며, 이 평가에 의해 정확한 투쟁전술을 결정할 수 있다 = 151
  6. 중국혁명투쟁의 승리는 동지들이 얼마만큼 중국 정세를 이해하는가에 달려 있다 = 153
  7. 조사의 기술 = 155
 경제사업에 주의를 기울이자(1933년 8월 12일) = 158
 농촌의 계층을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1933년 10월) = 167
 우리의 경제 정책(1934년 1월) = 171
 대중 생활에 관심을 두고 사업 방법에 주의를 기울이자(1934년 1월 27일) = 177
 일본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전술에 대하여(1935년 12월 27일) = 184
  1. 현 정치 정세의 특성 = 184
  2. 민족통일전선 = 194
  3. 인민공화국 = 199
  4. 국제적 원조 = 204
 중국혁명전쟁의 전략 문제(1936년 12월) = 216
  1. 전쟁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 216
   (1) 전쟁의 법칙은 발전한다 = 216
   (2) 전쟁의 목적은 전쟁을 없애는 데 있다 = 220
   (3) 전략문제란 전쟁의 전반적인 국면의 법칙을 연구하는 것이다 = 221
   (4) 중요한 문제는 학습을 잘하는 데 있다 = 225
  2. 중국공산당과 중국혁명전쟁 = 230
  3. 중국혁명전쟁의 특성 = 233
   (1) 이 문제의 중요성 = 233
   (2) 중국혁명전쟁의 특성은 무엇인가 = 235
   (3) 여기에서 우리의 전략전술이 나온다 = 238
  4. '포위토벌'과 '반포위토벌' - 중국내전의 주요 형태 = 239
  5. 전략적 방어 = 244
   (1) 적극적 방어와 소극적 방어 = 244
   (2) '반포위토벌'의 준비 = 248
   (3) 전략적 퇴각 = 250
   (4) 전략적 반격 = 264
   (5) 반격개시 문제 = 266
   (6) 병력집중 문제 = 274
   (7) 운동전 = 281
   (8) 속결전 = 286
   (9) 섬멸전 = 290
 장개석의 성명에 대한 성명(1936년 12월 28일) = 300
 항일시기에 있어서 중국공산당의 임무(1937년 5월 3일) = 308
  1. 민족적 모순과 국내적 모순의 현 발전단계 = 308
  2. 민주주의와 자유를 위해 = 312
  3. 우리의 영도 책임 = 318
 천백만 대중을 항일민족통일전선으로 투입하기 위해 투쟁하자(1937년 5월 8일) = 330
  1. 평화 문제 = 330
  2. 민주주의 문제 = 333
  3. 혁명의 전망 문제 = 335
  4. 간부 문제 = 337
  5. 당내 민주주의 문제 = 338
  6. 대회의 단결과 전당의 단결 = 338
  7. 천백만 대중을 항일민족통일전선으로 투입하기 위해 투쟁하자 = 339
 실천론(1937년 7월) = 342
 모순론(1937년 8월) = 360
  1. 두 가지 세계관 = 361
  2. 모순의 보편성 = 365
  3. 모순의 특수성 = 369
  4. 주요 모순과 모순의 주요 측면 = 381
  5. 모순의 여러 측면의 동일성과 투쟁성 = 387
  6. 모순에서 적대가 차지하는 위치 = 394
  7. 결론 = 39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