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과정 평가론

교육과정 평가론 (Loan 3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최호성
Title Statement
교육과정 평가론 = Curriculum evaluation / 최호성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마산 :   경남대학교출판부 ,   1998.  
Physical Medium
265 p. : 삽도 ; 23cm.
ISBN
898421011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233-256
000 00569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714738
005 20100807020702
007 ta
008 010829s1998 gnka VF 000a kor
020 ▼a 8984210110 ▼g 93370 : ▼c \10000
040 ▼a 211009 ▼c 211009
049 1 ▼l 111192169 ▼f 개가
082 0 4 ▼a 375.006 ▼2 20
090 ▼a 375.006 ▼b 1998
100 1 ▼a 최호성 ▼0 AUTH(211009)81362
245 1 0 ▼a 교육과정 평가론 = ▼x Curriculum evaluation / ▼d 최호성 지음.
260 ▼a 마산 : ▼b 경남대학교출판부 , ▼c 1998.
300 ▼a 265 p. : ▼b 삽도 ; ▼c 23cm.
504 ▼a 참고문헌 : p.233-256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6 1998 Accession No. 11119216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최호성(지은이)

1995년부터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3년 경북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박사(교육과정·수업 전공)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교육연구소에서 실제 생활 맥락을 토대로 한 수학교육방법론(realistic approach to mathematics education)의 대가인 롬버그 박사(Dr. T. Romberg)의 지도를 받아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 중심의 대안적 평가 접근 방법을 연구하였다. 1998년 8월, 부·울·경 지역 최초로 당시 과학기술부 지정 “경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를 설립하면서, 영재선발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 관련 연구와 실천에 노력해 왔다. 2003년 국내 최초의 과학영재학교인 한국과학영재학교(개교 당시 부산과학영재학교) 개교에 관한 정책 연구진에 합류한 이래, 전국의 과학영재학교 설립과 운영 및 과학고등학교 내실화 방안을 추진하는 데 앞장서 왔다. 이때, 한국형 과학영재 사사교육 모형으로 널리 알려진 “과학영재학교 R&E (청소년 창의연구) 교육 모형”을 창안해 과학고와 과학영재학교의 대표적인 학생 자율 탐구 프로그램으로 정착시켰다. 미국 오리건대학교(University of Oregon) 영재교육센터(TAG Center)에서 소장 드뷰즈 박사(Dr.Marji DeBuse)와 함께 한국과 미국의 재능 맞춤형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였고, 2008년부터 당시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한국과학창의재단의 “과학고발전사업단” 단장을 맡아 전국의 과학고등학교에 입학사정관제를 응용한 자기주도학습 전형 방식 도입, 조기졸업생 비율 하향 조정, 창의적 탐구활동으로서의 R&E 프로그램 지원 확대 등에 힘써 왔다. 특히, 과학영재들의 창의적 탐구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2015년부터 전국 과학고 및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R&E 연구 논문을 엄선하여 <청소년과학창의연구(The Journal of Youth in Scientific Research)>라는 학술지를 발간해 보급한 바 있다. 한편, 2014년 한국교육과정학회 부회장, 2018년 한국영재학회장, 교육부 중앙영재교육진흥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교육과정 및 수업에 관한 교육학적 일반이론을 토대로 영재나 상위 성취 학습자들을 위한 수준별·맞춤형·차별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는 연구를 계속해 오고 있다. 또한, 한국의 과학영재교육 정책 및 실천 경험을 아세안 국가들과 공유·확산하기 위해 2019년 여름에는 베트남 호치민시(HCMC, Vietnam)에서 “한-베 청소년 과학영재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양국의 차세대 청소년 과학자들이 교류·협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하기 위해 교사들과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 방법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협업 연구를 하고 있다. ‘디자인 싱킹으로 희망을 디자인하다’라는 슬로건 아래, H·O·P·E의 네 가지 학습주제 영역(건강·개방성·평화·환경)에 따라 초·중등학교의 창의성 신장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있으며, 학생캠프와 교원연수과정을 통해 교육현장에 디자인 싱킹 기반의 새로운 교육모델을 적용·확산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교육평가의 개념적 이해

 1. 측정, 평가, 연구 = 11

 2. 평가와 개념분석론 = 19

제2장 평가 모형의 개관

 1. 인간의 인식과정과 평가의 모형 = 55

 2. 평가모형의 분석과 비교 = 69

제3장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

 1. 교육과정 평가 논의의 대두 = 99

 2. 교육과정 평가의 3차원 구조 = 105

 3.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모형 = 118

제4장 교육과정 평가의 준거

 1. 평가준거의 의미 분석 = 138

 2. 평가준거의 표현방식 = 148

제5장 교육과정 평가의 한 실험

 1. 목표 평가의 의의 = 165

 2. 목표 평가 준거의 의미와 자원 = 173

 3. 목표 평가 준거의 설정 = 182

 4. 목표 평가 준거의 타당화 = 190

제6장 교육평가의 최근 움직임

 1. 학습자 평가의 대안적 접근 = 205

 2. 대안적 평가의 몇가지 전형 = 211

 3. 수행평가관의 현장 적용을 위하여 = 230

참고문헌 = 233

부록 = 25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