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학생운동과 대학생자치활동

학생운동과 대학생자치활동 (9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배규한
서명 / 저자사항
학생운동과 대학생자치활동 / 배규한 편저.
발행사항
서울 :   나남 ,   1999.  
형태사항
440 p. : 삽도 ; 23cm.
총서사항
나남신서 ; 723
ISBN
8930037232
일반주기
부록 :"전국 대학교 학생처장협의회 세미나 요약" 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29-440
000 00677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715657
005 20100807021944
007 ta
008 010905s1999 ulka 000a kor
020 ▼a 8930037232 ▼g 94300 : ▼c \14000
040 ▼a 211009 ▼c 211009
049 1 ▼l 111193579 ▼f 개가 ▼l 111193580 ▼f 개가 ▼l 111193581 ▼f 개가
082 0 4 ▼a 371.81 ▼2 21
090 ▼a 371.81 ▼b 1999
100 1 ▼a 배규한 ▼0 AUTH(211009)100160
245 1 0 ▼a 학생운동과 대학생자치활동 / ▼d 배규한 편저.
260 ▼a 서울 : ▼b 나남 , ▼c 1999.
300 ▼a 440 p. : ▼b 삽도 ; ▼c 23cm.
440 0 0 ▼a 나남신서 ; ▼v 723
500 ▼a 부록 :"전국 대학교 학생처장협의회 세미나 요약" 수록
504 ▼a 참고문헌 : p. 429-44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71.81 1999 등록번호 1111935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81 1999 등록번호 1111935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1 청구기호 371.81 1999 등록번호 1111935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나라 특유의 학생운동의 연원과 전개과정을 분석하고 한-미-일 3국 대학생의 자치활동양상을 비교하면서 향후 한국학생운동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배규한(지은이)

現在 국민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백석대 석좌교수, 경희대 객원교수 주요경력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Ph. D. in Sociology) ●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학생처장·사회대 학장 ● 中國靑年政治學院 客座敎授 ● 한국연구재단 초대 사무총장, 한국학술진흥재단 이사장 직무대행 ●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원장 ● 대통령자문 21세기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 위원 ● 교과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장, 교육부 소식지 편집자문위원장 ● 『미래사회학』 『사회학적 통찰과 상상』 등 저서 22권 ● 「한국사회학」, 「청소년정책」,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Social Forces, Pacific Affairs 등에 논문 51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7

제1부 학생운동과 자치활동의 이해

 제1장 학생운동에 대한 이해와 관심 = 21

  1. 한국사회의 변화와 자치활동 = 21

  2. 사회운동 이론과 학생운동 = 24

  3. 한국 학생운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 = 32

  4. 학생운동 연구와 이 책의 의의 = 35

 제2장 한국 학생운동의 성격과 대항문화 = 39

  1. 197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39

  2. 1980년대의 사회상황과 학생운동 = 41

  3. 학생운동 조직의 내부적 특성 = 44

  4. 대학 대항문화의 등장과 전망 = 50

 제3장 대학생 자치활동의 실상과 이상 = 59

  1. 학생자치의 개념과 성격 = 59

  2. 자치활동의 영역과 환경변화 = 63

  3. 이념의 틀에 갇힌 학생운동 = 68

  4. 자치활동의 새로운 방향 = 72

제2부 한국 학생운동의 특징과 변천

 제4장 학생운동의 전개과정과 특성 = 79

  1. 독립 및 건국운동 : 1959년 이전 = 80

  2. 4·19학생운동 : 1960년 = 84

  3. 군사정권 반대 : 1961∼71년 = 89

  4. 유신체제 반대 및 노동운동 : 1972∼1979년 = 94

  5. 민중혁명론과 이념논쟁 : 1980∼1987년 = 97

 제5장 학생운동의 이념적 변화와 조직화 = 107

  1. 민주화와 학생운동의 성격변화 = 107

  2. 전대협과 한총련 = 114

  3. 한총련의 동원 주기 = 118

  4. 한총련과 다른 사회운동 : 연대와 차이 = 122

 제6장 한총련의 조직과 활동 = 129

  1. 한총련의 이념 = 129

  2. 한총련의 조직과 재정 = 132

  3. 한총련의 활동 = 136

  4. 한총련의 하층 대중조직 : 학과 학회와 학술 동아리 = 139

  5. 집회 및 시위 = 145

 제7장 한총련의 연세대 점거사태 전말 = 151

  1. 사건의 개요 = 152

  2. 구속자 인적 분석 = 157

  3. 연세대 점거농성 학생들의 주장 = 167

  4. 연세대 점거상태에 대한 여론 = 169

재3부 한국·미국·일본의 대학생자치활동

 제8장 1980년대 한국 학생운동과 학생회 조직의 접목 = 181

  1. 학생회와 학생운동 = 181

  2. 교육 활동 = 185

  3. 대학 언론 = 189

  4. 동아리 = 193

  5. 봉사활동 = 196

 제9장 1990년대의 환경변화와 학생운동의 퇴조 = 199

  1. 정치·사회적 환경의 변화 = 199

  2. 대학사회의 내적 변화 = 204

  3. 학생회와 학생운동 = 208

  4. 학회 활동 = 216

  5. 대학 언론 = 220

  6. 동아리 및 봉사활동 = 223

 제10장 미국 대학의 학생자치활동 = 231

  1. 미국 대학생 자치의 일반적 특징 = 232

  2. 미시간 주립대의 학생자치활동 사례 = 240

  3. 사회봉사활동 : 새로운 대학문화 = 255

 제11장 일본 대학의 학생자치활동 = 269

  1. 일본 학생운동과 자치활동의 특징 = 269

  2. 학생운동과 학생회 = 271

  3. 동아리 활동 = 276

  4. 대학언론 = 280

  5.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 = 281

  6. 대학과 생협의 관계 = 283

제4부 학생운동에서 자치활동으로

 제12장 한국 학생운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287

  1. 학생운동권과 일반대학생들 = 288

  2. 일련의 역사·문화적 충격과 학생운동권 = 294

  3. '연세대 사태'와 그 이후 = 298

  4. 대안적 자치활동의 모색을 위하여 = 301

 제13장 21세기 다원사회의 대학생 자치활동 = 307

  1. 미래사회의 특성과 과제 = 308

  2. 미래사회과 요구하는 인재 = 311

  3. 미래형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의 노력 = 314

 제14장 지방자치시대의 대학생 자치활동 = 319

  1. 사회환경 변화와 대학생 자치활동 = 319

  2. 전환기의 국가 - 사회구조 = 321

  3. 한국 학생운동에 대한 조명 = 325

  4. 다원적 자율체제하의 대학생 자치활동 = 330

 제15장 대학생 자치활동의 새로운 방향과 실천전략 = 335

  1. 대학생 자치활동의 목표 = 335

  2. 목표실현을 위한 기본전략 = 343

  3. 자치활동 주체별 과제 = 354

 제16장 새로운 대학문화 형성을 위하여 = 373

  1. 한국 학생운동의 본질 = 373

  2. 전환기에 선 학생운동 = 379

  3. 대학문화의 새로운 지평 = 383

  4. 대학생 자치활동의 건전화 방안 = 388

부록 전국 대학교 학생처장협의회 세미나 요약 = 397

참고문헌 = 429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