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거시경제학 제3판

거시경제학 제3판 (Loan 6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준영
Title Statement
거시경제학 / 김준영 저.
판사항
제3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法文社 ,   2000.  
Physical Medium
xxi, 659 p. : 삽도 ; 26 cm.
Series Statement
경제학총서
ISBN
891810216X
General Note
색인포함  
000 00578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715215
005 20100807021249
007 ta
008 010903s2000 ulka 001a kor
020 ▼a 891810216X ▼g 93320 : ▼c \28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93670 ▼f 개가
082 0 4 ▼a 339 ▼2 21
090 ▼a 339 ▼b 2000c
100 1 ▼a 김준영 ▼0 AUTH(211009)44922
245 1 0 ▼a 거시경제학 / ▼d 김준영 저.
250 ▼a 제3판
260 ▼a 서울 : ▼b 法文社 , ▼c 2000.
300 ▼a xxi, 659 p. : ▼b 삽도 ; ▼c 26 cm.
490 0 0 ▼a 경제학총서
500 ▼a 색인포함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 2000c Accession No. 11119367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준영(지은이)

<거시경제학>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편 거시경제학의 기본체계

 제1장 거시경제학과 거시경제 = 4

  1.1 거시경제학이란? = 5

  1.2 거시경제학의 목표 = 9

  1.3 거시경제학에 있어서 미시경제학의 역할 = 12

  1.4 세계경제의 현실과 거시경제 = 13

   세계거시경제의 모습 = 14

   주요 국가의 경제 = 15

   한국경제의 발전과정 = 19

  요점정리 = 21

  연습문제 = 21

 제2장 거시경제의 흐름과 기본개념 = 23

  2.1 거시경제의 순환적 흐름 = 24

  2.2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소득 = 26

   국내총생산 = 27

   국민총소득 = 28

   개방경제하에서 국민소득방정식의 함의 = 30

   국민순생산 = 31

   국민소득 = 31

   개인소득 = 31

   가처분소득 = 32

  2.3 거시경제의 주요변수 = 35

   수량변수와 가격변수 = 35

   스톡변수와 플로우변수 = 36

   명목변수·실질변수·물가지수 = 37

   물가지수 산출방법 = 38

   실제 사용되는 물가지수 = 40

  2.4 재화와 용역의 생산 및 분배 = 44

   생산요소에 대한 국민소득의 분배 = 45

  [보론] 국민총생산의 개념과 계산방법 = 47

  요점정리 = 55

  연습문제 = 56

 제3장 거시경제학의 체계 = 59

  3.1 거시경제학의 발전 = 60

  3.2 가격의 신축성과 경직성 = 67

  3.3 고전학파적 접근 = 68

   고전학파 경제학의 체계 = 68

   통화주의 경제학의 체계 = 71

   신고전 거시경제학의 체계 = 81

  3.4 케인즈학파적 접근 = 82

   케인즈학파 경제학의 체계 = 82

   케인즈의 일반이론 = 85

   케인즈학파 경제학 = 94

   신케인지안경제학의 체계 = 95

  [보론] 공급경제학 = 97

   공급경제학의 배경 = 97

   공급경제학의 성격 = 98

   공급경제학의 경제정책에의 도입 = 100

   공급경제학의 이론적 분석 = 100

   조세정책의 경제적 효과 = 101

   공급경제학의 평가 = 103

  요점정리 = 107

  연습문제 = 109

제2편 거시경제의 총수요-총공급

 제4장 고전학파 경제학 = 114

  4.1 완전교용하의 총공급 = 115

   노동시장의 완전고용 = 115

   총공급곡선 = 119

  4.2 실물경제의 균형 = 121

   실물이자론 = 121

   세이의 법칙 = 122

  4.3 화폐적 측면의 총수요 = 125

   총 수요곡선 = 127

  4.4 고전 학파 거시경제균형 = 129

  4.5 고전 학파의 특징 = 130

   화폐의 중립성과 이분성 = 131

   화폐의 비중립성과 이분성 = 132

  요점정리 = 134

  연습문제 = 134

 제5장 케인즈학파 경제학 = 136

  5.1 총수요: 상품·화폐·금융시장의 상호의존성 = 137

   상품시장의 균형 : IS곡선 = 137

   화폐시장의 균형 : LM곡선 = 142

   IS-LM모델의 균형 = 148

   금융시장: 채권시장과 주식시장 = 155

   총수요극선 = 162

  5.2 노동시장의 불완전성과 총공급 = 170

   총공급곡선의 도출 = 170

   총공급곡선의 이동 = 172

  5.3 케인즈학파 거시경제균형 = 173

  5.4 장단기 IS-LM및 AD-AS모델의 균형 = 175

  요점정리 = 177

  연습문제 = 179

 제6장 개방경제분석의 확장 = 182

  6.1 환율의 개념 = 183

  6.2 환율제도 = 186

   고정 환율제도 = 186

   변동환율제도 = 187

   관리변동환율제도와 타겟존 제안 = 187

   고정환율과 변동환율의 논쟁 = 188

  6.3 실질환율의 결정과 변동 = 189

  6.4 이자율 평형설 = 192

  6.5 저축, 투자 및 무역수지 = 195

   J-커브효과 = 197

   개방경제하의 상쇄효과 = 201

  [보론] 환율의 오버슈팅 = 202

  요점정리 = 204

  연습문제 = 205

제3편 합리적 기대와 거시경제학의 발전

 제7장 합리적 기대경제학 = 208

  7.1 기대경제학의 의의 = 209

  7.2 전통적 기대와 합리적 기대 = 210

   정태적 기대 = 211

   적응적 기대 = 213

   합리적 기대 = 216

  7.3 루카스 비판과 루카스 공급곡선 = 221

   루카스 비판 = 221

   루카스 공급곡선 = 223

  요점정리 = 228

  연습문제 = 230

 제8장 신고전거시경제학 = 231

  8.1 신고전거시경제학의 배경과 특징 = 232

  8.2 신고전거시경제학의 주요내용 = 235

   불완전 정보와 총생산 = 235

   균형경기변동론 = 237

   경제정책의 무력성 = 239

   최적 정책의 시간비일관성 = 240

  8.3 신고전거시경제학의 평가와 한계 = 243

  요점정리 = 244

  연습문제 = 245

 제9장 신케이지안 경제학 = 247

  9.1 신케이지안 경제학의 배경과 특징 = 248

  9.2 명목경직성 과 실질경직성 = 250

  9.3 가격의 경직성 = 251

   메뉴비용모형 = 252

   임금과 가격이 엇갈리게 조정되는 모형 = 254

   조정실패모형 = 255

  9.4 임금의 경직성 = 257

   장기계약이론 = 257

   암묵적인 고용계약이론 = 260

   실업히스테리모형 = 261

   효율성 임금모델 = 262

  9.5 이자율의 경직성과 신용할당 = 267

  9.6 신케인지안 경제학의 평가와 한계 = 270

  요점정리 = 271

  연습문제 = 272

제4편 실업과 인플레이션

 제10장 실업 = 276

  10.1 실업의 정의와 실업률 = 277

  10.2 실업의 유형과 평가 = 278

   실업의 유형 = 278

   실업의 비용과 편익 : Okun's law = 280

  10.3 자연실업률 이론 = 281

  10.4 탐색이론과 마찰적 실업 = 282

   노동자의 직장 탐색 = 283

   기업의 노동자 탐색 = 284

   균형실업률의 결정 = 284

   균형실업률의 변동과 시사점 = 285

  10.5 임금의 경직성과 자연실업률의 변동 = 287

   최저임금제도 = 288

   노동조합의 영향력 = 289

   효율성임금이론 = 290

  10.6 이력가설과 실업의 지속성 = 290

  10.7 자연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정책 = 291

   직업훈련과 노동자 재배치 = 291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 291

   실업보험제도 개혁 = 292

   근로시간 단축 또는 일자리 나누기(job sharing) = 292

   이력가설과 총수요관리정책 = 292

  요점정리 = 293

  연습문제 = 294

 제11장 인플레이션 = 296

  11.1 인플레이션의 의의 = 297

  11.2 인플레이션의 원인 = 298

   단기의 인플레이션 원인 = 300

   동태적 인플레이션 = 303

   장기의 인플레이션 = 309

  11.3 인플레이션의 경제적 효과 = 310

   예측된 인플레이션의 효과 = 311

   예측되지 못한 인플레이션의 효과 = 312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314

   인플레이션과 생산 및 경제성장 = 317

  11.4 인플레이션 대책 = 320

   희생률과 정책의 신뢰성 = 320

   인플레이션의 장·단기 대책 = 321

   단기적 인플레이션대책 = 322

   장기적 인플레이션대책 = 324

   초인플레이션 = 328

  요점정리 = 329

  연습문제 = 330

 제12장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상호관계 = 331

  12.1 필립스곡선의 의의 = 332

   전통적 필립스곡선 = 333

  12.2 기대첨가 필립스곡선 : 자연실업률가설 = 336

  12.3 합리적 기대와 정책 신뢰 = 341

  12.4 필립스 곡선을 둘러싼 쟁점= 344

   전통적인 논쟁 = 344

   이력현상의 자연실업률 도전 = 345

  요점정리 = 347

  연습문제 = 349

제5편 경제안정화 정잭

 제13장 금융정잭 = 354

  13.1 정부의 경제활동과 경제 안정화정책 = 355

   시장실패와 정부 = 355

   정부의 경제정책 = 356

   경제정책의 실시과정 = 357

  13.2 금융정책의 목표와 수단 = 358

   공개시장정책 = 358

   할인율정책 = 359

   지불준비율 정책 = 360

  13.3 금융정책의 지표와 중간목표 = 361

   금융정책의 지표 = 361

   금융정책의 중간목표 = 362

  13.4 중간목표 논쟁 : 이자율과 통화량 = 364

  13.5 물가수준목표 = 368

  13.6 금융정책의 전달경로 = 369

  13.7 금융정책의 효과 = 371

   예측된 금융정책 = 371

   예측되지 못한 금융정책 = 374

   금응정책효과의 비대칭성 = 376

  [보론] 유동성함정하의 경제정책 효과 = 377

   유동성함정하의 경제정책 효과 = 377

   유동성함정과 피구효과 = 378

  요점정리 = 382

  연습문제 = 383

 제14장 재정정책 = 384

  14.1 재정정책의 목표와 수단 = 385

   조세정책 = 385

   정부지출 = 386

  14.2 재정정책의 전달경로 = 386

  14.3 재정정책의 효과 = 388

   가격이 비신축적인 경우 = 388

   가격이 신축적인 경우 = 389

  14.4 구축효과의 과정 = 391

  14.5 재정 정책과 금융정책의 결합 = 392

  [보론] 장기적인 성장촉진 정책 = 394

   장기적인 성장촉진 정책의 수단 = 394

   장기적인 성장촉진 정책의 효과 = 395

   장기적인 성장촉진 정책의 한계 = 396

  요점정리 = 397

  연습문제 = 398

 제15장 정부부채와 국민경제 = 399

  15.1 정부부채와 재정적자 크기 및 운영 = 400

   정부부채의 요인 = 400

   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운영 = 401

   정부부채비율 = 404

  15.2 정부부채의 측정 = 405

   경제적 여건에 따른 부채 조정 = 406

   미래성, 확정되지 않은 부채 = 407

   자본예산계상 = 408

   정부부채의 세대간 회계방법 = 409

  15.3 정부부채의 지속가능성 = 409

  15.4 정부부채의 국민경제적 효과 = 411

   전통적인 견해 = 411

   리카도적인 견해 = 414

   리카도 동등성 원칙 = 415

   공채의 자산성 = 417

   종합적 고찰 = 419

  15.5 인플레이션 조세 = 420

  [보론] 한국과 선진국의 재정적자 = 422

  요점정리 = 423

  연습문제 = 424

 제16장 개방경제와 경제정책 = 426

  16.1 거시경제의 대내외 균형 = 427

   고정환율제하의 자동조절기능 = 428

   변동환율제도하의 자동조절기능 = 429

  16.2 소국개방경제하의 경제정책 효과 = 430

   먼델-플레밍모형 = 430

   고정환율제도와 소국개방경제 = 431

   변동환율제도와 소국개방경제 = 433

  16.3 대국개방경제하의 경제정책 효과 = 434

   고정환률제도하의 경제정책 효과 = 435

   변동환율제도하의 경제정책 효과 = 436

  16.4 개방경제의 경제정책제약 = 439

   개방경제와 보호주의 = 440

  요점정리 = 441

  연습문제 = 442

 제17장 거시경제 정책논쟁 = 443

  17.1 적극적 정책 대 소극적 정책 = 444

  17.2 재량 대 준칙 = 446

  17.3 수용적 정책 대 비수용적 정책 = 451

  17.4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의 유효성 논쟁 = 453

  17.5 거시경제정책논쟁의 종합 = 456

  요점 정리 = 457

  연습문제 = 458

제6편 경기변동과 경제성장

 제18장 경기변동 = 462

  18.1 경기변동의 의의와 특징 = 463

   경기변동의 의의 = 463

   경기변동의 특징 = 463

   경기변동의 지표 = 466

   경기변동의 유형 = 466

  18.2 경기변동론의 전개 = 469

   케인지안 경기변동론 = 468

   그 이후의 경기변동론 = 471

  18.3 균형경기변동론 = 473

   화폐적 균형경기변동론 = 473

   실물적 균형경기변동론 = 476

  18.4 신케인지안 경기변동론 = 488

  18.5 국제적 경기변동론 = 489

  요점정리 = 491

  연습문제 = 492

 제19장 경제성장 = 494

  19.1 경제성장의 의의 = 495

  19.2 경제성장론의 전개 = 496

  19.3 신고전학파의 경제성장론 : 솔로 모형 = 498

   성격과 특징 = 498

   정상상태 = 500

   과도기의 동태적 성장 = 503

   경제성장 요인 = 505

   황금률 = 509

   빈곤함정과 경제도약 = 512

   솔로 성장모형의 평가 = 513

   수렴가설 = 514

  19.4 내생적 경제성장론 = 519

   전개와 특징 = 519

   내생적 경쟁성장요인 = 521

   내생적 경제성장론의 내용 = 523

   정부의 역할과 내생적 성장모형 = 531

  19.5 경기변동과 경제성장의 연계 = 533

  요점정리 = 534

  연습문제 = 535

 제20장 아시아경제의 위기와 한국경제의 발전과제 = 537

  20.1 아시아 경제 위기의 본질 = 538

   금융·외환위기 = 538

   기업 및 공공부문의 배불리기 = 539

  20.2 외환위기와 한국경제 = 540

   한국경제위기의 발단 = 540

   한국경제위기의 극복과정과 평가 = 543

  20.3 한국경제의 발전과제 = 547

  연습문제 = 549

제7편 거시경제부문별 미시적 기초

 제21장 소비와 저축 = 554

  21.1 케인즈의 소비이론 = 555

   절대소득 가설 = 555

   실증분석과 소비의 수수께끼 = 556

  21.2 피셔의 2기간 모형 = 557

  21.3 케인즈 이후의 소비이론 = 560

   상대소득가설 = 560

   항상소득가설 = 562

   평생소득가설 = 565

  21.4 합리적 기대와 소비이론의 발전 = 567

   Randomwalk가설 = 568

   유동성제약 = 568

  21.5 소비이론의 한계와 시사점 = 570

   내구재 소비 = 570

   시사점 = 571

   소비와 리카도 동등성원칙 = 572

  요점정리 = 574

  연습문제 = 575

 제22장 투자 = 577

  22.1 투자의 의의 = 578

  22.2 투자의 현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 = 578

   현재가치법 = 579

   내부수익률법 = 579

  22.3 기업의 고정투자 = 580

   가속도이론 = 581

   신고전학파 투자이론 = 582

   토빈의 q이론 = 584

   금융제약과 신용할당 = 586

  22.4 주택투자이론 = 587

  22.5 재고투자이론 = 588

   재고 보유동기 = 589

   재고투자의 가속도 이론 = 589

   재고투자와 실질이자율 = 590

  요점정리 = 591

  연습문제 = 591

 제23장 화폐의 공급과 수요 = 593

  23.1 화폐의 기능과 정의 = 594

   화폐의 기능 = 594

   화폐의 정의 = 595

  23.2 화폐공급 = 598

   본원통화 = 598

   화폐공급함수 = 600

   화폐공급의 외생성과 내생성 = 601

  23.3 화폐 수요 = 604

   고전학파의 화폐수요이론 = 605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이론 = 606

   케인즈 이후의 화폐수요 = 612

  23.4 이자론 = 625

   고전학파의 실물이자이론 = 625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이론 = 626

   고전학파의 대부자금이론 = 627

  23.5 화폐수요의 안정성과 정책효과 = 629

  요점정리 = 630

  연습문제 = 632

 제24장 노동시장 = 633

  24.1 노동수요 = 634

  24.2 노동공급 = 635

  24.3 노동시장의 균형 = 637

  24.4 기간간 대체가설과 실업 = 638

  요점정리 = 639

  연습문제 = 640

부록 : 거시경제학의 교훈 = 641

연습문제 해답 = 645

찾아보기 = 65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