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제정치경제론 : 이론과 실제 제2전정판

국제정치경제론 : 이론과 실제 제2전정판 (14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경서
서명 / 저자사항
국제정치경제론 : 이론과 실제 / 박경서
판사항
제2전정판
발행사항
서울 :   法文社,   2001   (2011)  
형태사항
xxiv, 566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정치학총서
ISBN
891803136X 9788918031750
서지주기
참고문헌과(p. 535-553)과 색인수록
000 00790namcc2200265 c 4500
001 000000711800
005 20110406093035
007 ta
008 010710s2001 ulka b 001c kor
020 ▼a 891803136X ▼g 93340
020 ▼a 9788918031750 ▼g 9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87486 ▼f 개가 ▼l 111187487 ▼f 개가 ▼l 111187488 ▼f 개가
082 0 4 ▼a 327 ▼2 22
085 ▼a 327 ▼2 DDCK
090 ▼a 327 ▼b 2001b
100 1 ▼a 박경서
245 1 0 ▼a 국제정치경제론 : ▼b 이론과 실제 / ▼d 박경서
250 ▼a 제2전정판
260 ▼a 서울 : ▼b 法文社, ▼c 2001 ▼g (2011)
300 ▼a xxiv, 566 p. : ▼b 삽화 ; ▼c 24 cm
490 1 0 ▼a 정치학총서
504 ▼a 참고문헌과(p. 535-553)과 색인수록
830 0 ▼a 정치학총서 (法文社)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7 2001b 등록번호 1111874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7 2001b 등록번호 1111874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7 2001b 등록번호 1111874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7 2001b 등록번호 1116183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7 2001b 등록번호 1116183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경서(지은이)

<국제정치경제론>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국제정치경제의 이론

 제1장 국제정치경제란 무엇인가? = 3

  제1절 국제정치경제의 학문적 배경 = 4

   Ⅰ. 정치학과 경제학의 분리 = 4

   Ⅱ. 정치학과 경제학의 재통합 = 8

   Ⅲ. 글로벌 경제의 본격적 등장 = 12

    이론적 사고문제 : 글로벌 시대의 과제들 = 14

    용어와 개념 : 지구화란? = 16

  제2절 국제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성격 = 17

   Ⅰ. 국제정치경제학의 정의 = 17

   Ⅱ. 국제정치경제학의 연구영역 = 20

   Ⅲ. 국제정치경제학의 연구대상 = 27

    이론적 사고문제 : 동아시아성장은 계속된다 = 28

  제3절 국제관계학과 국제정치경제학의 상관관계 = 30

   Ⅰ. 국가중심 패러다임의 한계성 = 30

   Ⅱ. 횡국가적 패러다임으로의 발전 = 32

   Ⅲ. 국제관계이론과 국제정치경제이론 = 35

  요점정리 = 41

  토론거리 = 42

 제2장 국제정치경제의 3대 시각 = 43

  제1절 자유주의 시각과 급진주의 시각 = 44

   Ⅰ. 자유주의 시각 = 44

   Ⅱ. 급진주의 시각 = 46

   Ⅲ. 자유주의 시각과 급진주의 시각의 비교 = 47

    이론적 사고문제 : 자유주의 경제철학과 사회주의 경제철학 = 50

    용어와 개념 : 마르크스와 신마르크스주의 = 52

  제2절 중상주의 시각의 재대두 = 52

   Ⅰ. 중상주의 시각의 주요 논점 = 52

   Ⅱ. 중상주의, 자유주의, 급진주의의 상호비교 = 56

    이론적 사고문제 : 자유방임 경제정책의 한계 = 57

  제3절 절충학파의 신중상주의적 시각 = 59

   Ⅰ. 절대적 득과 상대적 득 = 59

   Ⅱ. 신중상주의적 시각 = 61

   Ⅲ. 정치와 경제의 역동적 상호작용 = 64

    용어와 개념 : 중상주의와 신중상주의 = 65

  제4절 신자유주의의 제도주의적 시각 = 66

   Ⅰ. 합리적 선택분석 = 66

   Ⅱ. 패권적 안정이론 = 69

   Ⅲ. 국제레짐분석 = 72

    이론적 사고문제 : 패권의 세 얼굴 = 74

    용어와 개념 :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 = 77

  요점정리 = 78

  토론거리 = 79

 제3장 자유주의의 상호의존 모델 = 80

  제1절 상호의존학파의 등장 = 81

  제2절 상호의존의 개념정의 = 84

   Ⅰ. 민감성과 취약성 = 84

   Ⅱ. 대칭성과 비대칭성 = 86

  제3절 상호의존모델의 내용 = 87

   Ⅰ. 주권궁지(제약)의 이론 = 87

   Ⅱ. 시혜적 기업질서 = 90

   Ⅲ. 상호의존의 평화유인기능 = 91

  제4절 상호의존모델에 대한 비판 = 92

   Ⅰ. 상호의존성에 대한 이견 = 93

   Ⅱ. 상호의존과 갈등 = 94

   Ⅲ. 다국적기업 대 민족국가 = 96

   Ⅳ. 자유주의 모델의 수정 = 99

    이론적 사고문제 : 시장경제는 자연스럽고 공기와 같다. 그러나 철학이 없다 = 103

  요점정리 = 104

  토론거리 = 105

 제4장 급진주의의 종속모델 = 106

  제1절 종속학파의 대두 = 107

   Ⅰ. 국제정치학자에 의한 종속이론 연구 = 108

   Ⅱ. 정치경제학자에 의한 종속이론 연구 = 109

   Ⅲ. 비마르크스주의 및 마르크스주의적 종속학파 = 111

  제 2절 종속의 개념정의 = 113

   Ⅰ. 신마르크스주의적 및 경제민족주의적 정의 = 113

   Ⅱ. 종속유형의 분류 및 측정 = 116

  제3절 종속모델의 내용 = 123

   Ⅰ. 수탈적 기업질서 = 123

   Ⅱ. 중심(수도권)-주변(위성권) 관계 = 125

   Ⅲ. 고전종속이론과 종속적 발전론 = 127

  제4절 종속의 정치·외교적 영향 = 130

   Ⅰ. 종속의 정치적 영향 = 130

   Ⅱ. 종속과 외교정책행태 = 131

  제5절 종속모델에 대한 비판 = 133

   Ⅰ. 종속관계 발생의 구조적 원인 = 133

   Ⅱ. 종속과 저발전 = 135

   Ⅲ. 종속과 경제수탈 = 138

    이론적 사고문제 : 멕시코 경제의 마키라도라화의 문제 = 139

  요점정리 = 141

  토론거리 = 142

 제5장 현실주의의 (신)중상주의 모델 = 143

  제1절 신중상주의 대두 = 144

  제2절 중상주의의 개념정의 = 146

   Ⅰ. 고전중상주의 = 146

   Ⅱ. 신중상주의 = 147

  제3절 신중상주의 모델의 내용 = 148

   Ⅰ. 대외경제행위의 주체 = 148

   Ⅱ. 자급자족적 경제정책 = 149

   Ⅲ. 양성중상주의와 악성중상주의 = 151

  제4절 신중상주의 모델에 대한 비판 = 153

   Ⅰ. 신중상주의의 영의화 게임적 정향 = 154

   Ⅱ. 세계경제의 지역블럭화 문제 = 154

   Ⅲ. 현 국제질서의 중상주의적 경향 = 155

     이론적 사고문제 : 산업첩보활동 = 158

  요점정리 = 160

  토론거리 = 161

 제6장 새로운 절충적 모델 = 162

  제1절 합리적 선택의 두 모델 = 163

   Ⅰ. 동맹의 경제적 모델 = 163

   Ⅱ. 동맹의 경제적 모델에 대한 평가 = 168

   Ⅲ. 공공선택모델 = 169

   Ⅳ. 공공선택모델에 대한 평가 = 175

    이론적 사고문제 : 합리적 선택의 문제점 = 177

  제2절 패권이론의 두 모델 = 179

   Ⅰ. 패권적 안정모델 = 180

   Ⅱ. 패권적 안정모델에 대한 평가 = 186

   Ⅲ.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패권모델 = 187

   Ⅳ.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패권모델에 대한 평가 = 195

  제3절 국제레짐의 귀납적 모델 = 196

   Ⅰ. 귀납적 모델의 주요개념 및 방법론 = 197

   Ⅱ. 귀납적 분석모델의 주요내용 = 200

   Ⅲ. 귀납적 분석모델에 대한 평가 = 203

  요점정리 = 204

  토론거리 = 205

제2부 국제정치경제의 실제

 제7장 국제무역의 정치경제 = 209

  제1절 자유무역체제의 확립 =210

   Ⅰ. 자유무역에 대한 신념 = 210

   Ⅱ. 국제무역기구의 유산 = 211

   Ⅲ. 가트체제(GATT System)의 탄생 = 213

   Ⅳ. 다자간무역협상의 결실 = 214

  제2절 선진공업국간의 무역정책 = 216

   Ⅰ. 보호무역정책의 재대두 = 216

   Ⅱ. 유럽경제공동체의 보호무역정책 = 218

   Ⅲ. 일본의 보호무역정책 = 221

   Ⅳ. 미국의 보호무역정책 = 223

   Ⅴ.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세력과 반보호무역주의세력 = 226

    사례연구 : 미국의 불공정 무역법은 "불공정" = 231

  제3절 남북무역관계의 갈등 = 233

   Ⅰ. 가트무역체제에 대한 불만 = 234

   Ⅱ. 유엔무역개발회의의 창설 = 237

   Ⅲ. 무역질서개혁에 대한 구조주의적 접근방법 = 239

   Ⅳ. 신국제무역질서의 요체 = 242

   Ⅴ. 남-북무역관계의 전망 = 246

  제4절 동-서무역의 이질성 = 251

   Ⅰ. 코메콘 경제권의 형성 = 252

   Ⅱ. 동-서무역관계의 확대 = 254

   Ⅲ. 동-서무역관계의 현황 = 258

   Ⅳ. 동-서무역관계의 제약요인 = 260

   Ⅴ. 사회주의 경제권의 변혁 = 265

  제5절 세계무역기구의 탄생과 무역질서 = 274

   Ⅰ. 도쿄 라운드 이후의 국제무역질서 = 274

   Ⅱ. 우루과이 라운드의 과제  = 277

   Ⅲ.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 = 282

   Ⅳ. 세계무역기구에 대한 도전 = 284

   Ⅴ. 뉴라운드의 과제와 전망 = 287

    이론적 사고문제 : 지역무역블록 = 290

    주요통상용어 = 293

  요점정리 = 294

  토론거리 = 297

 제8장 국제통화체제의 정치경제 = 298

  제1절 국제수지조정의 정치적 의의 = 299

   Ⅰ. 국제수지의 대내적 조정방법과 정치적 영향 = 300

   Ⅱ. 국제수지의 대외적 조정방법과 정치적 영향 = 301

   Ⅲ. 유동성의 활용 = 302

  제2절 국제기축통화국의 정치·경제적 이해 = 304

   Ⅰ. 기축통화국의 특권 = 304

   Ⅱ. 기축통화국의 부담 = 306

  제3절 전후 국제통화체제와 미국의 역할 = 307

   Ⅰ. 브레튼 우즈 국제통화질서의 구상 = 307

   Ⅱ. 달러화의 역할증대 = 311

   Ⅲ. 달러화본위 국제통화체제의 문제점 = 313

   Ⅳ. 브레튼 우즈 통화체제의 붕괴 = 318

    이론적 사고문제 : 브레튼 우즈 통화체제에 대한 시각 = 323

  제4절 브레튼 우즈체제 이후의 국제통화체제 = 324

   Ⅰ. 초과유동성의 문제 = 326

   Ⅱ. 특별인출권의 역할증대 문제 = 327

   Ⅲ. 다자간 운영체제의 발전과정 = 329

   Ⅳ. 1990년대 국제통화체제의 과제 = 335

   Ⅴ. 유로(EURO)화의 출범과 국제통화체제 = 336

   Ⅵ. 일본 엔(yen)화의 국제화 추진 = 337

  제5절 저개발국과 국제통화체제 = 340

   Ⅰ. 선진국 국제수지정책의 영향 = 340

   Ⅱ. 국제통화기금과 개발도상국 = 341

   Ⅲ. 국제통화기금에 대한 비판 = 346

  제6절 저개발국가의 외채문제 = 347

   Ⅰ. 외채문제의 실상 = 347

   Ⅱ. 외채문제의 악화 = 350

   Ⅲ. 외채위기와 관리전략 = 354

    사례연구 : 반 경제적 체제가 빈곤 부른다 = 361

  제7절 동아시아 금융위기의 정치경제 = 363

   Ⅰ. 동아시아 경제위기의 원인 = 364

   Ⅱ. 동아시아 금융위기의 발전 = 365

    사례연구: 동아시아 경제위기의 책임 = 367

   Ⅲ.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과 위기극복 정책 = 368

    사례연구 : IMF 개혁의 방향 = 370

    이론적 사고문제 : 국제금융구조에 대한 세 가지 시각 = 372

    용어와 개념 : 고정환율, 변동환율, 관리환율 등 = 373

  요점정리 = 374

  토론거리 = 377

 제9장 다국적기업과 국제정치경제 = 378

  제1절 해외직접투자와 다국적기업 = 379

   Ⅰ. 해외투자의 추세변화 = 379

   Ⅱ. 다국적기업의 정의 = 382

   Ⅲ. 다국적기업의 해외투자동기 = 385

  제2절 투자수용국에 대한 다국적기업의 영향 = 388

   Ⅰ. 해외직접투자의 부정적 영향 = 388

   Ⅱ. 해외직접투자의 긍정적 영향 = 394

  제3절 투자국(모국)에 대한 다국적기업의 영향 = 398

   Ⅰ. 투자국에 대한 부정적 영향 = 399

   Ⅱ. 투자국에 대한 긍정적 영향 = 402

  제4절 다국적기업과 국제정치체제 = 404

   Ⅰ. 다국적기업과 국가간 갈등 = 404

   Ⅱ. 다국적기업과 국가간 협조 = 409

   Ⅲ. 다국적기업과 국제정치체제의 변화 = 410

  제5절 저개발국가와 다국적기업 = 413

   Ⅰ. 경제적 갈등 = 413

   Ⅱ. 정치적 갈등 = 416

   Ⅲ. 저개발국가의 협상능력 향상 = 418

  제6절 다국적기업의 규제정책 = 420

   Ⅰ. 국가별 규제정책 = 420

   Ⅱ. 지역별 규제정책 = 424

   Ⅲ. 국제적 규제정책 = 425

 제7절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새로운 평가 = 427

   Ⅰ. 투자수용국의 태도변화 = 427

   Ⅱ. 투자국과 국제기구의 태도 = 429

    사례연구 : 베츠자동차 공장의 유치 경쟁 = 431

    용어와 개념 : 해외직업투자, 과실송금, 외국투자의 국유화 = 433

  요점정리 = 434

  토론거리 = 436

 제10장 석유자원의 국제정치경제 = 437

  제1절 석유수출국기구의 형성 = 438

   Ⅰ. 국제석유시장의 종속현상 = 438

   Ⅱ. 국제석유시장의 변화 = 440

    이론적 사고문제 : 석유자원에 대한 세 가지 시각 = 444

  제2절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활동 = 445

   Ⅰ. 리비아의 신석유개발정책 = 445

   Ⅱ. 제1차 석유파동 = 447

   Ⅲ. 제2차 석유파동 = 451

  제3절 석유자원의 무기화 = 455

   Ⅰ. 신국제경제질서의 확립요구 = 457

   Ⅱ. 석유자원과 서방국가들의 중동정책 = 459

  제4절 신국제경제질서의 의의 = 460

   Ⅰ. 신국제경제질서의 내용 = 461

   Ⅱ. 신국제경제질서를 위한 새로운 규범 = 462

   Ⅲ. 국제경제기구의 개혁 = 463

   Ⅳ. 신국제경제질서에 대한 선진공업국의 태도 = 464

  제5절 자원카르텔의 전망 = 466

   Ⅰ. 석유의 자원무기화가 가능했던 상황 = 467

   Ⅱ. 제3세계 자원의 생산카르텔 가능성 = 468

   Ⅲ. 자원생산카르텔의 실패 = 470

  제6절 석유수출국기구의 역할별화 = 472

   Ⅰ. 석유시장의 수급불균형 = 472

   Ⅱ. 제3차 석유위기의 발생 = 475

    사례연구 : 석유파동 10년주기설 = 477

   Ⅲ. 석유수출국기구의 재단합과 역할의 증대 = 478

    용어와 개념 : 석유수출기구(OPEC)와 중동석유수출국기구(OAPEC), 국제에너지기구(IEA)등 = 481

  요점정리 = 482

  토론거리 = 484

 제11장 기술이전의 국제정치경제 = 485

  제1절 남-북간 기술이전 문제 = 486

   Ⅰ. 기술이전의 세 가지 범주 = 487

   Ⅱ. 남-북 기술격차의 실상 = 488

   Ⅲ. 남-북 기술종속의 문제 = 489

   Ⅳ. 기술차이의 극복정책 = 492

   Ⅴ. 지구환경문제와 기술이전 = 494

  제2절 선진공업국과 기술이전문제 = 496

   Ⅰ. 기술소유권에 대한 태도 = 496

   Ⅱ. 기술이전과 다국적기업의 입장 = 497

   Ⅲ. 신중상주의적 기술정책 = 498

    이론적 사고문제 : 지적재산권에 대한 세 가지 시각 = 501

  제3절 정보기술혁명과 국제정치경제 = 503

   Ⅰ. 제3의 테크놀로지 혁명 = 503

   Ⅱ. 정보기술의 혁명과 국제정치경제질서 = 505

    사례연구 : 세계는 지금 'IT 대전' 등 = 506

  요점정리 = 509

  토론거리 = 510

 제12장 최근 국제정치경제의 특징 = 512

  제1절 1990년대 국제정치경제의 변화 = 513

   Ⅰ. 국제정치경제의 본질적 변화 = 513

   Ⅱ. 국제정치경제의 구조적 변화 = 515

  제2절 1990년대 국제정치경제의 문제와 처방 = 517

   Ⅰ. 자유주의시각의 문제의식과 정책처방 = 517

   Ⅱ. 급진주의시각의 문제의식과 정책처방 = 520

   Ⅲ. 중상주의시각의 문제의식과 정책처방 = 523

  제3절 21세기 세계경제질서의 특징 = 526

   Ⅰ. 글로벌화의 정치경제적 의미 = 526

   Ⅱ. 글로벌화의 정치경제적 영향  = 527

    사례연구 : '세계경제주의' 기반 튼튼한가 = 528

   Ⅲ. 2010년의 세계정치경제 = 530

  요점정리 = 531

  토론거리 = 533

참고문헌 주석(Ⅰ) = 535

최신참고문헌 주석(Ⅱ) = 547

사항색인 = 555

인명색인 = 565



관련분야 신착자료

McCormick, John (2023)
葛劍雄 (2022)
한국. 외교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22)
기광서 (2022)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