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장 문법 학파
1.1 소장 문법 학파의 대표자들 = 1
1.2 소장 문법 학파의 언어학적 사고의 전통과 혁신적인 점 = 5
1.2.1 소장 문법 학파에 영향을 끼친 직접 요인 = 5
1.2.2 소장 문법 학자들의 주요 방법 = 8
1.3 인접 학문과의 관계 : 철학과 심리학 = 21
1.4 소장 문법 학파가 동시대의 언어학에 끼친 영향 = 23
1.5 추종자와 반대자 = 25
참고문헌 = 27
2. 보두엥 드 꾸르뜨네
2.1 꾸르뜨네의 학문적 전기 = 33
2.2 꾸르뜨네의 중요한 연구 분야 = 36
2.2.1 언어학의 대상과 방법 = 37
2.2.2 음성학/음운론 = 42
2.2.3 언어 유형론 = 45
2.2.4 언어 사회학 = 49
2.2.5 기타 연구 분야 = 51
2.3 20세기 언어학에 끼친 영향 = 52
참고문헌 = 54
3. 페르디난드 드 소쉬르
3.1 페르디난드 드 소쉬르의 학문적 전기 = 59
3.2 언어학과 인접 학문의 영향 = 61
3.3 "인도유럽어 원 모음 체게에 대한 각서" = 64
3.4 "일반 언어학 강의" = 67
3.4.1 일반언어학의 대상 : 소쉬르의 이원론 = 68
3.4.2 기호 체계로서의 언어 = 73
3.4.3 언어적 "가치" = 77
3.5 비판적 평 ; 20세기 언어학에 끼친 소쉬르의 영향 = 78
참고문헌 = 82
4. 프라그 언어학파
4.1 "기능주의 언어학"의 창립과 창시자들 = 85
4.2 언어학과 인접 학문의 영향 : 형태 심리학 / 보두엥 드 꾸르뜨네 ; 드 소쉬르 = 90
4.3 프라그 언어학파 주요 구성원 = 90
4.4 니꼴라이 트루베츠코이 = 96
4.4.1 음운론 = 97
4.5 로만 오스토프 야콥슨 = 98
4.5.1 음운론 = 99
4.5.2 형태론과 의미론 = 102
4.5.3 기호학 = 103
4.5.4 시학 = 104
4.5.5 다른 연구 영역 = 105
4.6 빌렘 마테지우스 문장론 = 106
4.7 20세기 언어학에서 프라그학파의 위치 = 108
참고문헌 = 111
5. 언리학파
5.1 언리학의 성립과 창조자, 코펜하겐의 구조주의 = 117
5.2 언어학과 인접 학문으로부터의 영향 : 소쉬르와 비인학파 = 118
5.3 예름슬레우, "언어학에 대한 서문" - 중심 = 119
5.3.1 표현 - 내용, 형태 - 실질 = 120
5.3.2 관계의 네트워크 = 121
5.3.3 예름슬레우의 언어 이론 정의 = 122
5.3.4 기호 - 형상, 변화 - 불변 = 123
5.4 예름슬레우, 다른 연구 영역 = 124
5.5 20세기 언어학에서 언리학의 분류 = 125
참고문헌 = 127
6. 기술주의 언어학
6.1 20세기초 미국 언어학의 상황 / 보아스 ; 사피어 ; 불룸필드 = 131
6.2 언어학과 인접 학문으로부터의 영향 : 심리학에서의 행동주의 / 소쉬르 = 135
6.3 불룸필드의 "언어" = 138
6.4 불룸필드의 "A set of Postlates for the Science of Language" = 142
6.5 불룸필드 후계자들의 문장론 중심 연구 = 143
6.5.1 웰즈의 "직접 구성 성분" = 144
6.6 해리스 = 151
6.6.1 "구조주의 언어학" = 152
6.6.2 텍스트 분석과 변형 이론에 대한 논문 = 157
6.7 20세기 언어학에서 기술주의 언어학의 위치 = 160
참고문헌 = 165
7. 구조주의 언어학의 고전학파
7.1 학문 이론적인 배경 = 169
7.2 언어학의 대상 = 171
7.3 목표 : 이론인가 방법인가? = 172
7.4 언어학의 연구에 관한 주된 요구 = 174
7.5 공시성 : 통시성 = 174
7.6 언어 체계의 분야들 = 175
7.7 형식 : 실질 = 177
7.8 기능 = 178
7.9 언어와 사회 = 178
7.10 일례 : 음소 개념 = 179
8. 노암 촘스키
8.1 촘스키의 학문적 전기 = 183
8.2 생성 문법 모델 : 1단계 = 185
8.3 생성 모델 : 2 단계 = 191
8.4 미래의 발전에 대한 전망 = 202
8.4.1 문법 이론의 앞으로의 발전에 관한 전망 = 202
8.4.2 인간 지식의 문법 이론과 조합성 = 206
8.5 요약 = 207
참고문헌 =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