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7
제1부 학생운동과 자치활동의 이해
제1장 학생운동에 대한 이해와 관심 = 21
1. 한국사회의 변화와 자치활동 = 21
2. 사회운동 이론과 학생운동 = 24
3. 한국 학생운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 = 32
4. 학생운동 연구와 이 책의 의의 = 35
제2장 한국 학생운동의 성격과 대항문화 = 39
1. 197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39
2. 1980년대의 사회상황과 학생운동 = 41
3. 학생운동 조직의 내부적 특성 = 44
4. 대학 대항문화의 등장과 전망 = 50
제3장 대학생 자치활동의 실상과 이상 = 59
1. 학생자치의 개념과 성격 = 59
2. 자치활동의 영역과 환경변화 = 63
3. 이념의 틀에 갇힌 학생운동 = 68
4. 자치활동의 새로운 방향 = 72
제2부 한국 학생운동의 특징과 변천
제4장 학생운동의 전개과정과 특성 = 79
1. 독립 및 건국운동 : 1959년 이전 = 80
2. 4·19학생운동 : 1960년 = 84
3. 군사정권 반대 : 1961∼71년 = 89
4. 유신체제 반대 및 노동운동 : 1972∼1979년 = 94
5. 민중혁명론과 이념논쟁 : 1980∼1987년 = 97
제5장 학생운동의 이념적 변화와 조직화 = 107
1. 민주화와 학생운동의 성격변화 = 107
2. 전대협과 한총련 = 114
3. 한총련의 동원 주기 = 118
4. 한총련과 다른 사회운동 : 연대와 차이 = 122
제6장 한총련의 조직과 활동 = 129
1. 한총련의 이념 = 129
2. 한총련의 조직과 재정 = 132
3. 한총련의 활동 = 136
4. 한총련의 하층 대중조직 : 학과 학회와 학술 동아리 = 139
5. 집회 및 시위 = 145
제7장 한총련의 연세대 점거사태 전말 = 151
1. 사건의 개요 = 152
2. 구속자 인적 분석 = 157
3. 연세대 점거농성 학생들의 주장 = 167
4. 연세대 점거상태에 대한 여론 = 169
재3부 한국·미국·일본의 대학생자치활동
제8장 1980년대 한국 학생운동과 학생회 조직의 접목 = 181
1. 학생회와 학생운동 = 181
2. 교육 활동 = 185
3. 대학 언론 = 189
4. 동아리 = 193
5. 봉사활동 = 196
제9장 1990년대의 환경변화와 학생운동의 퇴조 = 199
1. 정치·사회적 환경의 변화 = 199
2. 대학사회의 내적 변화 = 204
3. 학생회와 학생운동 = 208
4. 학회 활동 = 216
5. 대학 언론 = 220
6. 동아리 및 봉사활동 = 223
제10장 미국 대학의 학생자치활동 = 231
1. 미국 대학생 자치의 일반적 특징 = 232
2. 미시간 주립대의 학생자치활동 사례 = 240
3. 사회봉사활동 : 새로운 대학문화 = 255
제11장 일본 대학의 학생자치활동 = 269
1. 일본 학생운동과 자치활동의 특징 = 269
2. 학생운동과 학생회 = 271
3. 동아리 활동 = 276
4. 대학언론 = 280
5.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 = 281
6. 대학과 생협의 관계 = 283
제4부 학생운동에서 자치활동으로
제12장 한국 학생운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287
1. 학생운동권과 일반대학생들 = 288
2. 일련의 역사·문화적 충격과 학생운동권 = 294
3. '연세대 사태'와 그 이후 = 298
4. 대안적 자치활동의 모색을 위하여 = 301
제13장 21세기 다원사회의 대학생 자치활동 = 307
1. 미래사회의 특성과 과제 = 308
2. 미래사회과 요구하는 인재 = 311
3. 미래형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의 노력 = 314
제14장 지방자치시대의 대학생 자치활동 = 319
1. 사회환경 변화와 대학생 자치활동 = 319
2. 전환기의 국가 - 사회구조 = 321
3. 한국 학생운동에 대한 조명 = 325
4. 다원적 자율체제하의 대학생 자치활동 = 330
제15장 대학생 자치활동의 새로운 방향과 실천전략 = 335
1. 대학생 자치활동의 목표 = 335
2. 목표실현을 위한 기본전략 = 343
3. 자치활동 주체별 과제 = 354
제16장 새로운 대학문화 형성을 위하여 = 373
1. 한국 학생운동의 본질 = 373
2. 전환기에 선 학생운동 = 379
3. 대학문화의 새로운 지평 = 383
4. 대학생 자치활동의 건전화 방안 = 388
부록 전국 대학교 학생처장협의회 세미나 요약 = 397
참고문헌 =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