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08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712751 | |
005 | 20100807013817 | |
007 | ta | |
008 | 010730s2001 ulka 001a kor | |
020 | ▼a 8976461347: ▼c \1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1.01 ▼a 181.412 |
090 | ▼a 301.01 ▼b 2001a | |
100 | 1 | ▼a 김재범 ▼g 金載範 , ▼d 1960- |
245 | 1 0 | ▼a 주역사회학 = ▼x I Ching and sociology / ▼d 김재범 지음. |
260 | ▼a 서울 : ▼b 예문서원 , ▼c 2001. | |
300 | ▼a 291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동양사회사상총서 ; ▼v 1 |
504 | ▼a 참고문헌(p. 282-287)과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01 2001a | 등록번호 1111890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A | 청구기호 301.01 2001a | 등록번호 1111890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01.01 2001a | 등록번호 1410179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01.01 2001a | 등록번호 1111890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01 2001a | 등록번호 1111890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A | 청구기호 301.01 2001a | 등록번호 1111890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01.01 2001a | 등록번호 1410179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01.01 2001a | 등록번호 1111890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주역의 세계 인식 원리를 기준으로 우리 사회의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사회학적 방법론의 가능성을 모색한 책. 지은이는 오늘날까지 주역의 사상이 다른 동양 전통 사상과 함께 오늘날 우리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전제한 후 주역을 우리 사회 분석의 '텍스트'로 설정한다.
그렇다면 주역은 우리 사회에 어떤 대안을 줄 수 있는가? 지은이는 먼저 주역이 보여 주는 인간관에서 그 대안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세계와 인간 존재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로 보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일원론적 세계관은 서구의 이원론적 세계관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관점을 제공한다는 것.
두번째로는 앎 자체보다는 앎의 목표와 자세, 그리고 실천성을 더욱 강조하는 동양 사상의 성격에서 찾을 수 있다. 지은이는 이를 통해 서양의 도구적 지식에 의한 인간 주체의 소외 문제를 극복해 나갈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길흉은 운명에 의해 좋게 또는 나쁘게 정해진 것이 아니고 인간 행위에 의해 나타난 결과"라는 주역의 입장은 인간 본성과 윤리 문제를 제외시킴으로서 나타나는 몰가치성과 가지 중립을 극복해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이 책은 설명한다.
이처럼 책은 주역을 통해 서구 사회학이 안고 있는 주요 쟁점과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동양사상을 토대로 한 사회학의 정체성을 새롭게 살피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재범(지은이)
1960년 경상북도 예천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경북대학교.계명대학교.대구대학교.영남대학교 강사를 하였다.1998년부터 2년간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 한국학 센터에서 객원 연구원을 지냈으며, 2001년 현재 캘리포니아 국제문화대학 교수로서 <논어>, <노자>, <장자> 등의 동양 고전과 '한국 사상'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알기 쉬운 사회학>이 있으며 '동서사상의 비교를 위한 인식 준거', '주역의 세계인식원리의 사회학 방법론적 함의', '돈점논쟁의 사회학 방법론적 함의', '기공.단학 신드롬,그 사상적 배경 및 사회 문화적 의미', '조선조 토지 소유론의 내용과 그 문제점', '신종교 창시자의 카리스마와 그 특징', '동학의 민중종교운동적 성격과 사회적 기능' 외에 다수의 논문이 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5 1. 사회학과『주역』이 만나는 자리 = 23 1. 현실이란 무엇인가? = 23 2. 현대 사회의 위기와 인문사회과학의 위기 = 29 3. 학문의 위기와 정체성 = 37 4. 『주역』의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 = 44 (1) 『주역』연구의 동향과 관점 = 45 (2) 『주역』의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 = 54 2. 동양 사상과 서양 사상의 비교 기준 = 63 1. 동서 사상의 비교 기준의 필요성과 인식의 3차원 = 63 2. 도-존재적 인식 = 72 3. 시물-현존재적 인식 = 82 4. 음양상-표상적 인식 = 93 5. 인식의 3차원의 관계 = 97 3. 『주역』의 세계 인식 원리 = 107 1. 『주역』의 성립과 괘의 구조 = 107 (1) 『주역』의 성립과 구성 = 109 (2) 괘의 구조 및 내용 = 112 2. 『주역』의 자연관 = 123 3. 『주역』의 인간관 = 128 (1) 삼재의 하나인 인간 = 128 (2) 성찰적 지식인으로서의 군자와 군자의 도로서의 시중 = 132 4. 점 : 학의 방법 및 태도로서의 점의 재해석 = 136 5. 대대 : 상관성과 동시성의 인식 원리 = 144 6. 유행 : 생성적 순환론의 변역 원리 = 151 4. 사회학 방법론의 주요 쟁점과『주역』의 인식 원리 = 157 1. 존재론적 쟁점 = 159 (1) 전통적 사회학의 인간관 = 160 (2) 인간 본성의 재조명 = 165 (3) 사회실재론과 사회유명론 = 170 (4) 존재론적 쟁점에 대한 평가와 과제 = 176 (5)『주역』의 존재론 = 182 2. 인식론적 쟁점 = 196 (1) 실증주의적 인식론 = 198 (2) 해석적 방법의 인식론 = 202 (3) 마르크스주의자의 사회학과 비판 이론 = 205 (4) 인식론적 쟁점에 대한 평가와 과제 = 208 (5)『주역』의 인식론적 함의 = 213 3. 가치론적 쟁점 = 241 (1) 사실과 가치, 이론과 실천, 사회학의 목표와 유용성 = 241 (2) 가치론적 쟁점에 대한 평가와 과제 = 247 (3)『주역』의 가치론적 함의 = 250 5, 사회학의 새 지평 = 267 1. 사회학적 인식 지평의 확대를 바라며 = 267 2. 존재론·인식론·가치론의 결합 = 272 3. 맺음말 = 278 참고 문헌 = 282 찾아보기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