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64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713887 | |
005 | 20100807015640 | |
007 | ta | |
008 | 010820s2001 ulk 001a kor | |
020 | ▼a 8930038476 ▼g 94330 : ▼c \28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191976 ▼f 개가 ▼l 111191977 ▼f 개가 ▼l 111191978 ▼f 개가 |
082 | 0 4 | ▼a 301 ▼2 21 |
090 | ▼a 301 ▼b 2001c | |
100 | 1 | ▼a Turner, Jonathan H. ▼0 AUTH(211009)121438 |
245 | 1 0 | ▼a 현대 사회학이론 / ▼d 조나단 터너 저 ; ▼e 정태환...[등역]. |
246 | 1 9 | ▼a (The) structure of sociological theory |
260 | ▼a 서울 : ▼b 나남출판 , ▼c 2001. | |
300 | ▼a 767 p. : ▼b 삽도 ; ▼c 27 cm. | |
490 | 0 0 | ▼a 나남신서 ; ▼v 847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Sociology. |
700 | 1 | ▼a 정태환, ▼e 역 ▼0 AUTH(211009)72132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111919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111919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410174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4101745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511319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511319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7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5132720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04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111919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111919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410174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4101745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511319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511319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 2001c | Accession No. 15132720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04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간이 사는 사회는 어떻게 ‘질서’ 잡혀있는가? 인간들은 왜 항상 ‘갈등’하는가? 이 질문들은 사회현상을 연구하려는 학자들을 항상 따라 붙었다. 마르크스와 베버를 위시한 고전적 사회학자들로부터 현대의 사회학자들 까지 ‘질서’와 ‘갈등’의 문제를 놓고 싸워왔다.
그리하여, 100여 년 이상 사회학자들이 싸워서 얻은 전리품은 무엇인가? 그 전리품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한 권의 책이 최근 출간되었다.《현대 사회학이론》(나남출판)은 기능주의와 갈등론과 같은 전통적인 이론적 시각 뿐만 아니라 합리적 선택이론, 문화이론, 비판이론 등 비교적 최근에 주목받은 이론적 시각을 종합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사회학 이론 전반을 공부하려는 학생이나 시민들의 명실상부한 종합적인 안내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오랫동안 사회학의 이론적 전통을 탐색해 온 필자의 노력을 집대성한 것이다. 이미 1960년대부터 시작된 이 노력은 계속적인 개작을 거쳐 본서로 마지막으로 결실을 맺게되었다. 무엇보다도 다양한 접근에 대한 필자의 열려진 태도가 눈에 띈다. 비실증주의이론 혹은 반(反)과학 이론에 관해서도 지면을 할애한 데서 이전에 필자가 견지했던 태도와는 차별성을 보인다.
조나단 터너에 따르면 현대 사회학이론은 일곱 가지 패러다임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시각은 사회체계의 욕구와 요건을 중시하는 ‘기능주의’이다. 두 번째 시각은 생물학으로부터 사회분석의 아이디어를 얻은 ‘생물생태학’이다. 세 번째 패러다임은 지배와 피지배의 모순구조에 주목하는 ‘갈등론’이다. 네 번째는 자원의 교환을 중심으로 인간사회를 분석하는 '교환이론‘이다. 다섯 번째 시각은 개인들의 대면적 상호관계를 중시하는 ’상호작용론‘이다. 여석 번째 패러다임은 사회관계 배후의 구조를 분석하려는 ’구조론‘이며, 마지막 패러다임은 현대성(modernity)와 문화에 대한 ’비판론‘이다. 〈끝〉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조나단 터너(지은이)
미국의 대표적 사회학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캠퍼스(UCR) 사회학과 교수다. 1942년에 태어나 1968년에 코넬대학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고, 1969년부터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캠퍼스에서 사회학을 가르쳤다. 40권의 저서와 9권의 편저서, 200편이 넘는 학술논문을 출간했다. 영국 캠브리지대학, 독일 브레멘대학, 빌레펠트대학, 중국 산둥대학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사회학 이론, 감정사회학, 종족관계, 사회제도, 사회계층, 진화사회학 등이다. 최근 3부작인 《사회학의 이론적 원리》(Theoretical Principles of Sociology) 외에 사회학 이론에 관한 광범위한 책을 출간했다. 주요 저서로는 Revolt from the Middle: Emotional Stratification and Change in Post-Industrial Societies(2015),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Religion: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2018), The New Evolutionary Sociology: Recent and Revitalize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2018) 등이 있다.
정태환(옮긴이)
고려대 인문대 사회학과 교수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서문 = 7 저자서문 = 13 1. 사회학 이론 = 31 1. 과학적 이론의 본질 = 31 2. 사회학의 과학적 이론 비판 = 34 3. 일곱 가지 기본적인 이론적 지향 = 34 제1부 기능주이적 이론화 2. 기능주의적 이론화의 출현 = 39 1. 유기체적 유추 = 39 2. 허버트 스펜서의 분석적 기능주의 = 40 3. 기능주의와 에밀 뒤르켐 = 42 4. 기능주의와 인류학적 전통 = 44 5. 기능주의와 막스 베버의 유령 = 48 6. 기능주의의 출현 : 개관 = 49 3. 로버트 머턴의 경험적 접근 = 53 1. 중범위 이론 = 54 2. 기능적 분석을 위한 머턴의 패러다임 = 55 3. 기능적 분석을 실행하기 위한 원칙 = 57 4. 결론 = 59 4. 탈코트 파슨스의 분석적 접근 = 61 1. 사회적 행위의 구조 = 61 2. 사회체계 = 64 3. 기능적 필요론으로의 전환 = 68 4. 통제의 정보적 위계 = 70 5. 일반화된 교환매체 = 71 6. 파슨스의 사회변동론 = 72 7. 파슨스의 "인간조건"론 = 73 5. 제프리 알렉산더의 신기능주의 = 77 1. 알렉산더의 포스트실증주의 변호 = 77 2. 일반적 담화로서의 신기능주의 = 80 3. 신기능주의적 연구프로그램 : 두 가지 시례 = 88 4. 결론 = 92 6.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 기능주의 = 97 1. 루만의 일반체계접근 = 98 2. 루만의 사회진화론 = 104 3. 사회의 기능적 분화 = 109 제2부 진화론적 이론화 7. 진하론적 이론의 대두 = 119 1. 첫 번째 사회학적 생물 - 생태론자로서의 허버트 스펜서 = 120 2. 에밀 뒤르켐의 생물 : 생태학적 유추 = 122 3. 찰스 다윈과 자연선택 = 123 4. 결론 = 125 8. 생태학적 이론화와 생물학적 이론화 = 127 1. 도시 생태학 = 127 2. 유전학과 자연선택 = 130 3. 최초의 진정한 사회생물학자들 = 133 4. 결론 = 138 9. 생태학적 이론들 = 143 1. 아모스 홀리의 거시수준의 생태학적 이론 = 143 2. 도시 생태학 이론들 = 153 3. 조직 생태학 이론들 = 157 4. 결론 = 164 10. 신진화 이론들 = 169 1. 사회생물학적 이론화 = 170 2. 사회적 형태의 종간(cross-species) 비교 = 179 3. 진화의 단계이론들 = 183 4.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화로의 전환 = 192 5. 결론 = 199 제3부 갈등이론화 11. 갈등이론의 출현 = 207 1. 칼 맑스와 갈등이론 = 208 2. 막스 베버와 갈등이론 = 209 3. 게오르그 짐멜과 갈등이론 = 213 4. 갈등이론의 확산 = 215 12. 랄프 다렌도르프의 변증법적 이론 = 219 1. 다렌도르프의 기능주의 비판 = 219 2. 다렌도르프의 변증법적 가정들 = 220 3. 다렌도르프의 이론적 명제들 = 223 4. 결론 = 224 13. 루이스 코저의 갈등기능주의 = 227 1. 갈등의 원인 = 228 2. 갈등의 폭력성 = 229 3. 갈등의 지속 = 229 4. 사회갈등의 기능들 = 230 5. 결론 = 232 14. 조나단 터너의 종합적 갈등 이론 = 235 1. 갈등의 경과모델 = 235 2. 현시대에 등장하는 갈등이론 = 241 15. 신베버주의 이론들 : 랜달 콜린스의 분석적 접근 = 243 1. 사회 조직의 미시적 기초 = 243 2. 갈등 사회학 = 245 3. 결론 = 253 16. 역사 비교사회학에서의 갈등이론 = 255 1. 대중동원과 국가의 붕괴 = 256 2. 독재와 민주주의의 기원에 관한 배링턴 무어의 연구 = 257 3. 제프리 페이지의 농업혁명에 대한 이론 = 260 4. 찰스 틸리의 자원동원 이론 = 263 5. 테다 스카치폴의 국가와 사회혁명에 관한 분석 = 267 6. 잭 골드스톤의 국가붕괴 이론 = 270 7. 결론 = 273 17. 신맑스주의 이론 = 277 1. 맑스의 실질적 논의에 대한 개관 = 278 2. 신맑스주의 계급분석 = 279 3. 신맑스주의 세계체제분석 = 289 4. 결론 = 294 18. 젠더 불평등과 계층화 이론 = 299 1. 랜달 콜린스의 초기 젠더 계층화이론 = 300 2. 래 레서 블럼버그의 젠더 계층화 이론 = 302 3. 자넷 살츠만 샤펫츠의 젠더 평등이론 = 305 4. 결론 : 이론적 종합화의 노력 = 311 제4부 교환 이론화 19. 교환이론의 등장 = 319 1. 고전경제학에서의 교환이론 = 319 2. 인류학에서의 교환이론 = 321 3. 심리학적 행동주의와 교환이론 = 326 4. 사회학적 전통과 교환이론 = 329 5. 결론 : 현시대의 교환이론 = 332 20. 조지 호만스의 행동주의적 접근법 = 335 1. 기본적 접근법 = 335 2. 기본적 교환 원칙 = 337 3. 설명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 원칙을 사용하기 = 339 4. 행위에서 거시적 구조로 = 341 21. 피터 블라우스의 변증법적 접근법 = 345 1. 기본적 교환 원칙 = 345 2. 초기의 교환체계 = 347 3. 교환체계들과 거시구조 = 351 4. 사회조직에 관한 블라우의 이미지 = 356 5. 결론 = 356 22. 리처드 에머슨의 교환 네트워크 접근 = 359 1. 기본 전략 = 359 2. 기본적 교환과정 = 360 3. 기본적 교환 명제 = 361 4. 구조, 네트워크, 교환 = 361 5. 결론 = 366 23. 교환이론의 경제적 모델과 게임이론 모델의 소개 = 369 1. 시장의 합리적 행위자 = 370 2. 게임이론 = 373 3. 결론 = 380 24. 합리적 선택이론 = 383 1. 마이클 헥터의 집단 연대성 이론 = 384 2. 제임스 S. 콜먼의 집단 연대성 이론 = 393 3. 결론 = 398 25. 교환 네트워크의 이론화 = 399 1. 에머슨의 접근법의 핵심적인 사고들 = 399 2. 카렌S. 쿡의 이론적 프로그램 = 401 3. 에드워드 J. 롤러의 이론적 프로그램 = 409 4. 린다 D. 몰름의 이론적 프로그램 = 417 5. 결론 = 424 제5부 상호작용론의 이론화 26. 상호작용론과 현상학적 이론화의 등장 = 431 1. 상호작용에 대한 미국의 초기 통찰 = 431 2. 초기 유럽의 통찰력 = 440 3. 초기 상호작용론의 통찰력 이후 = 447 27.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성문화 = 451 1.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수렴지점 = 451 2. 상징적 상호작용에서의 불일치와 논쟁의 영역 = 454 3. 결론 = 462 28. 자아와 정체성 이론 = 469 1. 쉘던 스트라이커의 정체성 이론 = 470 2. 조직 맥콜과 시몬스의 정체성 이론 = 473 3. 결론 = 476 29. 역할이론 : 랄프 터너의 종합적 접근 = 479 1. 역할 - 형성 과정 = 480 2. 일관성의 민속 규범 = 481 3. 상호작용의 시험적 성격 = 481 4. 역할 확인의 과정 = 481 5. 자아 - 개념과 역할 = 482 6. 터너의 역할이론 구축의 전략 = 482 7. 결론 : 설명적 법칙의 산출 = 486 30. 어빙 고프만의 연극적 접근 = 489 1. 연극적 메타포 = 490 2. 자아 연출 = 491 3. 초점 상호작용 = 494 4. 비초점 상호작용 = 502 5. 틀과 경험의 조직 = 505 6. 결론 = 508 31. 민속방법론의 도전 = 513 1. 민속방법론의 기원 = 514 2. 민속방법론의 본질 = 516 3. 결론 = 524 32.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감정이론 = 529 1. 알리 호츠쉴드의 감정의 연극 이론 = 529 2.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감정이론 = 531 3. 감정의 지위와 권력이론 = 537 4. 감정의 네트워크 이론 = 546 5. 감정의 진화적 - 상호작용 이론 = 548 6. 감정의 정신분석적 - 상호작용이론 = 553 7. 결론 = 556 33. 기대상태이론 = 561 1. 핵심적 관념들 = 562 2. 핵심적 관념들의 적용 = 563 3. 결론 : 상태 - 조직과 과정 = 572 제6부 구조주의적 이론화 34. 구조주의 이론화의 등장 = 579 1. 칼 맑스 이론에서의 구조적 요소 = 579 2. 에밀 뒤르켐의 기능주의와 구조사회학의 등장 = 580 3. 게오르그 짐멜의 형식구조주의 = 584 4. 상호작용론과 미시구조주의 = 585 5. 다양한 구조분석과 구조주의 분석의 등장 = 586 35. 프랑스, 영국, 미국의 구조적 이론화의 변이 = 589 1. 레비 - 스트로스의 프랑스 구조주의 전통 = 589 2. 영국의 구조주의 전통 = 592 3. 사회심리학에서의 미국 구조주의 전통 = 594 4. 결론 = 599 36.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 = 603 1. '과학적' 사회이론에 대한 비판 = 603 2. 구조화 이론 = 604 3. 결론 = 614 37. 문화이론 = 617 1. 문화분석 : 로버트 우드노우 = 618 2. 구성주의적 구조주의 : 피에르 부르디외 = 624 3. 결론 = 632 38. 네트워크 분석 = 637 1. 네트워크 분석의 기본적인 이론적 개념 = 638 2. 유형과 연줄의 배치 = 640 3. 결론 = 645 39. 피터 블라우의 거시구조이론 = 649 1. 거시구조에 관한 블라우의 개념 = 649 2. 결론 = 660 제7부 비판이론화 40. 현대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의 등장 = 665 1. 맑스 사상의 비판적 특징 = 666 2. 베버의 비관주의 : 초기 비판이론가에 대한 기본적 딜레마 = 668 3. 맑스의 해방적 프로젝트에 대한 짐멜의 암묵적인 공격 = 669 4. 비판이론, 해방, 포스트모더니즘 = 670 41.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문화적 전환 = 673 1. 프랑크푸르트 학파 = 674 2. 비판이론의 헤겔적 전환 = 677 3. 결론 = 679 42. 위르겐 하버마스의 프랑크푸르트학파 프로젝트 = 683 1. 공적 영역에 대한 하버마스의 분석 = 684 2. 과학에 대한 비판 = 685 3. 사회의 정당성 위기 = 687 4. 담화와 상호작용에 대한 초기 분석 = 689 5. 하버마스의 사회진화에 대한 재개념화 = 691 6. 의사소통 행위이론 = 692 7. 비판이론의 목표 = 698 43. 사회학이론의 페미니스트 비판 : 젠더, 정치, 그리고 가부장제 = 701 1. 표현과 젠더의 구성 = 702 2. 페미니스트 비판과 사회학 이론의 재개념화 = 713 44. 포스트모더니즘 이론 = 729 1. 과학에 대한 포스트모던 비판 = 729 2. 경제적 포스트모더니즘 = 735 3. 문화적 포스트모더니즘 = 724 4. 결론 : 포스트모던 프로젝트의 평가 = 748 찾아보기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