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11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716707 | |
005 | 20100807023638 | |
007 | ta | |
008 | 010912s2001 ulka 001a kor | |
020 | ▼a 8935653462 ▼g 04180: ▼c \12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150.1954 ▼2 21 |
090 | ▼a 150.1954 ▼b 2001 ▼c 2 | |
100 | 1 | ▼a 이부영 ▼0 AUTH(211009)54326 |
245 | 1 0 | ▼a 아니마와 아니무스 . ▼n 2 / ▼d 이부영 저. |
260 | ▼a 서울 : ▼b 한길사 , ▼c 2001. | |
300 | ▼a 365 p. : ▼b 삽도 ; ▼c 22 cm. | |
440 | 1 0 | ▼a (이부영) 분석심리학의 탐구 전3부작 ; ▼v 제2부작 |
500 | ▼a 관제: 남성 속의 여성, 여성 속의 남성 | |
500 | ▼a 찾아보기: p.357-365 | |
504 | ▼a 주: p.321-347 | |
504 | ▼a 참고문헌: p.349-356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111954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111954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111954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410298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511079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511079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111954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111954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111954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410298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511079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150.1954 2001 2 | Accession No. 1511079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는 속담이 사실은 암탉의 자율성에 대한 수탉인 남성의 불안에서 나온 말이라고 하면 어떨까? 더 나아가 모성에 대한 남성의 의존심을 은폐하기 위해서라거나, 남성이 갖고 있는 여성성을 애써 낮추어 남성성을 더욱 강화시키려는 반작용이라고 한다면?
남존여비의 대표적인 속담을 이렇게 간단히 뒤집어 볼 수 있는 한 쌍의 개념이 융이 제시한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로 아니마는 남성의 마음 속에 있는 여성을, 아니무스는 여성의 마음속에 있는 남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융은 남성과 여성이 생물학적으로, 심리학적으로 서로 다른 관심과 특성을 나타내지만 남성의 무의식에는 '아니마'라는 여성의 인격이, 여성의 무의식에는 '아니무스'라는 남성의 인격이 원초적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말한다.
분석심리학의 탐구 2번째 권인 이 책은 이러한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 이론을 한국인의 꿈, 정신과 임상사례, 무속 및 민담, 한국 전통 사상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융심리학에 대한 일종의 입문서 역할을 한다.
지은이는 희생과 시련을 통한 여성의 자기실현을 보여주는 '심청전' '바리공주' 등의 이야기 속에서 '아니마'의 이미지를 발견하기도 하고 한용운, 이해인 등의 시 속에서 아니마, 아니무스 원형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등 한국인의 무의식과 접목시켜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 이론을 비교적 쉽고 명료하게 설명해 나간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부영(지은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수료, 의학박사, 신경정신과 전문의 스위스 취리히 체. 게. 융(C.G. Jung)연구소 수료, 국제분석심리학회 정회원, 스위스 취리히 C.G. 융 연구소 강사 역임, 미국 하와이 동서센터 초빙연구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주임교수,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과장 역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장 및 이사장, 동아시아문화정신의학회 창립회장, 한국분석심리학회장, 국제 표현정신병리 및 예술요법학회 부회장 역임, 미국 뉴욕 유니온신학대학원(정신의학과 종교강좌) 석좌교수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한국융연구원 원장 및 이사장, 학술지 『심성연구』 발행인 주요 저서 『분석심리학 -C.G. Jung의 인간심성론』, 분석심리학의 탐구 ① 『그림자』, 분석심리학의 탐구 ② 『아니마와 아니무스』, 분석심리학의 탐구 ③ 『자기와 자기실현』,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노자와 융 -노자도덕경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지중해의 회상』, 『의학개론』, 『분석심리학 이야기』, 『개정증보판 정신건강 이야기』, 『잃어버린 그림자』, 『괴테와 융』 -『파우스트』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동양의학 연구』 외 다수 역서 『C. G. 융 : 현대의 신화』, 『C. G. 융 기본저작집』, 『C. 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인간과 상징』, M. L. 폰 프란츠 : 『C. G. 융-우리시대 그의 신화』, M. L. 폰 프란츠 :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M. L. 폰 프란츠 : 『민담 속의 그림자와 악』 외 다수 수상 분쉬의학상(1995, 대한의학회), Ernst Kris 은상, 금상(2000, 미국표현정신병리학회), Robert Volmat상(2009, 국제표현정신병리학 및 예술요법학회),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 등재(2016)

Table of Contents
목차 깊고 어두운 마음의 심층을 향하여 = 23 들어가는 말·마음의 구조와 심혼의 자리 = 29 페르조나(외적 인격)와 나 = 29 내적 인격, 아니마·아니무스 = 30 원형과 아니마·아니무스 = 31 무의식의 구조와 자기·자기실현 = 32 집단적 남성관과 여성관, 아니마·아니무스 = 34 제1장 아니마·아니무스란 무엇인가 1. 융의 아니마·아니무스론 = 39 인격분리와 심혼의 현상 = 39 심혼의 경험 = 39 외적 인격(페르조나)과 내적 인격 = 42 외적 태도 - 페르조나와 아니마·아니무스의 특성 = 44 자아를 페르조나와 동일시하면? = 46 심혼상이 투사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 49 남성심리와 여성심리 = 54 남성과 여성의 무의식적 측면 - 아니마·아니무스 = 63 아니마·아니무스의 특성과 상호관계 = 63 아니마·아니무스의 원천 = 77 아니마·아니무스의 인식 = 84 아니마·아니무스의 네 가지 발달단계 = 96 2. 아니마·아니무스에 관한 여성분석가들의 이론 = 103 마리 루이제 폰 프란츠의 이론 = 104 아니마의 현상과 인식 = 104 아니무스의 현상과 인식 = 110 엠마 융의 아니무스론 = 116 토니 볼프의 「여성 마음의 구조적 형태」 = 132 여성원리와 남성원리 - 역사적 회고 = 133 여성성의 네 가지 구조적 형태 = 135 제2장 한국인의 꿈에 나타난 아니마·아니무스상 꿈에 대하여 = 149 피분석자의 굼에서 = 151 아니마, 남성 속의 여성 = 152 아니무스, 여성 속의 남성 = 169 제3장 밖에서 보는 한국인의 아니마·아니무스상 남녀관계 속에서의 아니마·아니무스 = 197 첫눈에 반한다는 것 = 197 부부 일심동체론 = 199 남존여비의 뒷면 = 202 아니무스 대 아니무스 = 203 여자끼리, 남자끼리 = 204 한국의 여성 = 207 사회현상으로서의 아니마·아니무스의 투사 = 209 제4장 정신과 임상에서 보는 아니마·아니무스 문제 부부의 갈등 = 217 우울과 좌절 = 222 동성애 = 224 물질 남용 = 225 사랑의 병(상사병)과 애정망상 = 226 질투와 질투망상 = 228 전이, 역전이 = 231 제5장 한국문화에 나타난 아니마·아니무스상 1. 심혼의 노래 = 237 2. 민간전승을 통해 본 아니마·아니무스 현상 = 248 무속의 세계 = 248 잃어버린 혼을 찾아서 = 248 무당과 몸주의 관계 = 251 시대의식의 보상기능으로서의 여성성과 아니무스 = 255 민담의 세계 = 257 선녀 = 257 심청과 바리공주 = 266 민담에 나오는 부정적 아니마들 = 272 아니무스 = 276 3. 전통 종교사상과 여성성 = 281 「논어」를 중심으로 = 283 「노자 도덕경」을 중심으로 = 292 「태을금화종지」와 융의 아니마·아니무스론 = 294 불교와 여성, 관세음보살 = 305 맺음말 = 313 주(註) = 321 참고문헌 = 349 찾아보기 =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