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53namccc200301 k 4500 | |
001 | 000000710539 | |
005 | 20100807125948 | |
007 | ta | |
008 | 010628s2001 ulkaj 001a kor | |
020 | ▼a 8988804414 ▼g 94600: ▼c \15000 | |
020 | 1 | ▼a 8988804406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49 | 1 | ▼l 111187712 ▼f 개가 ▼l 111191235 ▼f 개가 ▼l 111191236 ▼f 개가 |
082 | 0 4 | ▼a 700.92 ▼2 21 |
090 | ▼a 700.92 ▼b 2001 | |
100 | 1 | ▼a Decker-Phillips, Edith , ▼d 1953- |
245 | 1 0 | ▼a 백남준 Video: ▼b 비디오 예술의 미학과 기술을 찾아서 / ▼d 에디트 데커 지음 ; ▼e 김정용 옮김. |
246 | 1 9 | ▼a Paik video |
260 | ▼a 서울 : ▼b 궁리 , ▼c 2001. | |
300 | ▼a 368 p. : ▼b 삽도,연보 ; ▼c 23 cm. | |
490 | 0 0 | ▼a 대림 이미지 총서 ; ▼v 1 |
500 | ▼a 색인수록 | |
600 | 1 0 | ▼a Paik, Nam June, ▼d 1932- ▼x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
600 | 1 4 | ▼a 백남준 ▼d 1932- |
650 | ▼a Video art. | |
700 | 1 | ▼a 김정용 , ▼e 역 ▼0 AUTH(211009)13322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92 2001 | 등록번호 1111877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92 2001 | 등록번호 1111912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 청구기호 700.92 2001 | 등록번호 1111912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92 2001 | 등록번호 1111877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92 2001 | 등록번호 1111912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 청구기호 700.92 2001 | 등록번호 1111912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0년 여름, 서울에서 열린 백남준 회고전에 참석한 분들은 어쩌면 당혹감을 느꼈을지도 모르겠다. 그에게는 늘 '세계적인' '선구자' 등의 수식어가 따라다니지만 막상 그의 작품들을 이해하기란 쉽지가 않다. 이 책의 역자는 그 이유에 대해 '백남준의 퍼포먼스와 비디오 설치, 그리고 비디오 테이프가 탄생한 1960~70년대 서구 사회의 사회학적인 배경과 예술사적인 흐름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라 말하고 있다.
또한 백남준은 이러한 지적을 한 적이 있다. "우리 시대의 몇몇 학문적인 예술 비평가들은 비디오 재료의 조건들을, 즉 전자 공학적인 면을 연구하지 않으면서 비디오를 올바로 이해하려고 한다. ... 그러나 그들의 노력은 전혀 성공을 거둘 수 없다."
이 책은 지은이 에디트 더커가 1985년 독일 함부르크 대학의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한 원고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1956년 도쿄 대학을 졸업한 이후 백남준의 예술가적인 발전을 서술하면서, 그의 비디오 설치 작품과 비디오 테이프를 집중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작품의 미학적이고 외적인 현상뿐만 아니라 작품의 기술적인 기능도 함께 고찰하고 있어, 백남준과 비디오 예술에 대한 이해를 한 차원 심화시킨 저술로 평가받고 있다.
비디오 설치 작품들은 '참여 텔레비전' '미니멀 비디오' '멀티 모니터 설치' 등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 내에서 연대기적인 순서를 따라 다룬다. 전체 작품을 내용 면에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비디오 테이프들은 시간 순으로 나열해 설명했다. 마지막 장에선 플럭서스 시기에 대한 백남준의 입장을 소개하며, 멀티 모니터 설치를 보다 광범위한 예술사적 연관 속에서 다루고 있다.
궁리출판사와 한림미술관이 공동으로 기획, 출간하는 '대림이미지총서'의 첫번째 책. 우리 시대의 새로운 이미지들을 바라보는 방식을 제안하는 번역서들을 앞으로도 꾸준히 내놓을 계획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에디트 데커(지은이)
브레멘 대학과 함부르크 대학에서 회화, 예술사, 고고학 그리고 독어독문학을 공부했다. 1985년 예술사 분야에서 백남준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뮌스터의 '예술과 문화사를 위한 미술관'에서 활동하면서 <1987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 전시회를 공동으로 작업했다. 또한 1989년에는 큐레이터로서 전시회 <비디오 조각, 회고와 현재>를 불프 헤르초겐라트와 공동으로 개최했으며, 1990년에는 페터 바이벨과 함께 <먼 곳의 사라짐에 대하여>를 개최했다. 1991년부터는 독일 본의 미술관에서 프로젝트 리더로 활동하면서 전시회 <지구의 관점, 세계의 변화> <유전자 세상, 프로메테우스의 실험실>을 기획했다. 백남준에 관한 책으로 <백남준ㆍ 비디오>(1988) <한 문화유랑자의 기고: 발췌>가 있다.
김정용(옮긴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독일 보훔(Bochum) 대학에서 독문학과 연극영화학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독일 현대문학의 이해』(공저), 『브레히트의 연극세계』(공저), 『세계 연극 239선』(공저), 『독일어권 문화 II』(공저), 『독일 아동 청소년 문학과 문학 교육』, 『아동 청소년 문학과 상호문화교육』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비엔나 숲속의 이야기』, 『백남준: 비디오 예술의 미학과 기술을 찾아서』, 『안도라』가 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5 Ⅰ. 서론 = 9 Ⅱ. 비디오 예술의 시작 = 25 1 전자 영상 = 27 2 전자 음악에서 전자 텔레비전으로 = 35 3 음이 영상이 되다 = 46 4 전시회《음악의 전시 - 전자 텔레비전》 = 51 5 볼프 포스텔 = 62 Ⅲ. 비디오 설치 = 81 1 참여 텔레비전 = 84 2 미니멀 비디오 = 92 3 비디오 프로젝션 = 96 4 중복의 원칙 : 폐쇄 회로 설치 = 99 5 멀티 모니터 설치 = 126 6 인간화된 기술 : 샬럿 무어만을 위한 비디오 오브제 = 174 Ⅳ. 비디오 테이프 = 180 1 확장된 시네마 또는 확장된 텔레비전? = 191 2 백남준과 아베의 신시사이저 = 200 3 비디오 테이프 = 205 4 빛과 그림자 : 비디오와 영화의 관계 = 225 5 (굿모닝, 미스터 오웰) = 234 Ⅴ. 백남준의 이론 = 243 1 플럭서스 과거 = 245 2 구성주의 전통 = 249 3 비디오 환경 : 시각적 음악 = 253 주 = 259 연보 및 사진 = 301 기록문서 = 306 비디오 설치와 비디오 테이프 작품 목록 = 310 참고문헌 = 327 옮긴이의 말 = 353 찾아보기 =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