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46n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00708714 | |
005 | 20110614145532 | |
007 | ta | |
008 | 010614s2001 ulkaf 001c kor | |
020 | ▼a 8972912921 ▼g 939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49 | 1 | ▼l 111186498 ▼f 개가 ▼l 111186499 ▼f 개가 ▼l 111186500 ▼f 개가 |
082 | 0 4 | ▼a 700.417 ▼2 22 |
085 | ▼a 700.417 ▼2 DDCK | |
090 | ▼a 700.417 ▼b 2001 | |
100 | 1 | ▼a Champfleury, ▼d 1821-1869 ▼0 AUTH(211009)62443 |
245 | 1 0 | ▼a 풍자예술의 역사 : ▼b 고대와 중세의 패러디 이미지 / ▼d 샹플뢰리; ▼e 정진국 옮김 |
246 | 1 9 | ▼a Histoire de la caricature |
260 | ▼a 서울 : ▼b 까치, ▼c 2001 | |
300 | ▼a 424 p., 도판 [8]장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까치글방 ; ▼v 181 |
500 | ▼a 색인과 부록수록 | |
500 | ▼a '샹플뢰리'의 본명은 'Jules Husson'임 | |
650 | 0 | ▼a Caricature ▼z France ▼x History |
650 | 0 | ▼a Caricature ▼x History |
700 | 1 | ▼a 정진국, ▼d 1955-, ▼e 역 ▼0 AUTH(211009)57984 |
900 | 1 0 | ▼a 샹플뢰리, ▼e 저 |
900 | 1 0 | ▼a Husson, Jules,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417 2001 | Accession No. 1111864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417 2001 | Accession No. 1111865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강성욱 700.417 2001 | Accession No. 1116295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700.417 2001 | Accession No. 1111864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00.417 2001 | Accession No. 1511185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417 2001 | Accession No. 1111864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417 2001 | Accession No. 1111865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강성욱 700.417 2001 | Accession No. 1116295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700.417 2001 | Accession No. 1111864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00.417 2001 | Accession No. 1511185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양 고대와 중세의 예술작품에 나타난 풍자예술의 상징성과 의미를 구체적인 실례를 통해 설명한 책. 1856년 출간된 이래 미술사와 고고학 분야의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는 이 책은 회화, 조각, 건축 뿐 아니라 연극, 문학, 음악 등을 함께 연계시켜 설명하고 있어, 풍자예술의 다양한 면면들을 폭넓게 담아내고 있다. 원래는 전체 5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저작이나, 이번 한국어판에서는 그 중 고대와 중세 편만을 완역했다.
저자는 풍자예술을 저급한 예술로 평가절하하지 않는다. 오히려 한 시대를 주도했던 예술이 보여주지 못한 당시의 시대상과 풍습, 그리고 민중의 사고방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인식한다.
로마황제 카라칼라(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를 풍자한 당시의 조각상을 한번 보자. 그는 왕위에 오르기 위해 동생을 죽였으며 백성들을 지나치게 억압했던 무자비하고 잔인한 황제였다. 결국 암살당했지만, 그의 죄과를 철저하게 응징했던 것은 한 조각가가 남긴 황제의 조상이었다. '옹색한 키에 짧고 휜 다리로 뒤뚱거리는 모습을 한(거기다 3등신으로 표현되었다)' 황제의 조각상은 두고두고 조롱거리로 남았다.
이처럼 지은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미나 중세의 장중한 기독교 예술과는 상당히 거리가 먼, 풍자적이고 그로테스크한 패러디를 보여줌으로써 당대 사회를 희화화하고 있는 다양한 양식들을 설명하고 있다.
전체 2부로 구성된 이 책의 1부 '고대'편에서는 고대의 희극화가와 희극배우들의 그림이나 예술 무대를 통해서 드러나는 패러디, 신화 인물이나 과거의 난폭했던 황제에 대한 풍자, 피그미 전설 등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고, 제2부 '중세'편에서는 종교 건축물에 새겨진 조각이나 수사본 세밀화 등을 통해 그 당시의 사회상이나 종교인들의 실상을 풍자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샹플뢰리(지은이)
프랑스의 문인. 본명은 쥘 위송(Jules Husson, 1821-69)이다. 빅토르 위고의 칭송을 받은 <겨울 환상>(1847) 등의 소설을 통해 객관적 관찰에 바탕을 두고서 진실을 추구하는 사실주의 경향의 대표적 작가가 되었다. 그는'리얼리즘'이라는 선언문의 저자로서 이른바 19세기 리얼리즘 경향의 가장 열렬한 실천가였다. 소설 못지않게 주목을 받고 논쟁을 불러일으킨, 예술에 관한 일련의 저작들은 그 엄격하면서도 신랄하고 풍부한 학식과 확고한 자료에 근거하면서도 유연한 문체와 매혹적인 상상 때문에 라블레 이후 최고의 풍자작가라는 평판을 얻었다. 특히 예술에서 고루한 종교적 상징성의 도식에 따른 해석을 부인하며 그 민중적 기원을 모색한 그의 저작들은 오늘날 순응주의적 제도를 거부하고 진정한 자유의 정신을 탐구하는 사람들에게 귀중한 모범이 되고 있다.
정진국(옮긴이)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파리8대학 조형 예술학부, 파리1대학원을 졸업했다. 저서로 『유럽의 책마을을 가다』, 『유럽의 괴짜 박물관』, 『사진 속의 세상살이』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매그넘 매그넘』,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그는 누구인가?』, 『사진의 역사』, 『바로크와 고전주의』, 『후기 인상주의의 역사』 등이 있다. 최근에는 유럽에서 출간된 예술가의 전기들을 발굴하여 번역하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쥘 미슐레의 『마녀』, 『바다』, 빅토르 타피에의 『바로크와 고전주의』, 질 샤이에의 『황제들의 로마』, 엘리제 르클뤼의 『산의 역사』 등 주로 프랑스 역사서를 번역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고대 머리말 = 11 제1장 앗시리아인과 이집트인은 희극성을 알고 있었을까? = 19 제2장 풍자작가의 적, 아리스토텔레스 = 31 제3장 화가 파우손 = 36 제4장 가정, 동물, 풍경을 그린 화가들 = 41 제5장 희극화가들 = 45 제6장 엄밀한 뜻의 풍자 - 화실 = 49 제7장 아이네이아스와 안키세스 패러디 = 54 제8장 그릴레스 = 61 제9장 환상과 키마이라 = 69 제10장 「그리스 선집」, 질문 속의 빛 = 76 제11장 우화와 교훈담 = 83 제12장 카라칼라 풍자 = 89 제13장 인간과 동물의 긴밀한 봉합 = 97 제14장 프리아포스 = 110 제15장 괴기스럽게 표현된 도공에 대한 고찰 = 123 제16장 피그미 전설 = 130 제17장 고대 항아리 - 극적 패러디 = 151 제18장 그리스인과 로마인의 희극 무대 = 159 제19장 희극배우들 = 176 제20장 소크라테스의 전설 = 186 제21장 앞 장에 이어서 = 193 제22장 고대 풍자문학의 탁월성 = 197 제23장 낙서 = 203 제24장 그리스도와 초기 기독교인에 대한 풍자화 = 211 제25장 골족의 풍자예술 = 220 제26장 해학과 고고학 = 231 제2부 중세 머리말 = 237 제1장 공허한 상징주의 = 245 제2장 동물 악사 = 263 제3장 당나귀 축제 = 271 제4장 성당과 수도원의 춤 = 278 제5장 악마 = 286 제6장 망자들의 춤 = 300 제7장 여우 = 317 제8장 루이 15세 치하에서의 「여우 이야기」의 영향 = 330 제9장 「포벨 이야기」 = 336 제10장 귀족, 수사, 농노 = 339 제11장 수사본 세밀화 = 350 제12장 종교건축 - 메스 지역 성당기사단의 집 = 358 제13장 군사건축 - 메스의 데슈 망루 = 363 제14장 민간유적의 풍자상 = 366 제15장 성당 성직자석 = 373 제16장 중세의 대성당 = 388 제17장 상징주의의 파국 = 398 부록 : 웃음에 관하여 = 403 저자 후기 = 413 역자 후기 = 417 인명 색인 =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