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국제정치경제의 이론
제1장 국제정치경제란 무엇인가? = 3
제1절 국제정치경제의 학문적 배경 = 4
Ⅰ. 정치학과 경제학의 분리 = 4
Ⅱ. 정치학과 경제학의 재통합 = 8
Ⅲ. 글로벌 경제의 본격적 등장 = 12
이론적 사고문제 : 글로벌 시대의 과제들 = 14
용어와 개념 : 지구화란? = 16
제2절 국제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성격 = 17
Ⅰ. 국제정치경제학의 정의 = 17
Ⅱ. 국제정치경제학의 연구영역 = 20
Ⅲ. 국제정치경제학의 연구대상 = 27
이론적 사고문제 : 동아시아성장은 계속된다 = 28
제3절 국제관계학과 국제정치경제학의 상관관계 = 30
Ⅰ. 국가중심 패러다임의 한계성 = 30
Ⅱ. 횡국가적 패러다임으로의 발전 = 32
Ⅲ. 국제관계이론과 국제정치경제이론 = 35
요점정리 = 41
토론거리 = 42
제2장 국제정치경제의 3대 시각 = 43
제1절 자유주의 시각과 급진주의 시각 = 44
Ⅰ. 자유주의 시각 = 44
Ⅱ. 급진주의 시각 = 46
Ⅲ. 자유주의 시각과 급진주의 시각의 비교 = 47
이론적 사고문제 : 자유주의 경제철학과 사회주의 경제철학 = 50
용어와 개념 : 마르크스와 신마르크스주의 = 52
제2절 중상주의 시각의 재대두 = 52
Ⅰ. 중상주의 시각의 주요 논점 = 52
Ⅱ. 중상주의, 자유주의, 급진주의의 상호비교 = 56
이론적 사고문제 : 자유방임 경제정책의 한계 = 57
제3절 절충학파의 신중상주의적 시각 = 59
Ⅰ. 절대적 득과 상대적 득 = 59
Ⅱ. 신중상주의적 시각 = 61
Ⅲ. 정치와 경제의 역동적 상호작용 = 64
용어와 개념 : 중상주의와 신중상주의 = 65
제4절 신자유주의의 제도주의적 시각 = 66
Ⅰ. 합리적 선택분석 = 66
Ⅱ. 패권적 안정이론 = 69
Ⅲ. 국제레짐분석 = 72
이론적 사고문제 : 패권의 세 얼굴 = 74
용어와 개념 :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 = 77
요점정리 = 78
토론거리 = 79
제3장 자유주의의 상호의존 모델 = 80
제1절 상호의존학파의 등장 = 81
제2절 상호의존의 개념정의 = 84
Ⅰ. 민감성과 취약성 = 84
Ⅱ. 대칭성과 비대칭성 = 86
제3절 상호의존모델의 내용 = 87
Ⅰ. 주권궁지(제약)의 이론 = 87
Ⅱ. 시혜적 기업질서 = 90
Ⅲ. 상호의존의 평화유인기능 = 91
제4절 상호의존모델에 대한 비판 = 92
Ⅰ. 상호의존성에 대한 이견 = 93
Ⅱ. 상호의존과 갈등 = 94
Ⅲ. 다국적기업 대 민족국가 = 96
Ⅳ. 자유주의 모델의 수정 = 99
이론적 사고문제 : 시장경제는 자연스럽고 공기와 같다. 그러나 철학이 없다 = 103
요점정리 = 104
토론거리 = 105
제4장 급진주의의 종속모델 = 106
제1절 종속학파의 대두 = 107
Ⅰ. 국제정치학자에 의한 종속이론 연구 = 108
Ⅱ. 정치경제학자에 의한 종속이론 연구 = 109
Ⅲ. 비마르크스주의 및 마르크스주의적 종속학파 = 111
제 2절 종속의 개념정의 = 113
Ⅰ. 신마르크스주의적 및 경제민족주의적 정의 = 113
Ⅱ. 종속유형의 분류 및 측정 = 116
제3절 종속모델의 내용 = 123
Ⅰ. 수탈적 기업질서 = 123
Ⅱ. 중심(수도권)-주변(위성권) 관계 = 125
Ⅲ. 고전종속이론과 종속적 발전론 = 127
제4절 종속의 정치·외교적 영향 = 130
Ⅰ. 종속의 정치적 영향 = 130
Ⅱ. 종속과 외교정책행태 = 131
제5절 종속모델에 대한 비판 = 133
Ⅰ. 종속관계 발생의 구조적 원인 = 133
Ⅱ. 종속과 저발전 = 135
Ⅲ. 종속과 경제수탈 = 138
이론적 사고문제 : 멕시코 경제의 마키라도라화의 문제 = 139
요점정리 = 141
토론거리 = 142
제5장 현실주의의 (신)중상주의 모델 = 143
제1절 신중상주의 대두 = 144
제2절 중상주의의 개념정의 = 146
Ⅰ. 고전중상주의 = 146
Ⅱ. 신중상주의 = 147
제3절 신중상주의 모델의 내용 = 148
Ⅰ. 대외경제행위의 주체 = 148
Ⅱ. 자급자족적 경제정책 = 149
Ⅲ. 양성중상주의와 악성중상주의 = 151
제4절 신중상주의 모델에 대한 비판 = 153
Ⅰ. 신중상주의의 영의화 게임적 정향 = 154
Ⅱ. 세계경제의 지역블럭화 문제 = 154
Ⅲ. 현 국제질서의 중상주의적 경향 = 155
이론적 사고문제 : 산업첩보활동 = 158
요점정리 = 160
토론거리 = 161
제6장 새로운 절충적 모델 = 162
제1절 합리적 선택의 두 모델 = 163
Ⅰ. 동맹의 경제적 모델 = 163
Ⅱ. 동맹의 경제적 모델에 대한 평가 = 168
Ⅲ. 공공선택모델 = 169
Ⅳ. 공공선택모델에 대한 평가 = 175
이론적 사고문제 : 합리적 선택의 문제점 = 177
제2절 패권이론의 두 모델 = 179
Ⅰ. 패권적 안정모델 = 180
Ⅱ. 패권적 안정모델에 대한 평가 = 186
Ⅲ.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패권모델 = 187
Ⅳ.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패권모델에 대한 평가 = 195
제3절 국제레짐의 귀납적 모델 = 196
Ⅰ. 귀납적 모델의 주요개념 및 방법론 = 197
Ⅱ. 귀납적 분석모델의 주요내용 = 200
Ⅲ. 귀납적 분석모델에 대한 평가 = 203
요점정리 = 204
토론거리 = 205
제2부 국제정치경제의 실제
제7장 국제무역의 정치경제 = 209
제1절 자유무역체제의 확립 =210
Ⅰ. 자유무역에 대한 신념 = 210
Ⅱ. 국제무역기구의 유산 = 211
Ⅲ. 가트체제(GATT System)의 탄생 = 213
Ⅳ. 다자간무역협상의 결실 = 214
제2절 선진공업국간의 무역정책 = 216
Ⅰ. 보호무역정책의 재대두 = 216
Ⅱ. 유럽경제공동체의 보호무역정책 = 218
Ⅲ. 일본의 보호무역정책 = 221
Ⅳ. 미국의 보호무역정책 = 223
Ⅴ.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세력과 반보호무역주의세력 = 226
사례연구 : 미국의 불공정 무역법은 "불공정" = 231
제3절 남북무역관계의 갈등 = 233
Ⅰ. 가트무역체제에 대한 불만 = 234
Ⅱ. 유엔무역개발회의의 창설 = 237
Ⅲ. 무역질서개혁에 대한 구조주의적 접근방법 = 239
Ⅳ. 신국제무역질서의 요체 = 242
Ⅴ. 남-북무역관계의 전망 = 246
제4절 동-서무역의 이질성 = 251
Ⅰ. 코메콘 경제권의 형성 = 252
Ⅱ. 동-서무역관계의 확대 = 254
Ⅲ. 동-서무역관계의 현황 = 258
Ⅳ. 동-서무역관계의 제약요인 = 260
Ⅴ. 사회주의 경제권의 변혁 = 265
제5절 세계무역기구의 탄생과 무역질서 = 274
Ⅰ. 도쿄 라운드 이후의 국제무역질서 = 274
Ⅱ. 우루과이 라운드의 과제 = 277
Ⅲ.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 = 282
Ⅳ. 세계무역기구에 대한 도전 = 284
Ⅴ. 뉴라운드의 과제와 전망 = 287
이론적 사고문제 : 지역무역블록 = 290
주요통상용어 = 293
요점정리 = 294
토론거리 = 297
제8장 국제통화체제의 정치경제 = 298
제1절 국제수지조정의 정치적 의의 = 299
Ⅰ. 국제수지의 대내적 조정방법과 정치적 영향 = 300
Ⅱ. 국제수지의 대외적 조정방법과 정치적 영향 = 301
Ⅲ. 유동성의 활용 = 302
제2절 국제기축통화국의 정치·경제적 이해 = 304
Ⅰ. 기축통화국의 특권 = 304
Ⅱ. 기축통화국의 부담 = 306
제3절 전후 국제통화체제와 미국의 역할 = 307
Ⅰ. 브레튼 우즈 국제통화질서의 구상 = 307
Ⅱ. 달러화의 역할증대 = 311
Ⅲ. 달러화본위 국제통화체제의 문제점 = 313
Ⅳ. 브레튼 우즈 통화체제의 붕괴 = 318
이론적 사고문제 : 브레튼 우즈 통화체제에 대한 시각 = 323
제4절 브레튼 우즈체제 이후의 국제통화체제 = 324
Ⅰ. 초과유동성의 문제 = 326
Ⅱ. 특별인출권의 역할증대 문제 = 327
Ⅲ. 다자간 운영체제의 발전과정 = 329
Ⅳ. 1990년대 국제통화체제의 과제 = 335
Ⅴ. 유로(EURO)화의 출범과 국제통화체제 = 336
Ⅵ. 일본 엔(yen)화의 국제화 추진 = 337
제5절 저개발국과 국제통화체제 = 340
Ⅰ. 선진국 국제수지정책의 영향 = 340
Ⅱ. 국제통화기금과 개발도상국 = 341
Ⅲ. 국제통화기금에 대한 비판 = 346
제6절 저개발국가의 외채문제 = 347
Ⅰ. 외채문제의 실상 = 347
Ⅱ. 외채문제의 악화 = 350
Ⅲ. 외채위기와 관리전략 = 354
사례연구 : 반 경제적 체제가 빈곤 부른다 = 361
제7절 동아시아 금융위기의 정치경제 = 363
Ⅰ. 동아시아 경제위기의 원인 = 364
Ⅱ. 동아시아 금융위기의 발전 = 365
사례연구: 동아시아 경제위기의 책임 = 367
Ⅲ.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과 위기극복 정책 = 368
사례연구 : IMF 개혁의 방향 = 370
이론적 사고문제 : 국제금융구조에 대한 세 가지 시각 = 372
용어와 개념 : 고정환율, 변동환율, 관리환율 등 = 373
요점정리 = 374
토론거리 = 377
제9장 다국적기업과 국제정치경제 = 378
제1절 해외직접투자와 다국적기업 = 379
Ⅰ. 해외투자의 추세변화 = 379
Ⅱ. 다국적기업의 정의 = 382
Ⅲ. 다국적기업의 해외투자동기 = 385
제2절 투자수용국에 대한 다국적기업의 영향 = 388
Ⅰ. 해외직접투자의 부정적 영향 = 388
Ⅱ. 해외직접투자의 긍정적 영향 = 394
제3절 투자국(모국)에 대한 다국적기업의 영향 = 398
Ⅰ. 투자국에 대한 부정적 영향 = 399
Ⅱ. 투자국에 대한 긍정적 영향 = 402
제4절 다국적기업과 국제정치체제 = 404
Ⅰ. 다국적기업과 국가간 갈등 = 404
Ⅱ. 다국적기업과 국가간 협조 = 409
Ⅲ. 다국적기업과 국제정치체제의 변화 = 410
제5절 저개발국가와 다국적기업 = 413
Ⅰ. 경제적 갈등 = 413
Ⅱ. 정치적 갈등 = 416
Ⅲ. 저개발국가의 협상능력 향상 = 418
제6절 다국적기업의 규제정책 = 420
Ⅰ. 국가별 규제정책 = 420
Ⅱ. 지역별 규제정책 = 424
Ⅲ. 국제적 규제정책 = 425
제7절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새로운 평가 = 427
Ⅰ. 투자수용국의 태도변화 = 427
Ⅱ. 투자국과 국제기구의 태도 = 429
사례연구 : 베츠자동차 공장의 유치 경쟁 = 431
용어와 개념 : 해외직업투자, 과실송금, 외국투자의 국유화 = 433
요점정리 = 434
토론거리 = 436
제10장 석유자원의 국제정치경제 = 437
제1절 석유수출국기구의 형성 = 438
Ⅰ. 국제석유시장의 종속현상 = 438
Ⅱ. 국제석유시장의 변화 = 440
이론적 사고문제 : 석유자원에 대한 세 가지 시각 = 444
제2절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활동 = 445
Ⅰ. 리비아의 신석유개발정책 = 445
Ⅱ. 제1차 석유파동 = 447
Ⅲ. 제2차 석유파동 = 451
제3절 석유자원의 무기화 = 455
Ⅰ. 신국제경제질서의 확립요구 = 457
Ⅱ. 석유자원과 서방국가들의 중동정책 = 459
제4절 신국제경제질서의 의의 = 460
Ⅰ. 신국제경제질서의 내용 = 461
Ⅱ. 신국제경제질서를 위한 새로운 규범 = 462
Ⅲ. 국제경제기구의 개혁 = 463
Ⅳ. 신국제경제질서에 대한 선진공업국의 태도 = 464
제5절 자원카르텔의 전망 = 466
Ⅰ. 석유의 자원무기화가 가능했던 상황 = 467
Ⅱ. 제3세계 자원의 생산카르텔 가능성 = 468
Ⅲ. 자원생산카르텔의 실패 = 470
제6절 석유수출국기구의 역할별화 = 472
Ⅰ. 석유시장의 수급불균형 = 472
Ⅱ. 제3차 석유위기의 발생 = 475
사례연구 : 석유파동 10년주기설 = 477
Ⅲ. 석유수출국기구의 재단합과 역할의 증대 = 478
용어와 개념 : 석유수출기구(OPEC)와 중동석유수출국기구(OAPEC), 국제에너지기구(IEA)등 = 481
요점정리 = 482
토론거리 = 484
제11장 기술이전의 국제정치경제 = 485
제1절 남-북간 기술이전 문제 = 486
Ⅰ. 기술이전의 세 가지 범주 = 487
Ⅱ. 남-북 기술격차의 실상 = 488
Ⅲ. 남-북 기술종속의 문제 = 489
Ⅳ. 기술차이의 극복정책 = 492
Ⅴ. 지구환경문제와 기술이전 = 494
제2절 선진공업국과 기술이전문제 = 496
Ⅰ. 기술소유권에 대한 태도 = 496
Ⅱ. 기술이전과 다국적기업의 입장 = 497
Ⅲ. 신중상주의적 기술정책 = 498
이론적 사고문제 : 지적재산권에 대한 세 가지 시각 = 501
제3절 정보기술혁명과 국제정치경제 = 503
Ⅰ. 제3의 테크놀로지 혁명 = 503
Ⅱ. 정보기술의 혁명과 국제정치경제질서 = 505
사례연구 : 세계는 지금 'IT 대전' 등 = 506
요점정리 = 509
토론거리 = 510
제12장 최근 국제정치경제의 특징 = 512
제1절 1990년대 국제정치경제의 변화 = 513
Ⅰ. 국제정치경제의 본질적 변화 = 513
Ⅱ. 국제정치경제의 구조적 변화 = 515
제2절 1990년대 국제정치경제의 문제와 처방 = 517
Ⅰ. 자유주의시각의 문제의식과 정책처방 = 517
Ⅱ. 급진주의시각의 문제의식과 정책처방 = 520
Ⅲ. 중상주의시각의 문제의식과 정책처방 = 523
제3절 21세기 세계경제질서의 특징 = 526
Ⅰ. 글로벌화의 정치경제적 의미 = 526
Ⅱ. 글로벌화의 정치경제적 영향 = 527
사례연구 : '세계경제주의' 기반 튼튼한가 = 528
Ⅲ. 2010년의 세계정치경제 = 530
요점정리 = 531
토론거리 = 533
참고문헌 주석(Ⅰ) = 535
최신참고문헌 주석(Ⅱ) = 547
사항색인 = 555
인명색인 =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