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장 서설
서설 - 끼침의 의미와 교과서 = 18
Ⅰ. 길잡이의 의미 = 18
Ⅱ. 끼침의 영향력과 문자의 누림 = 21
Ⅲ. 보고 배우는 것으로의 지향 = 26
Ⅳ. 우리 교과서의 뒤안길 = 32
Ⅴ. 전략적 끼침으로서의 교과서 = 43
Ⅵ. 교과서의 본디와 그 추구하는 것 = 49
제2장 한국의 교과서 변천 과정
한국의 교과서 변천에 대한 연구 = 60
Ⅰ. 서론 = 60
Ⅱ. 이론적 고찰 = 62
1. 관심의 문제 = 62
2. 연구의 진전 - 선행 연구의 개관을 겸하여 = 67
Ⅲ. 교과서 출판의 진전 과정 = 74
1. 개화기의 교과용 도서 = 74
(1)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이해 = 75
(2) 근대 교과용 도서의 실현 = 79
(3) 출판 형식의 특징 = 100
2. 일본 강점기의 교과용 도서 = 106
(1)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이해 = 106
(2) 교과서에 나타난 우민화 책략의 증거들 = 109
(3) 출판 형식의 특징 = 115
3. 광복 이후의 교과용 도서 = 122
(1)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이해 = 122
(2) 출판 형식의 특징 = 129
Ⅳ. 결론 = 151
제3장 미 군정기 및 교수 요목기의 교과서
미 군정기 및 교수 요목기의 교육 과정과 교과용 도서 편찬 = 160
Ⅰ. 서론 = 160
1. 연구 목적 = 160
2. 연구 방법 = 163
3. 시기 구분과 연구의 한계점 = 166
(1) 시기 구분 = 166
(2) 연구의 한계점 = 171
Ⅱ. 미 군정기 교육의 전개와 교과용 도서 편찬 = 176
1. 한국 교육의 새로운 설계 = 178
(1) 학무 행정의 성립 = 178
(2) 교수 요목의 제정과 그 적용 = 189
2. 교과용 도서의 편찬·발행 = 204
(1) 교과서 편찬에 따른 당무적 인식 = 205
(2)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국어 회복 = 207
(3) 교과용 도서의 편찬·발행 실태 = 216
Ⅲ. 신생 정부의 교육 과정·교과용 도서와 전시 교육 = 232
1. 교육 이념 - '홍익 인간'의 구현 = 232
2. 교육 과정·교과용 도서의 운영 = 235
(1) 교육 과정의 운영 = 235
(2) 교과용 도서의 운영 = 240
3. 전시하의 교육 과정과 교과용 도서 편찬·발행 = 259
(1) 전시하의 교육 과정 운영 = 260
(2) 전시하의 교과용 도서 편찬·발행 = 265
4. 편수 활동과 그 주변 = 272
(1) '편수'의 의의 = 272
(2) 편수 활동의 주변 = 279
Ⅳ. 결론적 논의 = 283
(1) 미 군정기 교육의 전개와 교과용 도서 편찬 = 284
(2) 신생 정부의 교육 과정·교과용 도서와 전시 교육 = 286
제4장 교과서 편찬 정책과 그 적용 과정
한국의 교과서 편찬 정책과 그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 = 300
Ⅰ. 서론 = 300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 300
2. 연구 범위 및 제한점 = 304
Ⅱ. 교과용 도서 편찬 정책의 적용 = 305
1. 개념의 이해 = 305
2. 교과용 도서 편찬에서의 규제 적용 = 309
(1) 법령으로서의 규제 = 309
(2) 법령 이외의 규제 = 312
(3) 정형화된 상징성 = 315
Ⅲ. 교과용 도서 편찬 형식의 적용 = 316
1. 편찬의 전제 = 316
2. 편찬 및 체재 적용의 기저(基底)와 그 적용 = 318
(1) 편찬의 기저 = 318
(2) 체재 적용의 기저 = 323
(3) 체재의 적용 = 328
Ⅳ. 결론적 논의 = 344
(1) 교과용 도서의 체재 = 345
(2) 편찬 형식의 정책적 적용 = 346
(3) 향후의 지향 과제 = 347
교과서에 적용된 어문 정책의 변천 = 352
Ⅰ. 글머리 = 352
1. 말과 글, 어문 정책의 의의 = 352
2. 교과서는 그 나라 말과 글을 담은 그릇 = 354
Ⅱ. 교과용 도서에 적용된 어문 정책 = 358
1. 어문 정책의 적용 과정 = 360
(1) 어문 정책의 적용기 구분 = 360
(2) 교과서에 반영된 어문 정책 적용의 흐름 = 361
Ⅲ. 한글 전용과 교과서 = 390
1. 광복 직후 - 교과서에서의 되찾은 한글 = 391
2. 정부 수립 이후 - 한글 전용 정책의 과정 = 397
(1) 한글 전용 정책의 추진 = 397
(2) 한글 전용 교과서로 전면 개편 = 402
Ⅳ. 어문 교육 정책의 방향 = 408
1. 실험 과정으로서의 어문 정책 = 408
2. 문자 교육의 과제와 방향 = 415
(1) 문자 교육의 현황 = 415
(2) 문자 교육의 과제 = 418
(3) 문자 교육을 위한 정책적 방향 = 420
Ⅴ. 맺는 말 = 425
제5장 편집·출판 매체로서의 교과서
도입을 위한 전제 : 출판 연구와 편집 = 434
교육 수단의 편집·출판을 위한 이론적 이해 = 434
출판 연구에 있어 편집의 위상에 관한 연구 = 437
Ⅰ. 서론 = 437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 437
2. 연구 범위 및 제한점 = 440
Ⅱ. 출판학과 편집 연구의 상호 관련성 = 441
1. 출판학 연구 대상으로서의 편집 = 441
(1) 확대 지향적인 편집 = 445
(2) 매체 지향적인 편집 = 450
2. 편집의 학문적 성격 = 455
(1) 편집과 출판의 결합 = 455
(2) 편집 연구의 성격 = 465
Ⅲ. 정보 전달에 있어 편집의 위상 = 470
1. 정보 전달에 있어 편집의 필연성 = 471
(1) 정보의 가공 = 471
(2) 편집의 필연성 = 473
2. 앞으로의 편집 = 476
Ⅳ. 결론적 논의 = 480
교과서 - 편집·출판 매체로서의 전향적(前向的)인식 = 488
Ⅰ. 글머리 : 책 중의 책 = 488
Ⅱ. 좋은 편집·출판 매체로서의 교과서 개발 = 490
1. 편집 저작물로서의 교과서 = 490
2. 출판 매체로서의 바람직한 지향 = 494
Ⅲ. 쓰고 읽는 표본으로서의 교과서 - 첨단적 교과서관의 진정한 지향 = 498
1. 기초 학력의 위기 = 498
2. 디지털 시대의 교과서 = 504
Ⅳ. 앞으로의 과제 - 맺음말을 겸하여 = 507
참고 문헌 = 511
찾아보기 = 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