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구의 개요
제1부 척도 차원
제1장 MMPI 타당도척도에 관한 연구 : L. F. K 요인을 중심으로 = 5
제2장 MMPI 내용척도와 성격장애 척도의 구조분석 = 13
제3장 MMPI 내용척도의 타당화 연구 = 29
제4장 신판 MMPI 정신분열증 척도의 타당도 연구 : 새로운 경험적 척도구성의 가능성 = 53
제5장 MMPI 성격장애 척도와 16PF 검사 구조분석 : 성격장애 척도 타당화 예비연구 = 67
제6장 MMPI 성격장애 척도의 안정성 연구 : 대학생을 대상으로 = 79
제7장 MMPI의 진단변별기능분석 = 90
제2부 반응 차원
제8장 교통사고 환자의 MMPI 왜곡반응 탐지 = 127
제9장 MMPI 비타당 프로파일 탐지책략의 유용성 = 153
제10장 반응태세가 MMPI에 미치는 영향 = 168
제11장 MMPI의 긍정왜곡에 대한 연구 : 타당도척도와 모호 명백문항을 중심으로 = 187
제12장 MMPI에서의 부정왜곡에 대한 탐지책략 = 203
제13장 MMPI 무선반응 태도 탐지척도의 유용성 = 217
제14장 MMPI에서의 무선응답의 영향 = 226
제15장 MMPI 문항의 모호 - 명백도 평정 연구 = 239
제16장 Role Taking Ability of Chronic Schizophrenics on The MMPI = 254
제3부 집단별 특성 차원
제17장 MMPI에서 기태성을 보이지 않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특성 = 267
제18장 MMPI 개별척도와 관련된 정상인의 행동특성 = 278
제19장 MMPI와 행동특성 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304
제20장 '구타당하는 아내' 환자의 MMPI 프로파일 특성 = 328
제4부 문화적 차원
제21장 한국형 MMPI 내용척도의 표준화 연구 : 규준 및 예비적 해석자료 = 347
제22장 한국형 Harris-Lingoes 하위척도의 타당도 연구 : 대학생 집단의 경우 = 371
제23장 신판 MMPI 한국형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문화 중심적 접근의 가능성 = 390
제24장 한국형 MMPI - 168의 임상적 타당도 = 410
제25장 MMPI 한국형 정신분열증 척도들에 대한 교차타당화 연구 = 425
제26장 신판 MMPI Sc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문화 중심적 접근의 가능성 = 440
제27장 Barron의 자아강도척도의 표준화 연구 =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