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69namcc2200217 c 4500 | |
001 | 000000711514 | |
005 | 20121128103028 | |
007 | ta | |
008 | 010705s2001 ulk 000c kor | |
020 | ▼a 8946028289 ▼g 0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85100 ▼f 개가 ▼l 111185101 ▼f 개가 ▼l 111185102 ▼f 개가 |
082 | 0 4 | ▼a 303.4 ▼a 301 ▼2 22 |
085 | ▼a 303.4 ▼2 DDCK | |
090 | ▼a 303.4 ▼b 2001a | |
245 | 0 0 | ▼a 세계사적 나침반은 어디에 / ▼d 참여연대 참여사회아카데미 엮음 |
260 | ▼a 서울 : ▼b 한울, ▼c 2001 | |
300 | ▼a 295 p. ; ▼c 23 cm | |
440 | 0 0 | ▼a 참여연대시민강좌 ; ▼v 1 |
710 | ▼a 참여연대. ▼b 참여사회아카데미, ▼e 편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11185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410113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211897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211905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111851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111851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510992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11185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410113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211897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211905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111851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111851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3.4 2001a | 등록번호 1510992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참여연대의 참여사회아카데미에서 6개월 동안 진행되었던 "20세기의 의미"란 주제의 시민강좌 중 세계사 부분을 정리한 것이다.임헌영(문학평론가), 신광영(중앙대 사회학과), 김찬호(연세대 사회학과) 등 진보적 지식인들이 다수 필자로 참여하여, 20세기 역사의 빛과 그림자를 짚어본다.
이 책은 방대한 주제를 한 권의 분량으로 정리하려 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하지만 학술적 의미보다도 시민들에게 보다 쉽게 20세기 세계사를 접하게 하고, 그것에서 문제의식을 추출해내고자 하는 의도에는 잘 부합하는 듯하다.
세계사라고는 하지만, 책의 구성이 연대별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정보화', '20세기 문화의 대중화와 상품화', '팍스 아메리카나의 구축과 재편', '포디즘적 발전모델의 성격' 등 지난 세기와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지속되고 있는 세계사의 화두를 주제별로 정리했다고 보는 편이 맞다.
그리고 그 기저에 흐르는 공통적인 문제의식은 '세계화'와 '나'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다.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 하에 발생하는 빈부의 격차와 인류의 평화를 위협하는 지구촌 곳곳의 분쟁과 폭력에 맞서 '나' 개인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게끔 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찬호(지은이)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 사회학을 전공했고 일본의 마을 만들기를 현장 연구하여 박사논문을 썼다. 대학에서 문화인류학과 교육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 부센터장을 지낸 바 있고, 현재 교육센터 마음의씨앗 부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모멸감』 『눌변』 『생애의 발견』 『사회를 보는 논리』 『도시는 미디어다』 『문화의 발견』 『휴대폰이 말하다』 『교육의 상상력』 『돈의 인문학』 『인류학자가 자동차를 만든다고?』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작은 인간』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공역), 『학교와 계급 재생산』(공역) 등이 있다.
신광영(지은이)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불평등, 노동과 복지를 비교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한국사회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계급과 노동운동의 사회학』,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민주화』,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공저), Precarious Asia: Global Capitalism and Work in Japan, South Korea, and Indonesia(공저)(*영어 부분은 이탤릭체로 해주세요.) 등이 있다.
임헌영(지은이)
1941년 경북 의성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66년 『현대문학』을 통해 문학평론가로 등단했다. 1972부터 1974년까지 중앙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1974년 긴급조치 시기에 문학인사건으로 투옥되었다. 월간 『다리』, 월간 『독서』, 『한길문학』, 『한국문학평론』 등 여러 잡지의 편집주간으로 일했으며 1979년부터 1983년까지 ‘남민전’ 사건으로 복역했다. 1998년 복권되어,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겸임교수를 지냈으며 민족문제연구소장과 문학평론가로 활동 중이다. 『한국현대문학사상사』를 비롯해 『임헌영의 유럽문학 기행』 『한국소설, 정치를 통매하다』 등 20여 권의 저서가 있다.
김형기(지은이)
2018년 현재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프랑스의 파리13대학, 중국의 푸단대학, 일본의 교토대학 등에서 초빙교수로 연구하거나 강의했다. 한국사회경제학회 회장, 대구사회연구소장, 지방분권국민운동 초대 의장, 경북대학교 교수회 의장, 대통령자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International Critical Thought≫의 편집위원이자 좋은정책포럼 대표를 맡고 있다. 그동안 경세제민의 길을 찾고자 지행합일의 정신으로 연구하고 실천하고자 노력했다. 그 과정에서 ‘한국 경제 제3의 길’, ‘새로운 진보의 길’, ‘지방분권국가의 길’을 제시하고 그 실현을 위해 활동해왔다. 이와 더불어 ‘공생적 시장경제’, ‘혁신주도 동반성장체제’, ‘애국적 진보’, ‘분권형 복지국가’ 개념을 주창했으며, 특히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박정희 모델을 넘어선 새로운 한국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해왔다. 현재는 새로운 동아시아 발전 모델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노사관계의 정치경제학』(1997), 『새정치경제학』(2001), 『지방분권 정책대안』(편저, 200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새정치경제학 방법론 연구』(편저, 200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한국경제 제3의 길: 지속가능한 진보를 위한 대안적 발전모델』(2006), 『대안적 발전모델: 신자유주의를 넘어서』(편저, 2007), 『현대자본주의 분석』(편저, 2007), 『새로운 진보의 길: 대한민국을 위한 대안』(편저, 2009), 『경세제민의 길』(2014) 등이 있다.
정태석(지은이)
전북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 이론, 시민사회, 사회운동, 환경문제 등을 연구해왔고, 최근에는 ‘파편사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비판사회학회의 학술지 《경제와사회》 편집위원,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부소장,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 『행복의 사회학』,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사회이론의 구성』,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능력주의와 공정의 딜레마」, 「다원화된 민주주의 사회와 지식인론의 성찰: 경합하는 공공적 지식인」, 「시민자격의 역사적 발달과 세계화 및 위험사회에서의 그 함의」, 「한국 비판사회이론의 흐름과 쟁점」 등 다수가 있다.
김동택(지은이)
김동택은 1999년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대한제국 붕괴의 사회 정치적 기원」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연구원(1993~1994)과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전임교수(2000~2011)를 지냈으며, 지금은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교수(2012~현재)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정치연구의 쟁점과 과제』(공저, 2001), 『세계사적 나침반은 어디에』(공저, 2001)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지그문트 바우만의 『지구화, 야누스의 두 얼굴』(2003), 에릭 홉스봄의 『저항과 반역 그리고 재즈』(공역, 2003), 피터 칼버트의 『혁명』(2002) 등이 있다. 한국 근대 정치와 개념사를 연구하면서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에 나타난 “민족(民族)” 개념(槪念)에 관한 연구(硏究)”(2008), “대한제국기 근대국가형성의 세 가지 구상”(2010), “근대 한국 주권 개념 연구”(2017) 등의 글을 발표하였다. 또한 풀뿌리 경제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최근 “풀뿌리 민주주의의 제도적 기반: 사회적 경제를 중심으로”(2017), “사회적 경제로서의 마을학교: 자급자족 원리의 제도화를 위하여”(2014) 등의 글을 발표하였다.
이광일(지은이)
정치학자. 저서로는 《좌파는 어떻게 좌파가 됐나》, 《박정희체제, 자유주의적 비판 뛰어넘기》가 있으며 공저로 《최장집의 한국민주주의론》, 《한국 진보정치운동의 역사와 쟁점》,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신자유주의 지구화시대, 프레카리아트의 형성과 ‘해방의 정치’”, “신자유주의시대 한국영화와 정치-프레카리아트 이야기, 《화차》·《피에타》”, “자유주의 정치기획의 반복, ‘정치 빈곤’의 자화상-영화 《변호인》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윤용선(지은이)
베를린 자유대 역사학과에서 소비에트 러시아사를 전공했으며, 2005년 현재 한국외국어대 외국학종합연구센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은경(지은이)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기술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포항공과대학 박사후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을 거쳐 지금은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관심사는 20세기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과 젠더 등이다. 『현대과학의 쟁점』(공저), 『세계 1위 메이드 인 코리아―반도체』(공저), 『나도 과학자의 길을 갈 테야』(공저) 등의 저서와 과학기술정책과 과학기술사에 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이홍균(지은이)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교 사회학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연구교수 현재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 지은 책으로 <NGO 시대의 지식 키워드 21>(공저), <사회적 압력과 소외>, <하버마스의 사상>(공저) 등이 있다.
참여연대 참여사회아카데미(엮은이)
참여사회아카데미(원장 임헌영)는 참여연대의 시민교육기관이며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1996년 9월 개설했으며 시민들의 민주.권리의식 고취를 위한 다양한 강좌를 개발, 보급, 운영하고 있다.

목차
목차 서문 과연 새로운 세기는 왔는가/임헌영 = 3 20세기의 역사적 의미와 21세기의 과제/임헌영 = 11 1. 시대구분, 그 합리성과 비합리성 = 11 2. 도전으로서의 사회주의와 응전으로서의 자본주의 = 15 3. 역사의 흐름을 바꾼 사건들 = 19 4. 20세기가 이룩한 진보적인 사건들 = 23 5. 잃어버린 것을 찾아서 = 26 20세기의 사회문화적 지각변동/신광영 = 33 1. 20세기의 문화적 의미 = 33 2. 대량생산과 대중문화 =36 3. 대중문화의 의미 = 37 4. 대중문화의 대전환 =40 5. 과학기술과 대중문화 = 41 6. 20세기 대중문화의 특징 = 46 7. 대중문화의 순기능과 역기능 = 48 8.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서-문화적 다원성과 민주적 사회 = 51 9. 결론 = 53 과학기술 발달과 정보화/이은경 = 55 1. 들어가며 = 55 2. 20세기 과학기술이 특징 = 56 3. 과학기술의 사회적 수용 = 64 4. 인터넷이 열어준 사이버 세계 = 68 20세기 문화의 대중화와 상품화/김찬호 = 75 1. 대중, 대중사회. 대중문화 = 75 2. 근대 사회변동의 두 가지 패러다임 = 79 3. 교통 수단의 발달과 여행의 대중화 = 87 4. 전자미디어로 인한 지구촌 시대의 도래 = 92 5. 스타 숭배의 사회심리와 문화산업 구조 = 97 6. 스포츠-문화의 지구촌화를 촉진하는 보편 언어 = 103 개발과 환경-지탱가능한 사회를 위하여/정태석 = 111 1. 생존의 딜레마-개발이냐 환경이냐 = 111 2. 공업화와 환경위기-지탱 가능한 발전이냐 지탱 가능한 사회냐 = 114 3. 자본주의와 환경 파괴-욕망의 수레바퀴 = 120 4. 지구촌화와 환경 제국주의-세계 자본주의의 팽창과 환경오염의 지구촌화 = 125 5. 환경운동과 지구 환경의 미래-지탱 가능한 사회를 위하여 = 130 두 번의 세계전쟁, 팍스 아메리카나의 구축과 재편/이광일 = 133 1. 국민국가를 넘어, '하나의 유럽' = 133 2. 세계대전과 유럽 헤게모니의 붕괴 = 137 3. 팍스 아메리카나의 구축-냉전과 제3의 길 = 143 4. 세계경제의 위기, 데탕트, 전후 팍스 아메리카나의 붕괴 = 147 5. 신자유주의 탈냉전과 미국 패권의 재구축 = 150 6. 새로운 세기에 서서 = 155 평화공존과 분쟁해결/김창수 = 158 1. 들어가며 = 158 2. 강대국의 패권확립을 위한 침략전쟁 = 159 3. 제2차 세계대전 = 164 4. 베트남전쟁 = 167 5. 민족간의 오랜 갈등으로 인한 전쟁 = 170 6. 종교갈등으로 인한 전쟁 = 173 7. 걸프전쟁, 그 이후 = 175 8. 평화운동의 이념 = 178 9. 맺음말-관용과 공존의 가치관을 정리해야 = 185 포드즘적 발전모델의 성쇠-자본주의 황금시대와 그 종언/김형기 = 189 1. 머리말 = 189 2. 발전모델 분석을 위한 개념들 = 190 3. 포디즘적 발전모델의 특성 = 195 4. 포디즘의 위기와 그 원인 = 200 5. 포디즘 이후의 발전모델 = 206 6. 맺음말-포드즘 성쇠의 교훈 = 210 사회주의혁명과 20세기의 노동계급/윤용선 = 213 1. 머리말 = 213 2. 10월혁명 시기의 유럽 노동운동 = 214 3. 코민테른과 세계공산주의운동 = 218 4. 파시즘의 대두와 국제공산주의운동 = 227 5. 냉전시대의 노동운동 = 234 6.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 241 7. 맺음말 = 245 세계체제와 제3세계 그리고 동아시아/김동택 = 249 1. 머리말 = 249 2. 세계체제론 = 254 3.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특이성 = 257 4.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모순과 제3세계 그리고 동아시아 = 265 5. 역사적 반체제 운동 = 268 6. 혁명이나 봉괴냐-자본주의 세계체제의변화 가능성 = 271 산업자본주의를 넘어서/이홍균 = 275 1. 문제제기 = 275 2. 산업자본주의에 의한 환경 파괴 = 276 3. 산업자본주의에 의한 인간/사회 파괴 = 285 4. 맺음말과 몇 가지 대안들 =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