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 언어학 방법론 : 헤르만 파울에서 노암 춈스키까지

현대 언어학 방법론 : 헤르만 파울에서 노암 춈스키까지 (Loan 5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artschat, Brigitte 김한란, 역
Title Statement
현대 언어학 방법론 : 헤르만 파울에서 노암 춈스키까지 / 브리기테 바트샤트 지음 ; 김한란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   2001.  
Physical Medium
211 p. : 삽도 ; 23 cm.
Varied Title
Methoden der Sprachwissenschaft : Von Hermann Paul bis Noam Chomsky
ISBN
898609235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수록
000 00779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708623
005 20100807122004
007 ta
008 010614s2001 ulka BR 000a kor
020 ▼a 8986092352 ▼g 93700 : ▼c \10000
040 ▼a 211009 ▼c 211009
041 1 ▼a kor ▼h ger
049 1 ▼l 111187007 ▼f 개가 ▼l 111187008 ▼f 개가 ▼l 11118009 ▼f 개가
082 0 4 ▼a 410.18 ▼2 21
090 ▼a 410.18 ▼b 2001
100 1 ▼a Bartschat, Brigitte
245 1 0 ▼a 현대 언어학 방법론 : ▼b 헤르만 파울에서 노암 춈스키까지 / ▼d 브리기테 바트샤트 지음 ; ▼e 김한란 옮김.
246 1 9 ▼a Methoden der Sprachwissenschaft : Von Hermann Paul bis Noam Chomsky
260 ▼a 서울 : ▼b 성신여자대학교 , ▼c 2001.
300 ▼a 211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수록
700 1 ▼a 김한란, ▼e▼0 AUTH(211009)102055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18 2001 Accession No. 1111870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18 2001 Accession No. 1111870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18 2001 Accession No. 11118700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브리기테 바트샤트(지은이)

<현대 언어학 방법론>

김한란(옮긴이)

<현대 언어학 방법론>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1. 소장 문법 학파

 1.1 소장 문법 학파의 대표자들 = 1

 1.2 소장 문법 학파의 언어학적 사고의 전통과 혁신적인 점 = 5

  1.2.1 소장 문법 학파에 영향을 끼친 직접 요인 = 5

  1.2.2 소장 문법 학자들의 주요 방법 = 8

 1.3 인접 학문과의 관계 : 철학과 심리학 = 21

 1.4 소장 문법 학파가 동시대의 언어학에 끼친 영향 = 23

 1.5 추종자와 반대자 = 25

 참고문헌 = 27

2. 보두엥 드 꾸르뜨네

 2.1 꾸르뜨네의 학문적 전기 = 33

 2.2 꾸르뜨네의 중요한 연구 분야 = 36

  2.2.1 언어학의 대상과 방법 = 37

  2.2.2 음성학/음운론 = 42

  2.2.3 언어 유형론 = 45

  2.2.4 언어 사회학 = 49

  2.2.5 기타 연구 분야 = 51

 2.3 20세기 언어학에 끼친 영향 = 52

 참고문헌 = 54

3. 페르디난드 드 소쉬르

 3.1 페르디난드 드 소쉬르의 학문적 전기 = 59

 3.2 언어학과 인접 학문의 영향 = 61

 3.3 "인도유럽어 원 모음 체게에 대한 각서" = 64

 3.4 "일반 언어학 강의" = 67

  3.4.1 일반언어학의 대상 : 소쉬르의 이원론 = 68

  3.4.2 기호 체계로서의 언어 = 73

  3.4.3 언어적 "가치" = 77

 3.5 비판적 평 ; 20세기 언어학에 끼친 소쉬르의 영향 = 78

 참고문헌 = 82

4. 프라그 언어학파

 4.1 "기능주의 언어학"의 창립과 창시자들 = 85

 4.2 언어학과 인접 학문의 영향 : 형태 심리학 / 보두엥 드 꾸르뜨네 ; 드 소쉬르 = 90

 4.3 프라그 언어학파 주요 구성원 = 90

 4.4 니꼴라이 트루베츠코이 = 96

  4.4.1 음운론 = 97

 4.5 로만 오스토프 야콥슨 = 98

  4.5.1 음운론 = 99

  4.5.2 형태론과 의미론 = 102

  4.5.3 기호학 = 103

  4.5.4 시학 = 104

  4.5.5 다른 연구 영역 = 105

 4.6 빌렘 마테지우스 문장론 = 106

 4.7 20세기 언어학에서 프라그학파의 위치 = 108

 참고문헌 = 111

5. 언리학파

 5.1 언리학의 성립과 창조자, 코펜하겐의 구조주의 = 117

 5.2 언어학과 인접 학문으로부터의 영향 : 소쉬르와 비인학파 = 118

 5.3 예름슬레우, "언어학에 대한 서문" - 중심 = 119

  5.3.1 표현 - 내용, 형태 - 실질 = 120

  5.3.2 관계의 네트워크 = 121

  5.3.3 예름슬레우의 언어 이론 정의 = 122

  5.3.4 기호 - 형상, 변화 - 불변 = 123

 5.4 예름슬레우, 다른 연구 영역 = 124

 5.5 20세기 언어학에서 언리학의 분류 = 125

 참고문헌 = 127

6. 기술주의 언어학

 6.1 20세기초 미국 언어학의 상황 / 보아스 ; 사피어 ; 불룸필드 = 131

 6.2 언어학과 인접 학문으로부터의 영향 : 심리학에서의 행동주의 / 소쉬르 = 135

 6.3 불룸필드의 "언어" = 138

 6.4 불룸필드의 "A set of Postlates for the Science of Language" = 142

 6.5 불룸필드 후계자들의 문장론 중심 연구 = 143

  6.5.1 웰즈의 "직접 구성 성분" = 144

 6.6 해리스 = 151

  6.6.1 "구조주의 언어학" = 152

  6.6.2 텍스트 분석과 변형 이론에 대한 논문 = 157

 6.7 20세기 언어학에서 기술주의 언어학의 위치 = 160

 참고문헌 = 165

7. 구조주의 언어학의 고전학파

 7.1 학문 이론적인 배경 = 169

 7.2 언어학의 대상 = 171

 7.3 목표 : 이론인가 방법인가? = 172

 7.4 언어학의 연구에 관한 주된 요구 = 174

 7.5 공시성 : 통시성 = 174

 7.6 언어 체계의 분야들 = 175

 7.7 형식 : 실질 = 177

 7.8 기능 = 178

 7.9 언어와 사회 = 178

 7.10 일례 : 음소 개념 = 179

8. 노암 촘스키

 8.1 촘스키의 학문적 전기 = 183

 8.2 생성 문법 모델 : 1단계 = 185

 8.3 생성 모델 : 2 단계 = 191

 8.4 미래의 발전에 대한 전망 = 202

  8.4.1 문법 이론의 앞으로의 발전에 관한 전망 = 202

  8.4.2 인간 지식의 문법 이론과 조합성 = 206

 8.5 요약 = 207

 참고문헌 = 20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