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이미지

이미지 (1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평근 진형준, 秦炯俊, 1952-
서명 / 저자사항
이미지 / 유평근 ; 진형준 공저.
발행사항
서울 :   살림,   2001.  
형태사항
307 p. : 삽도 ; 23 cm.
ISBN
8952200594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00710608
005 20220905144459
007 ta
008 010628s2001 ulka 001a kor
020 ▼a 8952200594 ▼g 03800 : ▼c \1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84979 ▼f 개가 ▼l 111184980 ▼f 개가 ▼l 111184981 ▼f 개가
082 0 4 ▼a 801.95 ▼2 21
090 ▼a 801.95 ▼b 2001b
100 1 ▼a 유평근
245 1 0 ▼a 이미지 / ▼d 유평근 ; ▼e 진형준 공저.
260 ▼a 서울 : ▼b 살림, ▼c 2001.
300 ▼a 307 p. : ▼b 삽도 ; ▼c 23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진형준, ▼g 秦炯俊, ▼d 1952- ▼0 AUTH(211009)60546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01b 등록번호 1111849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01b 등록번호 11118498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4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801.95 2001b 등록번호 1410102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95 2001b 등록번호 1511042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01b 등록번호 1111849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01b 등록번호 11118498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4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801.95 2001b 등록번호 1410102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95 2001b 등록번호 1511042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유평근(지은이)

<이미지>

진형준(지은이)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12539;박사 학위를 받았다. 홍익대학교 문과대학장, 세계상상력센터 한국 지회장, 한국상상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문학평론가이자 불문학자 그리고 한국문학번역원 원장으로서 한국이 주빈국이던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을 성공적으로 주관하며 한국문학과 한국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했다. 이런 활동의 연장선에서 생각하는 힘: 진형준 교수의 세계문학컬렉션 시리즈를 기획하여 출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상상력이란 무엇인가』『프리메이슨 비밀의 역사』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들어가는 말 = 11
제1장 '이미지'라고 흔히 말하지만 그것을 설명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 19
 ① 이미지의 그리스어 어원은 아이콘, 에이돌론, 판타스마 = 21
 ②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이 이미지의 형성에 참여한다 = 28
  1) 시각 이미지는 유추적 사유를, 청각 이미지는 분석적이고 디지털한 사유를 지향한다 = 30
  2) 시각 이미지의 범람이 곧 인식의 경박화, 천박화를 불러오는 것은 아니다 = 33
 ③ 이미지를 연구한다는 것은 감각적인 것과 지적인 것 사이의 인간의 모든 표현을 연구한다는 것이다 = 38
  1) 지각·기억·예견 이미지 = 38
  2) 무의식적 이미지 = 42
  3) 언어적 이미지 = 46
  4) 모태 이미지 = 50
  5) 물질적 이미지 = 53
 ④ 모든 이미지는 기호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의 양극단 사이에 존재한다 = 61
제2장 왜 이미지는 실재하는 만큼 중요한 대접을 받지 못했는가 = 69
 ① 이미지는 언제나 '그 무엇(모델)'의 이미지이다 : 미메시스와 이미지 = 73
  1) 이미지는 모델과 닮아야 한다 = 75
  2) 이미지는 모델과 달라야 한다 = 85
  3) 모델 없는 이미지 - 이미지는 창조이다 = 93
 ② 이미지 평가 절하의 흐름 - 서구 인식론 내에서 = 101
  1) 서구의 인식론은 로고스 중심주의에 입각한 이원론적 세계관 = 101
  2) 기독교사 내부에서의 성상파괴주의 = 108
  3) 합리주의적 인식 내에서의 성상파괴주의 = 111
 ③ 서구에서도 이미지 옹호의 흐름은 있었다 = 118
제3장 왜 우리는 이미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며, 이미지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129
 ① 이미지와 상상력의 가치 발견과 의미 부여 과정 = 135
  1) 프로이트 - 정신분석학 = 135
  2) 융 - 심층 심리학 = 140
  3) 카시러 - 상징적 형태의 철학 = 151
  4) 폴 리쾨르 - 이미지의 해석학 = 157
  5) 앙리 코르벵 - 이마지날, 부재하는 것을 그려 내는 상상력 = 163
  6) 가스통 바슐라르 - 상상력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 170
 ② 이미지와 상상력의 종합적 체계화 = 189
  질베르 뒤랑 -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 = 189
제4장 우리의 삶에서 이미지란 무엇인가? = 227
 ① 이미지에 대한 비판들 = 230
  1) 이미지는 기만적이다 = 230
  2) 이미지는 주체를 소외시킨다 = 233
  3) 이미지는 신성 모독적이다 = 236
  4) 현대 이미지의 증식은 현실을 덮어 버린다 = 239
 ② 이미지는 과학이나 합리성에 대립하지 않는다 = 243
  1) 이미지는 객관적 탐구의 가능성을 오히려 확장한다 = 245
  2) 이미지는 추상적 지식에 육체성을 부여한다 = 251
  3) 과학이여, 이미지를 창조하라 : 과학성의 바탕엔 상상력이‥‥‥ = 252
 ③ 이미지는 인류학적 윤리의 정립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 254
 ④ 이미지와 정치 = 266
  1) 국가와 가족의 이미지 = 267
  2) 전복의 신화를 만드는 이미지 = 275
 ⑤ 이미지는 창의적이고 균형 잡힌 인간을 교육하는 데 필수적이다 = 277
맺는 말 = 289
찾아보기 = 29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