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토피아 사상과 사회변동

유토피아 사상과 사회변동 (3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호강
서명 / 저자사항
유토피아 사상과 사회변동 / 박호강 저.
발행사항
경산 :   대구대학교출판부 ,   1998.  
형태사항
x, 232 p. ; 23 cm.
ISBN
8977941164
서지주기
참고문헌(p.215-224) 및 색인 포함
000 00647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714926
005 20100807020904
007 ta
008 990421s1998 gbk SH 001a kor
020 ▼a 8977941164 ▼g 93300 : ▼c \10000
035 ▼a KRIC07115635
040 ▼a 225009 ▼c 225009 ▼d 211009
049 1 ▼l 111190823 ▼f 개가 ▼l 111190824 ▼f 개가 ▼l 11119082 5 ▼f 개가
082 0 4 ▼a 301.01 ▼2 21
090 ▼a 301.01 ▼b 1998
100 1 ▼a 박호강
245 1 0 ▼a 유토피아 사상과 사회변동 / ▼d 박호강 저.
260 ▼a 경산 : ▼b 대구대학교출판부 , ▼c 1998.
300 ▼a x, 232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215-224) 및 색인 포함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01.01 1998 등록번호 1111908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1 1998 등록번호 1111908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301.01 1998 등록번호 1511134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보존 청구기호 301.01 1998 등록번호 1511134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01.01 1998 등록번호 1111908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1 1998 등록번호 1111908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301.01 1998 등록번호 1511134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보존 청구기호 301.01 1998 등록번호 1511134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호강(지은이)

<유토피아와 사회진보>

정보제공 : Aladin

목차

Ⅰ. 머리말 = 1
Ⅱ. 유토피아와 사회적 상상력 = 7
  1. 유토피아란 무엇인가? = 7
  2. 유토피아의 신화와 과학 = 9
    유토피아의 신화 = 9
    유토피아의 과학 = 11
    유토피아적 관념과 사회적 탐구 = 13
  3. 유토피아적 사고의 발전과 유형 = 15
    고대의 신화와 철학적 세계관 = 15
    중세의 천년왕국설적 유토피아 사상 = 16
    르네상스 시대의 종말론적 유토피아 = 17
    계몽 시대의 이상적 유토피아 = 18
    근대의 사회정치적·기술과학적 유토피아 = 19
    20세기초 구조기능주의 사회이론과 과학 픽션 = 20
    20세기 후반의 사회적 유토피아의 부활 - (신마르크스주의 유토피아적 사고) = 21
  4. 유토피아와 유토피아사상의 사회적 기능 = 22
Ⅲ. 유토피아의 두 전형 = 27
  1. 사회공학의 경전, 플라톤의 (이상국가론) = 27
    (이상국각론)의 작품배경과 성격 = 27
    철인왕의 이상과 통치제도 = 28
    사회계급제도 = 30
    교육제도 = 32
    가족과 재산의 공유제(공산주의) = 33
    남녀평등 사상 = 35
    (이상국가론)의 긍정적요소와 부정적 요소 = 36
  2. 최상의 연방국, 모어의 (유토피아) = 38
    (유토피아)의 작품배경과 성격 = 38
    행정구조와 정치체계 = 40
    직업구조와 경제제도 = 41
    결혼과 가족제도 = 42
    군사제도 = 42
    종교제도 = 43
    (유토피아)의 근본원리와 가치 = 43
Ⅳ. 공동체와 유토피아의 사회학 = 45
  1. 공동체와 유토피아의 사회학 = 45
    개체와 공동체의 관계 = 45
    공동체의 사회학적 모델, 게마인샤프트 = 47
    공동체가치와 유토피아가치의 문제 = 49
  2. 공동체이론의 사상사적 배경과 사회학적 전통 = 52
    전통적·보수주의적 공동체이론 = 52
      자유주의적·개인주의적 반공동체이론 = 57
      수정주의적·유토피아적 공동체이론 = 57
  3. 이상사회 모델의 사회학적 시도 = 58
      인간의 두 기본욕구와 이상사회의 두 핵심요소 = 58
      게만샤프트적 사회와 게젤샤프트적 사회의 조화 = 60
      사회교환이론, 공동체개념, 게노센샤프트개념 변수들 = 61
Ⅴ. 진보 관념과 사회학적 유토피아 = 67
  1. 유토피아와 진보 관념 = 67
      유토피아·진보관념·사회발전 = 67
      그리스 - 로마시대의 진보관념 = 69
      기독교적 진보 관념, (지상낙원)신념 = 71
  2. 18세기의 진보이론과 꽁도르쎄의 역사유토피아 = 75
      지식혁명과 진보이론 = 75
      꽁도르쎄의 진보이론 = 77
      꽁도르쎄의 역사유토피아 = 79
  3. 꽁뜨의 사회변동론과 실증주의 유토피아 = 81
      꽁뜨의 실증철학과 (진보와 질서)의 사회학 = 82
      꽁뜨의 실증주의 유토피아 = 84
Ⅵ. 정치공동체와 유토피아 = 87
  1. 플라톤의 정치공동체 이상 = 87
    정치공동체로서 이상국가 = 87
    개인적 정의와 국가적 정의 = 89
    철인왕의 이상과 통치자의 위상 = 90
    수호자계급과 공유제이념 = 91
    도시국가의 조직이념, 전체론적·유기체적 공동체관 = 92
  2. 홉스의 (레비아탄)과 근대적 정치공동체 = 94
    공동체주의의 해체와 절대국가의 등장 = 94
    정치공동체와 주권론 = 95
    두 개의 실체, 개인과 국가 = 97
    원자화된 개인과 정치공동체의 친화성 = 99
    20세기의 원형적 전체주의체제 = 101
  3. 루소의 (일반의지)원리와 정치공동체유토피아 = 105
    사회계약론과 (일반의지) = 106
    루소의이상사회, (동등자들의 사회) = 107
    주권국가와 (일반의지) = 109
    루소사상의 영향 = 110
Ⅶ. 사회주의 유토피아의 이상과 실제 = 113
  1. 푸리에의 유토피아 (방진) (Phalanx) = 113
      푸리에의 역사사회관과 인간관 = 113
      즐거운 심리적 공동체, (방진) = 115
      방진과 실험공동체운동 = 117
  2. 오웬의 사회개혁론과 공동체유토피아 = 118
    오웬 사상의 시대적 배경 = 118
    (평행사변형마을)의 이상과 실제 = 119
  3. 뿌루동의 상호주의와 지방분권주의 사회관 = 125
    자유수호와 상호주의 = 125
    무정부상태의 대안 - 지방분권주의, 연방주의 = 127
    뿌루동의 혁명개념 = 128
    뿌루동의 소유권 개념 = 128
  4. 크로포트킨의 무정부주의적 자유공동체와 공업촌 = 129
    무정부주의적 경제체제 = 130
    정치적 무정부주의 = 131
    상호부조원리와 새로운 공동체유형 = 132
    공업촌의 이상 = 134
  5. 페이비안 사회주의와 웹의 사회이상론 = 135
    영국의 페이비안사회주의 전통 = 135
    웹의 페이비아니즘과 민주적 사회주의 = 136
Ⅷ. 유토피아적 콤뮨과 인간회복운동 = 139
  1. 공동체·콤뮨·유토피아 = 139
    콤뮨의 사회학적 의미 = 139
    콤뮨운동의 유토피아적 성격 = 141
  2. 유토피아적 콤뮨운동의 현실적 기능과 이념적 역할 = 142
    유토피아적 이상공동체, 콤뮨의 이념 = 142
    미국의 콤뮨운동사 = 144
    실험공동체로서의 콤뮨의 한계성 = 146
    콤뮨의 기능과 역할 = 148
3. 행동과학의 유토피아소설 「제 2 월덴」= 149
    문화조작과 행동공학의 실험공동체 = 149
    (제 2 월덴)콤뮨의 구조 = 150
    문화설계와 행동규약 = 150
    (제 2 월덴) 콤뮨의 가족과 결혼 = 153
    (제 2 월덴)의 유토피아적 의의 = 154
Ⅸ. 도시유토피아와 유토피아적 도시계획 = 159
  1. 도시와 유토피아 = 159
      유토피아의 실체로서 도시 = 159
      공간적 유토피아로서 도시 = 163
      도시유토피아 실현의 두가지 접근방식 = 164
  2. 반도시주의와 유토피아적 도시계획 = 165
      반도시주의 전통 = 165
      산업도시의 문제와 도시계획 = 167
      유토피아적 도시계획의 발달과 유형 = 168
  3. 현대의 도시유토피아(1) : 전원도시와 소도시운동 = 171
      하워드의 전원도시 = 171
      전원도시의 근본원리 = 173
      하워드의 사회적 도시 = 174
      최초의 전원도시와 하워드식 자본주의유토피아 = 175
      영국의 소도시운동과 소도시계획의 세계적 확산 = 177
  4. 현대의 도시유토피아(2) : 게데스와 멈포드의 도시이상 = 180
      게데스의 지역주의와 신공예질서 = 181
      멈포드의 지역문화주의와 생물공학적 커뮤니티 = 183
  5. 현대의 도시유토피아(3) : 유토피아적 거대도시계획 모형 = 185
      라이트의 도시확산 모형, (브러드에이커·시티) = 185
      르·꼬르뷔지에의 (현대도시)와 (레이디언트·시티) = 187
Ⅹ. 기술유토피아와 사회진보 = 193
  1. 기술유토피아의 사상적 기초 = 193
      과학적 인본주의와 기술유토피아 = 193
      진보관념의 그리스전통과 기술진보 = 195
  2. 유럽의 기술사회에 대한 상상력 = 198
      베이컨 ·캄파넬라 ·앙드레의 기술유토피아 = 198
      꽁도르쎄의 진보적 ·역사적 유토피아 = 199
      쌩시몽과 꽁뜨의 과학적 ·사회학적 유토피아 = 201
  3. 미국의 기술사회에 대한 상상력 = 203
      유기적 사회모델과 미국적 기술유토피아의 특성 = 203
      벨라미의 기술 유토피아 = 205
      과학적 경영과 테크노크라시 운동 = 209
  4. 기술진보 ·디스토피아 ·사회진보 = 211
참고문헌 = 215
색인 = 22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