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01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713018 | |
005 | 20100807014250 | |
007 | ta | |
008 | 010806s2001 ulka 001a kor | |
020 | ▼a 8930038425 ▼g 94340 : ▼c \2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88196 ▼f 개가 ▼l 111188197 ▼f 개가 ▼l 111188198 ▼f 개가 |
082 | 0 4 | ▼a 324.253 |
090 | ▼a 324.253 ▼b 2001a | |
100 | 1 | ▼a 김용호 ▼0 AUTH(211009)32324 |
245 | 1 0 | ▼a 한국 정당정치의 이해 = ▼x Understanding party politics in South Korea / ▼d 김용호. |
260 | ▼a 서울 : ▼b 나남출판 , ▼c 2001. | |
300 | ▼a 520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나남신서 ; ▼v 842 |
504 | ▼a 참고문헌(p. 499-510)과 색인수록 | |
900 | 1 | ▼a 金容浩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111881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111881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1130705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111881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4103014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5117727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111881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111881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1130705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111881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4103014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1a | Accession No. 15117727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한국만의 독특한 정당제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정치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 시도이다.
저자는 민주화 이후 우리나라 정당정치가 크게 변화하고 있으나 정치권이 이러한 변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정치적 파행이 거듭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과거 군사독재 시대에는 대통령 소속당이 국회 과반수 의석을 차지하는 단점정부(unified government)였으나, 민주화 이후에는 대통령 소속당이 국회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하는 분점정부(divided government), 즉 '여소야대'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분점정부라는 새로운 정치현상 이외에도 민주화 이후 우리나라 정당과 선거의 변화양상을 예리하게 분석하고 있다. 책의 1부에는 우리나라 정당정치의 기본원리, 우리나라 정당의 특징, 정당의 내부 동태, 정당개혁의 방향, 정당에 대한 국고보조금제도의 개선방향 등이 수록되어 있다. 2부에서는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변화,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개선방향, 국회의원의 사회적 배경 분석, 민주화 이후 대선과 총선의 특징 등을 다루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용호(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외교부 외교안보연구원(현 국립외교원)과 한림대를 거쳐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정년퇴임하였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St. Antony’s College 인촌 펠로우(1996-1997년), 한국정당학회(2004-2005년)와 한국정치학회(2006년) 회장, 중앙선거관리위원(장관급, 2014-2020년) 등을 지낸 후 현재 경희대 평화복지대학원 특임교수 등을 맡고 있다. 저서는 <2016 총선에서 배우다>(편저, 푸른길, 2016), <외교영토 넓히기: 대한민국 수교역사>(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6), <북한의 협상 스타일>(인하대 출판부, 2005), <한국정당정치의 이해>(나남, 2001), <비교정치서설>(공저, 법문사, 1990), <민주주의 이론서설: 미국 민주주의의 원리>(역서, 법문사, 1990)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정당 제1장 한국 정당정치의 기본 원리 : 제한적 정당다원주의 = 23 1. 정당다원주의의 도입 : 미군정 = 28 2. 정당다원주의의 한계 : 이승만과 장면 정권 = 35 3. 정당다원주의의 시련 : 박정희와 전두환 정권 = 49 4. 정당다원주의의 회복 : 노태우 정권 이후 = 77 5. 정당다원주의 정착을 위한 주요 과제 = 93 제2장 한국 정당의 주요 특징 : 4대 대통령소속당 비교 = 97 1. 창당과정과 소멸과정 = 99 2. 리더십 성격과 당내 파벌 구도 = 102 3. 당의 이념과 정책 = 106 4. 당의 조직과 당원 = 108 제3장 한국 정당의 내부 동태 : 공화당의 파벌정치 = 111 1. 박정희·김종필 계열의 공화당 사전조직 = 111 2. 공화당 창당 과정 = 128 3. 1963년 선거와 공화당의 집권 = 144 4. 공화당내 파벌정치와 당사무국의 쇠퇴 = 148 5. 1967년 선거와 3선개헌 = 156 6. 유신체제와 공화당의 쇠퇴 = 173 제4장 권위주의시기의 정당정치 : 공화당의 패권정당운동 = 189 1. 패권정당운동의 등장 배경 = 190 2. 패권정당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 198 3. 패권정당운동 비교 : 한국과 멕시코 = 203 4. 민주공화당에 대한 종합 평가 = 211 제5장 민주주의 전환기의 정당정치 = 213 1. 6·29선언의 배경과 특징 = 218 2. 개헌과정과 1987년 대선 = 225 3. 노태우 정부와 정당정치 = 234 4. 김영삼 정부의 등장과정 = 263 제6장 정당개혁의 방향 = 287 1. 민주화 이후 정당정치에 대한 평가와 전망 = 291 2. 바람직한 정당체제 수립을 위한 주요 과제 = 297 3. 정당개혁의 기본 방향 = 301 4. 정당개혁의 추진방안 = 309 제7장 정당에 대한 국고보조금제도 개선방안 = 313 1. 현행 국고보조금제도의 문제점 = 314 2. 현행 국고보조금제도의 개선과 대안 논의 = 324 3. 국고보조금제도의 종합적인 개선 방안 = 331 제2부 선거 제8장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변화 = 335 1. 대선제도의 역사적 변천과정 = 336 2. 대선제도 변화의 주요 특징 = 338 3.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주요 변화 양상 = 342 4. 국회의원 선거제도 변경과정과 결과 = 346 5. 민주적 선거제도 정착을 위한 과제 = 352 제9장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 357 1. 주요 정당의 이득과 손해 = 359 2. 선거구 획정의 불균형과 표의 비등가성 = 367 3. 한국과 외국 선거제도의 비례지수 비교 = 370 4. 종합적 평가 = 372 제10장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개선방향 = 377 1. 선거제도 개선의 기본 조건 = 379 2. 기존의 선거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검토 = 390 3. 선거제도 개선 추진방안 = 398 제11장 국회의원 충원제도와 사회적 배경의 변화 = 401 1. 국회의원 충원제도의 변화 = 403 2. 국회의원 공천제도와 행태의 변화 = 406 3. 충원제도 유형별 국회의원의 사회적 배경 분석 = 414 제12장 민주화이후 대선의 특징 : 1997년 대선을 중심으로 = 427 1. 1997년 대선제도와 과정분석 = 428 2. 1997년 대선에 나타난 유권자 투표행태 = 432 3. 1997년 대선 결과의 정치적 의미와 과제 = 446 4. 종합 평가 = 451 제13장 민주화이후 총선의 특징 : 2000년 총선을 중심으로 = 453 1. 정당 공천 행태의 변화와 지속성 = 454 2. 선거운동 행태의 변화와 지속성 = 458 3. 유권자 투표 행태의 변화와 지속성 = 464 4. 민주화이후 선거문화에 대한 평가 = 470 제14장 민주화이후 분점정부에 대한 평가 = 475 1. 민주화이후 분점정부의 보편화 현상 = 476 2. 분점·단점 정부하의 의회정치 비교 = 482 3. 효율적 분점정부 운영방안 모색 = 494 참고문헌 = 499 찾아보기 =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