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15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715061 | |
005 | 20100807021048 | |
007 | ta | |
008 | 010627s2001 ulka 001a kor | |
020 | ▼a 8942905986 ▼g 93300 : ▼c \18000 | |
035 | ▼a KRIC07991211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49 | 1 | ▼l 111193475 ▼f 개가 ▼l 111193476 ▼f 개가 ▼l 111193477 ▼f 개가 ▼l 131016178 ▼f 의학 |
082 | 0 4 | ▼a 379.1/56/09530904 |
090 | ▼a 379.1560953 ▼b 2001 | |
100 | 1 | ▼a 이종국 ▼0 AUTH(211009)67665 |
245 | 1 0 | ▼a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 연구 / ▼d 李鐘國 지음. |
246 | 0 1 | ▼a (A) Transition of textbook publishing in korea. |
260 | ▼a 서울 : ▼b 일진사 , ▼c 2001. | |
300 | ▼a 546 p. : ▼b 삽도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포함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1560953 2001 | Accession No. 1111934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1560953 2001 | Accession No. 1111934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1560953 2001 | Accession No. 11119347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1-30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79.1560953 2001 | Accession No. 14101803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 Call Number 379.1560953 2001 | Accession No. 1310161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1560953 2001 | Accession No. 1111934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1560953 2001 | Accession No. 1111934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1560953 2001 | Accession No. 11119347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1-30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79.1560953 2001 | Accession No. 14101803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 Call Number 379.1560953 2001 | Accession No. 1310161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종국(지은이)
●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동 대학 중앙도서관장·한국어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사단법인 한국출판학회 이사, 편집위원장과 이 학회 회장을 지냈다. 동 학회 고문 ● 중국신문출판연구원 해외특약연구원 및 중국화중대학교 편집학연구센터 고문, Publishing Journal 자문위원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연구원, 중앙대·경희대·한양여대 강사대한교과서주식회사 기획출판부장, 한국언론학회 이사,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 이사 역임 ● 주요 논저로 <교과서관과 교과서 연구>, <미 군정기 및 교수 요목기의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 편찬>, <출판학 연구의 진전과 그 과정적 이해>, <출판학과 편집 연구의 상관성>, <편집·출판학 전공 선발에 관한 논의>, <한국에서의 출판학 연구>, <남애 안춘근 연구>, <남애 안춘근의 출판학> 등 다수의 논문과, ≪한국의 교과서≫,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 연구≫, ≪한국의 교과서상≫, ≪출판연구와 출판평설≫, ≪한국의 교과서 변천사≫, ≪출판 컨텍스트≫, ≪교과서·출판의 진실≫, ≪한국의 교과서 평설≫, ≪편집 출판학 연구 총설≫ 등 여러 저서를 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3 제1장 서설 서설 - 끼침의 의미와 교과서 = 18 Ⅰ. 길잡이의 의미 = 18 Ⅱ. 끼침의 영향력과 문자의 누림 = 21 Ⅲ. 보고 배우는 것으로의 지향 = 26 Ⅳ. 우리 교과서의 뒤안길 = 32 Ⅴ. 전략적 끼침으로서의 교과서 = 43 Ⅵ. 교과서의 본디와 그 추구하는 것 = 49 제2장 한국의 교과서 변천 과정 한국의 교과서 변천에 대한 연구 = 60 Ⅰ. 서론 = 60 Ⅱ. 이론적 고찰 = 62 1. 관심의 문제 = 62 2. 연구의 진전 - 선행 연구의 개관을 겸하여 = 67 Ⅲ. 교과서 출판의 진전 과정 = 74 1. 개화기의 교과용 도서 = 74 (1)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이해 = 75 (2) 근대 교과용 도서의 실현 = 79 (3) 출판 형식의 특징 = 100 2. 일본 강점기의 교과용 도서 = 106 (1)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이해 = 106 (2) 교과서에 나타난 우민화 책략의 증거들 = 109 (3) 출판 형식의 특징 = 115 3. 광복 이후의 교과용 도서 = 122 (1)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이해 = 122 (2) 출판 형식의 특징 = 129 Ⅳ. 결론 = 151 제3장 미 군정기 및 교수 요목기의 교과서 미 군정기 및 교수 요목기의 교육 과정과 교과용 도서 편찬 = 160 Ⅰ. 서론 = 160 1. 연구 목적 = 160 2. 연구 방법 = 163 3. 시기 구분과 연구의 한계점 = 166 (1) 시기 구분 = 166 (2) 연구의 한계점 = 171 Ⅱ. 미 군정기 교육의 전개와 교과용 도서 편찬 = 176 1. 한국 교육의 새로운 설계 = 178 (1) 학무 행정의 성립 = 178 (2) 교수 요목의 제정과 그 적용 = 189 2. 교과용 도서의 편찬·발행 = 204 (1) 교과서 편찬에 따른 당무적 인식 = 205 (2)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국어 회복 = 207 (3) 교과용 도서의 편찬·발행 실태 = 216 Ⅲ. 신생 정부의 교육 과정·교과용 도서와 전시 교육 = 232 1. 교육 이념 - '홍익 인간'의 구현 = 232 2. 교육 과정·교과용 도서의 운영 = 235 (1) 교육 과정의 운영 = 235 (2) 교과용 도서의 운영 = 240 3. 전시하의 교육 과정과 교과용 도서 편찬·발행 = 259 (1) 전시하의 교육 과정 운영 = 260 (2) 전시하의 교과용 도서 편찬·발행 = 265 4. 편수 활동과 그 주변 = 272 (1) '편수'의 의의 = 272 (2) 편수 활동의 주변 = 279 Ⅳ. 결론적 논의 = 283 (1) 미 군정기 교육의 전개와 교과용 도서 편찬 = 284 (2) 신생 정부의 교육 과정·교과용 도서와 전시 교육 = 286 제4장 교과서 편찬 정책과 그 적용 과정 한국의 교과서 편찬 정책과 그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 = 300 Ⅰ. 서론 = 300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 300 2. 연구 범위 및 제한점 = 304 Ⅱ. 교과용 도서 편찬 정책의 적용 = 305 1. 개념의 이해 = 305 2. 교과용 도서 편찬에서의 규제 적용 = 309 (1) 법령으로서의 규제 = 309 (2) 법령 이외의 규제 = 312 (3) 정형화된 상징성 = 315 Ⅲ. 교과용 도서 편찬 형식의 적용 = 316 1. 편찬의 전제 = 316 2. 편찬 및 체재 적용의 기저(基底)와 그 적용 = 318 (1) 편찬의 기저 = 318 (2) 체재 적용의 기저 = 323 (3) 체재의 적용 = 328 Ⅳ. 결론적 논의 = 344 (1) 교과용 도서의 체재 = 345 (2) 편찬 형식의 정책적 적용 = 346 (3) 향후의 지향 과제 = 347 교과서에 적용된 어문 정책의 변천 = 352 Ⅰ. 글머리 = 352 1. 말과 글, 어문 정책의 의의 = 352 2. 교과서는 그 나라 말과 글을 담은 그릇 = 354 Ⅱ. 교과용 도서에 적용된 어문 정책 = 358 1. 어문 정책의 적용 과정 = 360 (1) 어문 정책의 적용기 구분 = 360 (2) 교과서에 반영된 어문 정책 적용의 흐름 = 361 Ⅲ. 한글 전용과 교과서 = 390 1. 광복 직후 - 교과서에서의 되찾은 한글 = 391 2. 정부 수립 이후 - 한글 전용 정책의 과정 = 397 (1) 한글 전용 정책의 추진 = 397 (2) 한글 전용 교과서로 전면 개편 = 402 Ⅳ. 어문 교육 정책의 방향 = 408 1. 실험 과정으로서의 어문 정책 = 408 2. 문자 교육의 과제와 방향 = 415 (1) 문자 교육의 현황 = 415 (2) 문자 교육의 과제 = 418 (3) 문자 교육을 위한 정책적 방향 = 420 Ⅴ. 맺는 말 = 425 제5장 편집·출판 매체로서의 교과서 도입을 위한 전제 : 출판 연구와 편집 = 434 교육 수단의 편집·출판을 위한 이론적 이해 = 434 출판 연구에 있어 편집의 위상에 관한 연구 = 437 Ⅰ. 서론 = 437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 437 2. 연구 범위 및 제한점 = 440 Ⅱ. 출판학과 편집 연구의 상호 관련성 = 441 1. 출판학 연구 대상으로서의 편집 = 441 (1) 확대 지향적인 편집 = 445 (2) 매체 지향적인 편집 = 450 2. 편집의 학문적 성격 = 455 (1) 편집과 출판의 결합 = 455 (2) 편집 연구의 성격 = 465 Ⅲ. 정보 전달에 있어 편집의 위상 = 470 1. 정보 전달에 있어 편집의 필연성 = 471 (1) 정보의 가공 = 471 (2) 편집의 필연성 = 473 2. 앞으로의 편집 = 476 Ⅳ. 결론적 논의 = 480 교과서 - 편집·출판 매체로서의 전향적(前向的)인식 = 488 Ⅰ. 글머리 : 책 중의 책 = 488 Ⅱ. 좋은 편집·출판 매체로서의 교과서 개발 = 490 1. 편집 저작물로서의 교과서 = 490 2. 출판 매체로서의 바람직한 지향 = 494 Ⅲ. 쓰고 읽는 표본으로서의 교과서 - 첨단적 교과서관의 진정한 지향 = 498 1. 기초 학력의 위기 = 498 2. 디지털 시대의 교과서 = 504 Ⅳ. 앞으로의 과제 - 맺음말을 겸하여 = 507 참고 문헌 = 511 찾아보기 = 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