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14namccc200193 k 4500 | |
001 | 000000708519 | |
005 | 20100807121741 | |
007 | ta | |
008 | 010613s2001 ulk 000a kor | |
020 | ▼a 8976266382 ▼g 93810 : ▼c \9000 | |
040 | ▼a 211009 ▼c 211009 | |
049 | 1 | ▼l 111186410 ▼f 개가 ▼l 111186411 ▼f 개가 ▼l 111186412 ▼f 개가 |
082 | 0 4 | ▼a 801.95 ▼2 21 |
090 | ▼a 801.95 ▼b 2001a | |
100 | 1 | ▼a 이승훈 ▼0 AUTH(211009)126605 |
245 | 1 0 | ▼a 현대비평이론 / ▼d 이승훈 지음. |
260 | ▼a 서울 : ▼b 태학사 , ▼c 2001. | |
300 | ▼a 252 p. ; ▼c 23 cm.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95 2001a | 등록번호 1111864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95 2001a | 등록번호 1111864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 청구기호 801.95 2001a | 등록번호 1111864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01.95 2001a | 등록번호 1511186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01.95 2001a | 등록번호 1511186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95 2001a | 등록번호 1111864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95 2001a | 등록번호 1111864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 청구기호 801.95 2001a | 등록번호 1111864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01.95 2001a | 등록번호 1511186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01.95 2001a | 등록번호 1511186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승훈(지은이)
1942년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했다. 1962년 4월 박목월 시인의 추천을 받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현대시≫ 동인으로 1972년까지 활동했다. 1968년 한양대 대학원 국문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2년 연세대 대학원 국문과 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박사 과정 중이던 1980년에는 한양대 인문대 국문과 조교수로 부임했고, 부교수, 교수를 지냈다. 1989년 고려원에서 시 전문 계간지 ≪현대시사상≫을 창간해 10년 동안 주간을 맡았다. 1998년 시 전문 계간지 ≪시와 반시≫ 편집자문위원을, 1999년 월간 ≪현대시≫ 추천심의위원을, 2003년 시 전문 계간지 ≪시와 세계≫ 편집자문위원을 지냈다. 2008년 2월 한양대 인문대 국문과 교수 정년퇴임을 했고 현재는 한양대 명예교수다. 1972년 강원도문화상, 1984년 현대문학상, 1986년 한국시협상, 2004년 시와시학상, 2004년 백남학술상, 2007년 김삿갓문학상, 2007년 제1회 심연수문학상, 2008년 제1회 이상시문학상, 2008년 제1회 김준오시학상, 2013년 불교문학상을 수상했다. 2018년 1월 향년 7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4 제1장 신비평 1. 역사적 배경 = 9 2. 신비평의 출발 = 13 3. 신비평의 원리 = 15 4. 신비평의 중심 개념 = 19 5. 방법론 = 21 6. 한국적 수용 = 24 7. 신비평의 문제점 = 27 제2장 러시아 형식주의 1. 역사적 배경 = 35 2. 중심 개념 = 40 3. 형식주의의 두 국면 = 47 4. 후기의 중심 개념 = 48 5. 형식주의 비평의 보기 = 52 6. 형식주의 비판 = 54 7. 다른 학파들의 관계 = 57 제3장 구조주의 1. 역사적 배경 = 61 2. 소쉬르의 언어학 = 64 3. 구조주의의 양상 = 73 4. 한국적 수용 = 88 5. 방법론 = 91 6. 후기구조주의 = 92 제4장 해체주의 1. 역사적 배경 = 97 2. 데리다의 형이상학 비판 = 99 3. 데리다의 소쉬르 비판 = 102 4. 방법론 = 107 5. 고유성 법칙 = 113 6. 미국 해체주의 = 117 7. 한국적 수용 = 127 8. 해체적 읽기 = 130 제5장 정신분석 비평 1. 역사적 배경 = 135 2. 정신분석과 비평 = 143 3. 라캉 : 구조적 정신분석 = 152 4. 정신분석과 문화비평 = 157 5. 방법론 = 158 6. 한국적 수용 = 163 제6장 페미니즘 1. 영미 페미니즘 = 171 2. 프랑스 페미니즘 = 180 3. 한국 페미니즘 문제 = 191 4. 방법론 = 194 제7장 마르크스주의 1. 역사적 배경 = 201 2. 막시스트 문학 이론 = 205 3. 최근의 막시즘 이론 = 221 4. 방법론 = 224 5. 한국적 수용 = 226 제8장 독자반응 비평 1. 수용 미학 = 235 2. 독자반응 비평 = 239 3. 방법론 = 246 4. 한국의 독자반응 비평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