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44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00714320 | |
005 | 20100807020114 | |
007 | ta | |
008 | 010823s2001 ulka 001a kor | |
020 | ▼a 8989484030 ▼g 13000 : ▼c \23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21053456 ▼f 과학 ▼l 121053457 ▼f 과학 ▼l 111195591 ▼f 개가 |
082 | 0 4 | ▼a 005.43 ▼2 21 |
090 | ▼a 005.43 ▼b 2001e | |
245 | 2 0 | ▼a (Open)솔라리스 8 = ▼x Solaris 8 / ▼d 조관현...[등저]. |
260 | ▼a 서울 : ▼b 이비컴 , ▼c 2001. | |
300 | ▼a 665 p. : ▼b 삽도 ; ▼c 26 cm + ▼e CD-ROM 1매. | |
500 | ▼a 색인수록 ▼a 공저사항 : 정은경,남상훈,최현주 | |
700 | 1 | ▼a 조관현 |
700 | 1 | ▼a 정은경 |
700 | 1 | ▼a 남상훈 |
700 | 1 | ▼a 최현주 |
710 | ▼a Solarisschool 운영진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1(동양서)/ | 청구기호 005.43 2001e | 등록번호 1210534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Solaris 설치에서 네트워크관리까지의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책이다.
솔라리스(Solaris)는 윈도우와 같은 개념의 운영체제로서 유닉스의 한 종류로 SUN에서 개발했다. 여러 해를 거듭하면서 지금은 8버전까지 업그레이드되었다. 이 책은 가장 최근 버전인 솔라리스의 8버전을 주로 다룬 책. 솔라리스에는 스팍(Sparc)용과 인텔용 버전이 있는데, 이 책은 주로 인텔용 버전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솔라리스 7 이전의 배포판은 완전 상용이었으며, 솔라리스 7은 무료 배포이긴 했지만 비상업용이라는 제약이 따르고 있다. 그러나 현재 배포되는 솔라리스 8은 상업용이든 비상업용이든 사용상 제약을 두지 않고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이 책은 국내 최초로 국내 필자들(솔라리스 스쿨)에 의해 쓰여진 최신 버전의 솔라리스 활용서이다. 유닉스 명령어만 나열한 책이 아니라, 솔라리스라는 OS의 개념에서 구하는 방법과 자세한 설치 방법, 그리고 디스크 및 파일관리, 시스템 관리, 백업과 복구, 네트워크 관리와 보안(웹 서버, 메일 서버, FTP 서버, Samba 구축 등) 등에 대한 일련의 다양한 부분을 모두 다루었다.
이 책은 솔라리스 스쿨팀이 만들고 운영하는 http://www.solarisschool.com과 연계한 자체 오픈 솔라리스 책 홈페이지(http://solaris.bookbee.co.kr)를 통해서 관련된 질의 응답, 온라인 강좌, 최신정보 등의 커뮤니티등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1 솔라리스 설치와 개론 1 솔라리스란? = 21 솔라리스란 어떤 것인가? = 22 1 유닉스란? = 22 2 솔라리스에 대하여 = 23 솔라리스의 발전사 = 24 1 유닉스의 발전 배경 = 24 2 솔라리스의 변천사 = 25 솔라라스 8의 특징 = 27 Free Solaris Binary License = 27 Free Solaris 8 Foundation Source = 28 확장성 = 28 가용성 = 28 보안 = 29 관리성 = 29 2 솔라리스 주문하기 = 31 솔라리스 8 구입하기 = 32 1 미디어 킷 구성물 살펴보기 = 32 솔라리스 8 미디어킷의 구성 = 32 2 인텔용 솔라리스 8 바이너리 미디어 킷 주문하기 = 36 3 인텔용 솔라리스 8 소스 미디어 킷 주문하기 = 45 솔라리스 8 바이너리 다운로드 받기 = 48 솔라리스 8 라이센스 프로그램 = 52 1 Free Solaris Binary License Program = 52 2 Free Solars Source License Program = 53 3 설치 전 준비사항 = 55 하드웨어 목록 살펴보기 = 56 1 Hardware Compatibility List(HCL) = 56 2 HCL의 구성 = 59 3 기본사양 = 60 CPU = 60 Memory : 최소 64MB, 최대 32GB = 61 Bus = 61 디스크 인터페이스 = 61 배포 매체 = 61 솔라리스 설치에 필요한 장치 = 61 파티션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 62 1 배포 버전 결정하기 = 62 핵심 시스템 지원 = 63 최종 사용자 시스템 = 63 개발자 시스템 지원 = 63 배포 전체와 배포 전체 및 OEM 지원 = 63 2 파티션 계획하기 = 63 네트워크 정보 수집 = 66 1 필요한 네트워크 정보 = 66 호스트 이름(Hostname) = 66 호스트 IP 주소(IP Address) = 66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66 이름 서비스 유형(DNS, NIS, NIS+) = 66 도메인 이름(Domain Name) = 67 네임서버의 IP주소 = 67 2 윈도우에서 네트워크 정보 확인하기 = 67 4 인텔 플랫폼 판 솔라리스 8 설치하기 = 71 설치를 위한 초기 설정 = 72 1 Solaris 8 초기 설정 = 72 Solaris Web Start 사용하기 = 85 1 Solaris Web Start? = 85 2 Solaris Web Start가 하는 일은? = 85 3 Solaris Web Start를 사용하여 솔라리스 8을 설치하기 = 85 Solaris 8 lnteractive lnstallation Program을 사용한 설치 = 100 1 Solaris 8 lnteractive lnstallation Program 이란? = 100 2 Solaris 8 lnteractive lnstallation Program은 언제 사용할까? = 100 3 Solaris 8 lnteractive lnstallation Program으로 솔라리스 8 설치하기 = 101 설정 후 기본 네트워크 설정하기 = 117 1 /etc/hosts = 117 2 /etc/defaultrouter = 118 3 /etc/nsswitch.conf = 118 4 /etc/resolb.conf = 119 5 네트워크 연결 = 120 5 스팍 플랫폼 판 솔라리스 8 설치하기 = 121 설치를 위한 초기 설정 = 122 1 스팍 플랫폼판 설치 = 122 2 solaris Web Start 사용하기 = 125 6 시스템 업그레이드 = 127 솔라리스 7 운영 환경을 솔라리스 8로 업그레이드 하자 = 128 1 업그레이드 준비하기 = 128 업그레이드 방법 결정 = 128 업그레이드를 위한 시스템 사양은? = 128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자 = 129 2 Solaris 8 lnteractive lnstallation Program 사용하기 = 129 시작하기 = 129 시스템 식별 = 136 업그레이드 = 140 7 다른 운영체제와 함께 사용하기 = 143 일반적인 사항 = 144 1 일반적인 파티션 = 144 2 솔라리스에서 바라 본 파티션 = 144 3 사용한 운영체제 버전 = 145 4 주의할 점 = 145 리눅스와 솔라리스 8 = 146 1단계 : 리눅스 fdisk = 146 2단계 : 솔라리스 설치 = 156 3단계 : 리눅스 fdisk 및 설치 = 158 4단계 : LILO에 솔라리스 추가하기 = 175 윈도우 2000과 솔라리스 8 = 178 1단계 : 윈도 2000 설치 = 178 2단계 : 솔라리스 설치 = 180 8 시스템 시작하기 = 183 시스템 시작하기 = 184 1 시스템 접속하기(login) = 184 2 시스템 끝내기(logout) = 185 3 패스워드 바꾸기 = 186 4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기 = 187 telnet = 187 rlogin = 189 2 솔라리스 시작하기 9 CDE 데스크탑 사용 = 193 CDE?란 = 194 데스크탑 세션 = 195 1 데스크탑 세션의 시작 및 종료 = 195 데스크탑 로그인 = 195 데스크탑 로그아웃 = 197 2 비상 안전(Failsafe)세션 시작 = 197 3 명령줄 로그인 = 198 프로트 패널 사용 = 199 1 프론트 패널의 구성 = 199 기본 패널 = 200 부속 패널 = 201 2 프론트 패널 사용하기 = 202 기본 패널에 응용프로그램 추가 및 삭제 = 202 작업장 사용하기 = 204 1 스타일 관리자란? = 206 색상 = 206 글꼴 = 207 백그라운드 = 208 시작 = 208 응용 프로그램 소개 = 210 1 터미널 사용하기 = 210 2 이미지 뷰어 사용하기 = 211 3 비디오 및 오디오 사용하기 = 212 4 프로세스 관리자 사용하기 = 212 5 성능 측정기 사용하기 = 214 CDE 관리 = 216 1 CDE 디렉토리 구조 = 216 2 데스크탑 로그인 서버 = 217 로그인 서버 설정 = 217 로고 변경 = 218 환영 메시지 변경 = 221 글꼴 변경 = 222 10 쉘의 사용 = 225 쉘이란 무엇인가? = 226 1 쉘이란? = 226 2 쉘의 종류 및 비교 = 228 쉘의 공통된 기능 = 232 1 명령어 해석 = 232 2 와일드 카드 문자 = 232 3 작업 환경 관리 = 234 C쉘 = 237 1 Alias = 237 2 명령 히스토리(Command History) = 239 3 명령행 자동 완성(File Completion) = 244 4 작업 관리하기 = 244 5 쉘 변수 = 246 Bourne Again 쉘 = 248 1 명령 히스토리(Command History) = 248 2 프롬프트 변경 = 249 3 쉘 바꾸기 = 250 11 유닉스 기본 명령어 = 251 유닉스 기본 명령어 = 252 1 파일 정보 보기 = 252 디렉토리 내의 파일 보기 : ls = 252 디렉토리 내의 숨겨진 파일 보기[-a = 254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보기 = 254 2 파일의 종류 알아내기 : file = 256 3 파일내용보기 : cat = 256 4 파일내용 한 화면씩 보기 = 257 more = 257 less = 258 5 파일내용 처음과 끝 지정해서 보기 = 259 파일의 처음부분을 출력 : head = 259 파일의 마지막 부분 출력 : tail = 260 WC = 261 6 파일 찾기와 비교하기 = 262 find = 262 comm = 263 디렉토리의 내용 비교 - dircmp = 264 7 명령어 찾기 = 266 which = 266 whereis = 266 8 파일 조작하기 = 267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하기 : cp = 267 파일이름 바꾸거나 이동하기 : mv = 268 파일 및 디렉토리 지우기 : rm = 270 9 디렉토리 조작하기 = 271 디렉토리 만들기 : mkdir = 271 디렉토리 지우기 : rmdir = 272 10 파일 내용 검색하기 = 272 grep = 272 egrep = 273 11 메타문자(Meta characters) = 274 세미콜론[;] = 274 아스트리크[*] = 274 물음표[?] = 275 리다이렉션(redirection) = 275 and[&] = 276 명령어(backquote[]) = 276 유닉스 고급 명령어 = 277 1 파일 압축하고 풀기 = 277 tar = 277 compress = 279 uncompress = 280 gzip & gunzip = 280 2 파일 링크 하기 : ln = 281 하드 링크(hard link) = 281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 282 3 입출력 방향 변경 & 파이프(redirection & Pipes) = 283 입출력 방향 변경(redirection) = 283 파이프(Pipe) = 284 4 네트워크 명령어 = 285 파일 전송하기 및 다운받기 : FTP = 285 5 네트워크 연결 확인하기 : ping = 289 6 네트워크 상태 확인하기 : netstat = 290 7 네트워크 경로 알아내기 : traceroute = 292 8 네임 서버 질의 : nslookup = 292 9 hostname = 295 기타 유용한 명령어 = 296 1 echo = 296 2 date = 296 3 cal = 297 4 clear = 298 5 who = 298 6 finger = 299 7 w = 300 8 env = 300 12 유닉스 문서 작성기 = 301 문서 편집기 = 302 1 vi 시작하기 = 302 2 vi 모드 = 303 3 텍스트 입력, 이동, 수정 하기 = 303 입력하기 = 303 이동하기 = 304 수정하기 = 306 4 파일의 저장, 종료와 vi 빠져나오기 = 308 5 Vi 활용하기 = 310 Emacs 편집기 = 316 1 Emacs란? = 316 2 Emacs 시작하기 = 316 3 텍스트 입력하기 = 319 4 Emacs 모드 = 319 5 Emacs 종료하기 = 321 6 Emacs help = 322 7 문서 편집하기 = 323 이동하기 = 323 한 화면씩 이동하기 = 325 삭제하기 = 325 Undo = 325 삽입하기 = 327 파일 불러오기 = 327 7 Emacs 활용하기 = 328 윈도우 편집기 Emacs = 328 쉘 사용하기 = 330 vi 사용하기 = 331 3 디스크 및 파일 관리 13 솔라리스 파일 시스템 = 335 파일 시스템 기초 = 336 1 파일이란? = 336 2 솔라리스 디렉토리 구조 = 337 /(root) = 337 /bin & /usr/bin = 337 /dev & /devices = 338 /etc = 338 /export/home = 342 /opt = 342 /usr = 343 /var = 344 솔라리스 파일 스시템의 구조 = 346 1 파일 시스템의 물리적 구조 = 346 하드 디스크의 구조 = 346 디스크 슬라이스 = 347 파일 시스템 구조 = 347 2 파일 시스템 마운트하기 = 350 마운트란? = 350 파일 시스템 마운트하기 = 350 언마운트 하기 = 350 마운트 구성 파일 = 354 Volume Management = 355 새로운 파일 시스템 만들기 = 356 14 백업과 복구 = 357 백업이란? = 358 1 백업(backup)의 필요성 = 358 2 백업매체 = 358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 358 자기 광 디스크(Magneto optical disk) = 358 플옵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 359 광 디스크(Optical Disk) = 359 하드 디스크(hard disk) = 359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 359 CD-ROM = 360 3 백업 매체의 선택 = 360 4 백업의 종류 = 361 Day zero = 361 Full backup = 361 lncremental backup = 361 Multivolume backup = 361 백업과 복구 = 362 1 준비단계 = 362 2 테이프 디바이스 이름(Tape Device Name) = 362 3 백업 및 복구 관련 명령어 = 363 tar = 363 dd = 368 cpio(copy file archives in and out) = 369 ufsdump = 370 ufsrestore = 371 15 디스크 관리하기 = 373 디스크 관리란? = 374 1 디스크 관리 이론 = 374 디스크 장치명 = 374 2 디스크의 이용 상태 보기 - df = 377 3 디스크 사용량 보기 - du = 378 4 파일 시스템 체크 - fsck = 379 5 디스크 구성 살펴보기 - prtvtoc = 380 유용한 명령어 = 381 1 시스템 재인식(Reconfigure) = 381 2 포맷하기 = 382 설치할 디스크 고르기 = 382 파일 시스템 결정 및 저장 = 383 파티션 나누기 = 383 파티션 작업 저장 - relabel = 384 3 파일 시스템 구성하기 - newfs = 384 4 고급 디스크 관리 = 385 Solstice Disksuite = 385 Disksuite 4.2.1 설치 = 386 Disksuite 이용하기 = 391 4 시스템 관리 16 시스템 관리하기 = 403 디스크 추가하기 = 404 1 프로세스 정보 수집 = 404 ps = 404 prstat = 406 2 kill = 407 3 pgrep과 pkill = 408 CPU 상태 모니터링 = 410 1 sar = 410 2 uptime = 411 메모리 상태 모니터링 = 412 1 swap = 412 스왑 메모리 모니터링 = 412 스왑 메모리 추가 = 413 스왑 메모리 삭제 = 414 sar = 415 하드 디스크 상태 모니터링 = 416 1 iostate = 416 17 패치 관리 = 419 패치 관리 = 420 1 일반 권고 패치 받기 = 420 2 패치 글러스터 받기 = 421 패치 설치 및 제거하기 = 422 1 설치 전 해야할 일 = 422 2 패치 설치하기 = 423 Public Recommended Patch = 423 Recommended and Security Solaris Patch Clusters = 426 3 패치 제거하기 = 428 18 패키지 관리 = 429 패키지 개요 = 430 1 패키지에 대한 소개 = 430 2 패키지의 구성 요소 = 431 필수적인 패키지 구성 요소 = 432 선택적인 패키지 구성 요소 = 435 패키지 사용 방법 = 438 1 패키지 설치 = 438 pkgadd = 438 2 패키지 정보 보기 = 440 pkgachk = 440 pkginfo = 442 pkgparam = 443 3 패키지 삭제 = 443 pkgrm = 443 4 JAVA 2 SDK 설치하기 = 444 패키지 만들기 = 446 1 pkgproto = 447 2 pkgmk = 447 3 pkgtrans = 448 패키지 제작 예 = 449 19 네트워크의 이해 = 459 TCP/IP = 460 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 460 하드웨어적인 요소 = 460 소프트웨어적인 요소 = 460 2 TCP/IP란 무엇인가? = 461 프로토콜이란? = 461 3 데이터 통신 모델의 기본인 OSI란 무엇인가? = 462 4 TCP/IP 프로토콜의 특징 = 464 5 IP 주소 = 468 6 서브네트(subnet) = 470 7 라우팅 및 게이트 웨이 = 470 20 NFS 구성 = 473 NFS란? = 474 1 NFS란 무엇인가? = 474 2 NFS 서버에서 사용되는 데몬 = 475 3 NFS 클라이언트에서 사용되는 데몬 = 475 NFS 서버 = 476 1 수동 공유 = 476 2 자동 공유 = 478 NFS 클라이언트에서 할 일 = 479 1 수동 마운트 = 479 2 자동 마운트 = 480 NFS 설정 예제 = 481 1 NFS 서버 = 481 2 NFS 클라이언트 = 483 수동 마운트 = 483 자동 마운트 = 483 21 웹서버 구성하기 = 485 아파치 설치하기 = 486 1 소스 받기 = 487 2 컴파일 및 설치하기 = 488 아파치 세팅하기 = 490 1 httpd.conf 파일의 기초 설정 = 490 2 버추얼 호스트(Virtual Host) 설정 = 495 IP 기반 가상 호스팅(IP Address Based Virtual Hosting) = 495 이름 기반 가상 호스팅(Name Based Virtual Hosting) 3 자동 실행 설정 4 사용자 계정을 서브 도메인으로 모듈 올려주기 httpd.conf 파일 수정하기 PHPM My SQL 연동하기 1 php 설치하기 소스 받기 컴파일 및 설치하기 2 MySQL DB 연동하기 mysql 설치하기 Apache와 PHP의 추가 셋팅 22 서버 구성하기 FTP 서버 구성하기 일반 FTP 구성하기 익명 FTP(Anonymous FTP) 구성하기 기본 FTP 설정하기 Proftpd 서버 1 설치하기 = 517 download 및 압축 해제 = 517 컴파일하기 = 518 2 셋팅하기 = 519 proftpd.conf 설정 = 519 3 구동 및 관리 = 521 구동 및 중지 = 521 4 자동 실행 설정 = 522 5 기타 관리 명령 = 523 23 Mail 서버 = 525 Mail 서버의 작동 = 525 1 메일 서버의 이론 = 526 Mail 데몬의 설치 및 구동 = 528 1 Sendmail 설치하기 = 528 Sendmail = 528 2 Sendmail을 이용한 메일 서버 구축 = 529 3 Sendmail 서비스 시작과 정지 = 549 그밖의 서비스 = 551 1 메일 포워딩 = 551 2 메일링 리스트 운영 = 551 3 부재중 설정 = 551 24 Samba 구축하기 = 553 Samba란? = 554 1 Samba란? = 554 2 Samba 구하기 = 555 3 Samba 소스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 556 4 Samba 패키지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 558 SWAT을 이용한 Samba 설정 = 560 1 SWAT 사용하기에 앞서 해야 할 일 = 560 2 솔라리스의 지원 사용하기 = 562 Global 변수 설정 = 564 공유할 지원 설정 = 565 데몬 실행 = 566 설정 사항 보기 = 567 MS 윈도우에서의 작업 = 567 3 Windows의 지원 사용하기 = 568 25 Solaris 8과 시스템 보안 = 571 보안의 개요 = 572 1 보안의 필요성 = 572 2 솔라리스 8 시스템 보안의 새로운 특징 = 573 3 솔라리스 8에서의 보안을 위한 유의사항 = 574 솔라리스 8 시스템에서 운영 프로그램을 설치시 유의사항 = 574 보안을 위한 기본 사항 = 574 솔라리스의 파일 보완 = 576 1 특별권한 설정시 주의사항 = 576 2 SetUID = 577 3 SetGID = 577 4 Sticky bit = 578 5 Umask = 578 6 ACL(Access Control List) = 579 ACL의 특징 = 579 ACL 엔트리 = 579 파일에 대한 ACL 엔트리 = 580 디렉토리에 대한 ACL 엔트리 = 581 파일에 ACL을 설정하는 방법 = 581 파일에 설정된 ACL 값을 다른 파일에 복사해주는 방법 = 582 파일에 설정된 ACL 값을 변경하는 방법 = 583 파일에 설정된 ACL 값을 삭제하는 방법 = 583 시스템 보완 = 584 1 암호없는 계정을 가진 사용자 검색 = 584 2 로그인에 실패한 접속기록 살펴보기 = 584 3 수퍼 유저(root)의 로그인 제한하기 = 586 4 누가 su 명령어를 사용했을까? = 586 5 제한된 쉘(Restricted Shell)의 지정 = 588 6 불필요한 서비스 중단 및 스크립트 제거 = 589 7 CORE lnstallation = 590 8 ftp 사용자의 제한 = 590 9 보안을 위한 경고 메시지 출력 = 591 프로그램을 이용한 보완 1 실시간 SCAN 탐지 도구(RTSD) = 592 RTSD 셋팅하기 = 593 RTSD 컴파일 = 594 RTSD 실행 = 595 RTSD 보고 문서의 예 = 596 2 Nmap을 이용한 취약점 분석 = 597 Nmap 설치하기 = 598 nmap 실행하기 = 598 6 유용한 프로그램들 26 유용한 어플리케이션 = 603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 604 1 파일 관리자 미드나잇 커맨터(Midnight Commander) = 604 설치하기 = 604 미드나잇 커맨더 구성 = 605 미드나잇 커맨더 기본 사용법 = 606 2 Git(gnu interactive tools) = 613 소스로 설치하기 = 613 git 시작하기 = 614 git 사용하기 = 614 3 Gnotepad+ = 616 소스로 설치하기 = 616 Gnotepad+ 살펴보기 = 616 Gnotepad+로 간단한html 파일 만들기 = 617 4 디지털 시계 = 619 5 Gimp = 619 1단계 : gimp 다운로드 받기 = 620 2단계 : 압축 해제 및 컴파일 = 621 3단계 : gimp-data 설치하기 = 623 6 lmageMagick - 이미지 조작 마법사 = 627 7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gFTP = 630 gFTP 프로그램 설치하기 = 630 gFTP 프로그램 사용법 = 636 8 네트워크 패킷 분석 프로그램(ethereal) = 637 Ethereal 프로그램 설치하기 = 638 ethereal 프로그램 사용법 = 644 9 Ghostscript viewer = 648 Ghostscript viewer 설치하기 = 648 Ghostscript viewer 사용법 = 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