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광고, 대중문화의 제1원소

광고, 대중문화의 제1원소 (8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홍탁
서명 / 저자사항
광고, 대중문화의 제1원소 / 김홍탁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나남 ,   2000.  
형태사항
235 p. : 채색삽도 ; 26 cm.
총서사항
나남신서 ; 762
ISBN
8930037623
일반주기
김홍탁 광고 평론집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86namccc200241 c 4500
001 000000716297
005 20100807022954
007 ta
008 000523s2000 ulka 001a kor
020 ▼a 8930037623 ▼g 94300 : ▼c ₩20000
035 ▼a KRIC07504093
040 ▼a 224011 ▼c 224011 ▼d 211009
049 1 ▼l 111193534 ▼f 개가 ▼l 111193535 ▼f 개가 ▼l 111193536 ▼f 개가
082 0 4 ▼a 659.1 ▼2 21
090 ▼a 659.1 ▼b 2000n
100 1 ▼a 김홍탁 ▼0 AUTH(211009)101924
245 0 0 ▼a 광고, 대중문화의 제1원소 / ▼d 김홍탁 지음.
260 ▼a 서울 : ▼b 나남 , ▼c 2000.
300 ▼a 235 p. : ▼b 채색삽도 ; ▼c 26 cm.
490 0 0 ▼a 나남신서 ; ▼v 762
500 ▼a 김홍탁 광고 평론집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 2000n 등록번호 111193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 2000n 등록번호 1111935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659.1 2000n 등록번호 1111935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1 2000n 등록번호 1510897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1 2000n 등록번호 1510897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 2000n 등록번호 111193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 2000n 등록번호 1111935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659.1 2000n 등록번호 1111935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1 2000n 등록번호 1510897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1 2000n 등록번호 1510897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부의 글들은 광고 텍스트와 그 텍스트를 만든 크리에이터와의 관계에서 출발한다. 상품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어 크리에이터가 어떤 미적 트루기를 장치해 놓았는지에 대한 분석, 즉 광고의 표현론이다. 여기에선 광고 텍스트를 크리에이터의 의도가 담긴 하나의 완결된 구조를 가진 실체로 보고 그 실체를 분석하는 접근방법을 취한다. 주된 관점은 광고의 미학에 맞춰져 있다.
2부의 글들은 광고 텍스트와 그 텍스트를 생성시킨 토양이 된 사회와의 관계에서 출발한다. 상품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어 광고가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 다시 말해 광고의 반영론이다. 이것은 광고 텍스트를 현 사회를 관통하는 하나의 현상으로 보고 그 현상을 해석하는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다. 주된 관점은 광고의 사회학에 맞춰져 있다.
3부의 글들은 광고 텍스트 및 그 텍스트와 영향을 주고받는 소비자의 관계에서 시작한다. 특정 타깃층을 대상으로 그들의 심리와 라이프 스타일에 집중적 포커스를 맞춘 광고의 분석을 통해 광고가 소비자의 심리에 어떤 식으로 접근해 가면서 교감을 불러내는지 살펴본다. 즉 광고의 영향론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광고 텍스트를 소비자의 심리에 침투해 들어가는 과학적 메커니즘으로 보고 그 메커니즘의 코드를 읽어내는 작업이다. 관점은 자연히 광고의 심리학에 맞춰져 있다.
- 시작하는 글 중에서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홍탁(지은이)

빌 게이츠 재단 심사위원이자 세계가 주목하는 대한민국 최고 크리에이터, 김홍탁. 글로벌.디지털 플랫폼 마케팅의 선두주자, 글로벌 마켓을 겨냥한 통합 캠페인과 공유가치 창출의 디지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한민국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데 앞장서 왔다. 국내 최초로 글로벌 광고 무대에 뛰어든 주역으로, 가장 권위 있는 칸 국제광고제Cannes Lions International Festival of Creativity를 비롯해 런던 국제광고제London International Awards, 원쇼 광고제The One Show, D&AD, 뉴욕 페스티벌New York Festivals 등등 세계 유수의 광고제에서 수상 및 심사, 강연한 바 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캠페인 아시아 퍼시픽Campaign Asia Pacific에서 주관하는 '2012 올해의 크리에이터Creator of the Year'에 선정되기도 했다. 2012년 칸 국제광고제에선 빌 게이츠&멜린다 재단이 주최하는 칸 키메라Cannes Chimera 부문('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아이디어'를 선정) 심사위원으로 초청됐으며, 2013년 영국의 디렉터리 빅 원 랭킹스The Directory Big Won Rankings가 선정하는 전 세계 '10대 이그제큐티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Top 10 Executive Creative Directors' 중 아시아인으로 유일하게 랭크된 바 있고, 같은 해 유공광고인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을 비롯하여 가치 창출을 위한 크리에이티브를 주제로 한 대중 강연의 스피커로도 활약하고 있으며, 대학생들이 가장 만나고 싶은 (만나고 싶다면 기꺼이 시간을 내는) 광고인으로도 손꼽힌다. 지은 책으로 『광고, 리비도를 만나다』, 『광고, 대중문화의 제1원소』, 『디지털 놀이터』, 옮긴 책으로 『머리 좀 굴려보시죠!』와 『크리에이티브 게릴라』가 있다. 현재 업계를 넘나드는 각 분야 전문가들과의 집단지성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디지털 생태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Email: kkhongt@gmail.com Facebook: https://www.facebook.com/hongtack Instagram: instagram.com/marketsofkorea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감사의 글 = 5
시작하는 글 : 왜 광고비평이 존재해야 하는가? ; 광고비평의 좌표설정과 활성화를 위한 시론 = 8
1부 광고의 미학(표현론) ; 카피와 이미지의 수사학
 구조적 접근
  1. 천국과 지옥의 결혼 : '하겐다스' 아이스크림 광고 = 15
  2. 재현의 해체 : 일러스트책 'The Drawing Book' 광고 = 18
  3. 불과 얼음 : 스카치 위스키 '그란츠' 광고 = 22
  4. 꿈 속에서 꾸는 꿈 : '윈저커내디언' 위스키 광고 = 25
  5. 해피엔딩으로 가는 길 : 'Noble 4-Head VTR' 광고 = 29
  6. 달콤한 타부의 유혹 : '한스 브링커' 호텔 광고 = 31
  7. 이보다 더 골치 아플 순 없다 : 두통약 '타이레놀' 광고 = 34
  8. 절규 혹은 상상의 힘 : 인간을 움직이는 시와 광고 = 36
 기호학적 접근
  9. 기호의 덧칠·의미의 확장 : 'PRO100 폴라로이드' 광고 = 43
  10. 비유광고 - 은유와 환유를 통한 의미의 길트기 : '소니 무비카메라' 광고 = 46
  11. 은유에서 상징으로 : '시마노'릴 낚시대 광고 = 49
  12. 전체를 빛내주는 부분의 힘 : '르네바비어' 와인 광고 = 52
  13. 사물의 사물화 : '필립스2' 치약광고 = 55
 주제론적 접근
  14. 낯익은 것 낯설게 하기 : '덴츠 영 앤 루비컵'의 기업광고 = 59
  15. 베끼기의 두가지 층위 : '룩셈부르크' 은행 광고 = 62
  16. 절제의 미학 : '르노' 자동차 광고 = 65
  17. 헤프닝의 미학 : '밀러 라이트' 광고 = 69
  18. 역설의 문구멍으로 진실 엿보기 : 위장약 '진탁' 광고 = 72
  19. 차가운 유머 : '폴로' 자동차 광고 = 75
  20. 일편단심 민들레 : 축구전문용품 '움브로' 광고 = 77
  21. 역사, 교훈의 다른 이름 : '아지노모도' 기업광고 = 82
 사회·문화적 접근
  22. 물신(物神)의 정치학 : 시사잡지 'Mother Jones' 광고 = 85
  23. 가면 벗기기 : '인종차별 철폐' 공익광고 = 88
  24. 국화와 칼 : '챔피언 점화플러그' 광고 = 91
  25. 포르노는 영원하다 : 'Sexy Magazine' 광고 = 94
  26. 자본의 시대에 씌어지는 이솝우화 : '리복' 운동화 광고 = 96
2부 광고의 사회학(반영론) ; 포스트모던 광고의 조건
 27. 시공간의 압축 = 102
 28. 키치, 양아치 미학 = 113
 29. 낯설게 하기, 새롭게 낯익히기 = 126
 30. 풍자냐, 자살이냐? : 베끼기를 넘어 비틀기로 = 137
 31. 디지털 상상력 = 148
 32. 리얼리즘의 안과 밖 = 156
 33. 행간이 빽빽한 광고 = 163
 34. 인터넷,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의 창세기 = 174
3부 광고의 심리학(영향론) ; 90년대말 소비자의 마인드 맵
 35. 상류층에 말걸기 : 프리미엄 브랜드 광고 = 188
 36. 무섭게 소비하는 앙팡테리블 : Y세대를 겨냥한 광고 = 200
참고문헌 = 224
찾아보기 = 22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