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국민소득결정 이론
제1장 거시경제학 입문
제1절 거시경제학의 주요 문제 = 19
제2절 주요 거시경제 변수 = 20
2.1 총생산을 나타내는 집계변수 종류 = 21
1. 최근 GDP가 GNP에 비하여 더 많이 쓰이는 이유는? = 21
2. GNI = 22
3. 잠재적 산출량 = 24
2.2 총생산 측정과 관련된 새로운 이슈들 = 25
1. 정보통신기술 영향으로 전통적인 GDP측정법이 달라져야 한다 = 25
2. 지하경제의 규모는? = 26
3. 고용과 산출량간의 상관관계가 점차 약화되고 있다 = 27
2.3 물가지수 = 28
1. 물가지수가 과대 측정되지 않았는가? = 28
2. 근원인플레이션 = 28
제3절 거시경제학의 체계 = 29
3.1 거시경제학 태동배경 = 29
1. 대공황 = 29
2. 케인즈 경제학의 등장 = 30
3. 거시경제학의 커다란 두 조류: 고전학파이론 대 케인즈이론 = 31
3.2 거시경제학의 이론적 체계 = 34
1. 소득결정이론 = 34
2. 경제안정화 정책: 재정 및 금융정책 = 35
3. 총수요(AD) 총공급(AS) 개념 = 35
4. 경기변동 및 경제성장 = 37
사례연구 1 = 38
요약정리 = 39
제2장 국민소득결정의 장기모형Ⅰ: 솔로우 모형
제1절 경제성장의 특징적 현상 = 41
제2절 솔로우의 기본모형 = 44
2.1 솔로우모형의 기본방정식 = 44
2.2 솔로우모형의 동태적 균형 = 46
2.3 동태적 균형의 이동 = 48
1. 저축률의 증가 = 49
2. 인구증가율의 상승 = 52
제3절 기술진보와 솔로우 모형 = 53
3.1 기술진보와 생산함수 = 53
3.2 기술진보를 고려한 동태적 균형 = 54
제4절 성장요인의 회계적 분석과 시사점 = 56
4.1 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 = 56
4.2 성장촉진정책 = 58
1. 자본축적 촉진정책 = 58
2. 기술진보 촉진정책 = 59
사례연구 2 = 59
요약정리 = 61
제3장 국민소득결정의 장기모형Ⅱ: 내생적 성장이론
제1절 AK 모형 = 64
1.1 기술진보의 내생화와 규모에 대한 수확체증 = 65
1.2 외부효과와 AK모형 = 66
제2절 수렴현상 = 70
2.1 신고전학파의 수렴가설 = 71
2.2 내생적 성장이론의 수렴가설 = 73
제3절 외국자본의 도입과 경제성장 = 73
3.1 국내저축의 부족과 외국자본의 도입 = 73
3.2 체화기술의 수입과 기술진보 = 74
사례연구 3 = 75
요약정리 = 76
제4장 국민소득결정의 단기모형Ⅰ : 총수요Ⅰ
제1절 소득순환모형의 이해 = 78
4.1 소득순환모형 = 78
4.2 디지털경제하의 소득순환모형 = 83
제2절 주입과 누출 = 85
제3절 케인즈 소득결정 모형 = 88
3.1 총수요와 균형국민소득 결정 = 88
1. 총수요의 기능 및 구성 = 88
2. 균형국민소득결정 이론 = 89
3.2 소비, 투자 = 91
1. 소비 = 91
2. 투자수요 = 93
3.3 승수효과 = 95
제4절 케인지언이론과 고전학파이론의 비교 = 98
4.1 이론적인 측면: 가격의 경직성 논란 = 98
4.2 정책적인 측면: 준칙 대 재량정책 논쟁 = 99
사례연구 4 = 101
요약정리 = 102
제5장 국민소득결정의 단기모형Ⅱ: 총수요Ⅱ
제1절 생산물시장 균형과 IS곡선 = 104
1.1 계획된 지출 = 104
1.2 IS곡선 도출 : 균형국민소득결정 모형을 통하여 = 105
1. IS곡선 도출 = 105
2. IS곡선의 특징 = 107
3. 폐쇄경제와 개방경제에서의 IS곡선의 기울기 차이 = 108
1.3 IS곡선의 이동 = 110
제2절 화폐시장 균형과 LM곡선 = 112
2.1 화폐시장의 균형 = 113
2.2 LM곡선 도출 = 115
1. LM곡선 기울기 = 116
2. LM곡선의 이동 = 118
제3절 IS-LM 동시균형과 재정-금융정책 효과 = 119
3.1 IS-LM 동시균형 = 119
3.2 재정정책의 효과 = 120
3.3 금융정책효과 = 124
제4절 총수요(AD)곡선 도출과 총수요 관리정책 = 126
4.1 총수요곡선 도출 = 126
4.2 총수요 관리정책 = 128
제5절 정보통신기술(IT)과 총수요충격 = 130
5.1 생산물시장에 미치는 영향 = 130
5.2 화폐시장에 미치는 영향 = 132
사례연구 5 = 134
요약정리 = 135
제2편 경제안정화 정책
제6장 총공급(AS)
제1절 총공급과 노동시장 = 139
1.1 총공급곡선의 역할 = 139
1.2 총공급곡선과 노동시장 = 140
1. 노동수요곡선 도출 = 141
2. 노동공급곡선 도출 = 142
제2절 총공급곡선(AS) : 단기, 장기 유형 = 145
2.1 수직 총공급곡선 = 145
2.2 수평적인 총공급곡선 = 147
제3절 총공급함수의 4가지 모형 = 149
3.1 비신축적 임금모형(sticky wage model) = 149
3.2 노동자 오인모형(Worker-Misperception Model): 비대칭 정보모형 = 152
3.3 불완전 정보모형(Imperfect Information Model): 루카스 공급함수 = 154
3.4 비신축적 가격모형(sticky price model) = 156
3.5 총공급함수의 국제비교 = 159
제4절 총공급충격(aggregate supply shock) = 160
4.1 부정적인 총공급충격 : 오일쇼크 충격 = 160
4.2 긍정적인 총공급충격 : 디지털경제 충격 = 162
사례연구 6 = 165
요약정리 = 166
부록 : 임금 및 가격경직성에 대한 미시론적인 설명 = 167
제7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제1절 실업 = 173
1.1 실업의 경제적 의미 및 개념 = 173
1.2 한국의 실업률 통계분석 = 174
1.3 자연실업률 = 176
1.4 정보통신기술(IT)과 실업 = 178
제2절 인플레이션 = 179
2.1 화폐와 인플레이션 = 180
1. 화폐수량설 = 180
2. 화폐의 유통속도 = 181
2.2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182
2.3 정보통신기술(IT)과 인플레이션 = 183
제3절 실업과 인플레이션 관계 : 필립스 곡선 = 186
3.1 전통적 필립스곡선과 거시정책 함의 = 186
1. 필립스곡선 = 186
2. 희생률(sacrifice ratio) = 187
3. 스태그플레이션과 필립스곡선 = 188
3.2 필립스곡선과 총공급함수와 상호관계 = 190
1. 기대첨가 필립스곡선 = 190
2. 필립스곡선의 동태적 조정과정 = 191
제4절 자연실업률에 대한 새로운 도전 = 193
4.1 필립스곡선과 신경제 = 193
4.2 이력가설(hysteresis hypothesis) = 195
사례연구 7 = 198
요약정리 = 199
부록 : 기대이론 = 201
제8장 경제안정화 정책
제1절 총수요-총공급 동시균형 = 205
1.1 총수요-총공급의 동시균형 = 205
1.2 경제안정화 정책 = 206
1. 총수요안정화 정책 = 206
2. 총공급안정화 정책 = 206
1.3 경제안정화 정책에 대한 두 견해 = 209
제2절 총수요관리 안정화 정책 = 210
2.1 통화정책을 통한 안정화 정책 = 210
1. 통화공급 증대를 통한 총수요확대 정책 = 210
2. 유동성함정과 통화정책 효과 = 212
2.2 재정정책을 통한 안정화 정책 = 213
1. 적자재정을 통한 확대수요정책 = 213
2. 구축효과와 재정정책효과 = 215
2.3 합리적 기대와 통화정책의 무력성 = 216
2.4 합리적 기대와 재정정책 무력성 = 217
제3절 준칙 대 재량정책(Rule vs Discretion) = 219
3.1 준칙 대 재량정책 논쟁 = 219
3.2 재량정책의 쟁점 = 220
1. 시차문제 = 220
2. 루카스 비판 = 223
3.3 준칙주의 정책 = 224
1. 통화준칙주의 = 224
2. 재정준칙주의 = 226
제4절 경제안정화 정책의 한계점 = 227
4.1 준칙 및 재량정책의 한계점 = 227
4.2 정책의 신뢰성과 시간불일치 문제 = 228
1. 정책의 신뢰성 문제 = 228
2. 시간불일치 문제 = 229
4.3 개방화 및 정보화가 안정화 정책에 미치는 영향 = 231
사례연구 8 = 233
요약정리 = 233
부록 = 236
제9장 정부의 경제활동
제1절 정부의 재정조달방법과 경제활동 = 238
1.1 정부의 재정조달방법 = 238
1. 조세 = 239
2. 국채발행 = 240
3. 차입금 = 241
1.2 정부재정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 242
1. 조세가 소비·투자에 미치는 영향 = 242
2. 조세가 노동 및 총공급에 미치는 영향 = 245
3. 국채발행이 투자·소비에 미치는 영향 = 246
4. 재정적자와 인플레이션 : 시뇨리지(seignorage) = 248
제2절 정부부채가 경제에 미치는 효과 논쟁 = 249
2.1 전통적인 견해 = 249
2.2 리카디안 등가정리(Ricardian Equivalence) = 251
2.3 균형예산에 대한 논란 = 254
제3절 정부부채측정과 적정재정규모 = 255
3.1 측정과 관련된 문제들 = 255
3.2 적정재정규모에 대한 논쟁 = 257
사례연구 9 = 259
요약정리 = 260
부록 1 :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리카디안 등가정리실험 = 261
부록 2 : 우리나라의 예산체계 = 263
제3편 개방경제 모형
제10장 경제개방화와 환율
제1절 재화 및 자본의 국제적 이동 = 267
1.1 상품시장의 개발 = 268
1.2 금융시장의 개방 = 269
제2절 국제수지의 구조 = 270
2.1 경상계정 = 270
2.2 자본계정 = 271
2.3 국제수지와 외환보유고 = 271
제3절 환율 = 273
3.1 명목환율 = 273
3.2 환율의 장기적 추세 = 274
3.3 환율의 단기적 변동 = 276
3.4 실질환율 = 279
3.5 실질실효환율 = 281
제4절 환율제도 = 282
4.1 고정환율제도 = 282
4.2 자유변동환율제도 = 283
사례연구 10 = 285
요약정리 = 286
제11장 상품시장의 개방과 균형
제1절 개방경제하의 상품시장의 균형 = 289
1.1 국내상품에 대한 수요 = 290
1.2 총수요의 결정요인 = 290
1. 재화에 대한 국내수요 = 291
2. 수입 = 291
3. 수출 = 292
4. 순수출 = 292
1.3 개방경제하의 총지출곡선 = 292
1.4 상품시장의 균형 = 294
제2절 수요의 변화와 균형의 이동 = 296
2.1 정부지출의 증가 = 296
2.2 해외수요의 증가 = 299
2.3 정책결정의 국가간 상호의존성 = 301
제3절 실질환율상승, 무역수지와 소득간의 관계 = 303
3.1 실질환율의 변화와 무역수지 = 303
3.2 실질환율상승의 전반적 효과 = 304
3.3 환율상승의 동태적 분석 : J커브 효과 = 306
제4절 저축, 투자 및 무역수지 적자간의 관계 = 308
사례연구 11 = 310
요약정리 = 311
제12장 상품시장 및 금융시장의 개방과 균형
제1절 상품시장의 균형 = 313
제2절 자본의 국제적 이동과 국제수지 = 316
2.1 이자율과 자본의 이동 = 316
2.2 국제수지균형곡선의 도출 = 318
제3절 개방소국경제모형 : 먼델-플레밍 모형 = 320
3.1 고정환율제도하에서의 정책변화의 파급효과 =321
1.통화정책 = 322
2. 재정정책 = 323
3. 평가절하 = 324
3.2 변동환율제도하에서의 정책변화의 파급효과 = 325
1. 통화정책 = 326
2. 재정정책 = 327
3. 해외소득의 증가 = 329
제4절 개방대국경제 모형 = 329
4.1 고정환율제도하에서의 정책변화의 파급효과 = 330
4.2 변동환율제도하에서의 정책변화의 파급효과 = 331
사례연구 12 = 333
요약정리 = 334
제4편 거시경제학의 미시경제적 기초
제13장 소비함수의 재조명
제1절 케인즈 소비이론의 문제점 = 340
제2절 미래지향적 소비이론 = 341
2.1 생애주기이론 = 342
2.2 항상소득가설 = 345
제3절 미래의 불확실성과 소비행위 = 347
3.1 합리적기대가설에 따른 소비이론 = 348
3.2 미래지향적 소비이론과 유동성 제약 = 349
제4절 이자율, 소비 및 저축간의 관계 = 350
사례연구 13 = 352
요약정리 = 353
제14장 투자수요의 결정요인
제1절 투자수요의 미시경제학적 기초 = 356
1.1 적정자본의 결정 = 357
1.2 투자함수의 도출 = 361
제2절 정부정책과 투자 = 362
2.1 재정정책 = 363
2.2 통화정책 = 365
제3절 신용할당과 유동성 제약 = 365
제4절 대안적 투자결정이론 = 367
4.1 순현재가치법 = 367
4.2 내부수익률법 = 368
4.3 토빈의 q이론 = 369
사례연구 14 = 371
요약정리 = 373
제15장 화폐의 수요와 공급
제1절 화폐의 정의 = 375
1.1 화페의 이론적 정의 = 375
1.2 화페의 제도적 정의 = 377
제2절 화폐의 수요 = 379
2.1 고전학파의 화폐수요이론 = 380
2.2 케인즈의 이론과 그 이후의 관련이론 = 383
1. 재고이론적 접근 = 385
2. 자산선택이론 = 389
2.3 금융혁신과 화폐수요의 불안정성 = 390
2.4 전자화폐의 등장과 화폐수요 = 392
제3절 화폐의 공급 = 393
3.1 통화공급의 결정과정과 통화승수 = 393
3.2 통화량의 조절수단 = 396
1. 공개시장조작 = 396
2. 재할인율정책 = 397
3. 지급준비율정책 = 398
3.3 통화정책의 중간목표 선정 = 398
3.4 중앙은행의 독립과 통화정책의 성과 = 404
사례연구 15 = 405
요약정리 = 407
제16장 최근 거시경제학의 흐름
제1절 새고전학파(New Classical Macroeconomics) = 409
1.1 새고전학파의 탄생배경 및 기본사상 = 409
1.2 주요 내용 및 정책적 시사점 = 411
1. 루카스 비판 = 411
2. 정책무력성 명제 = 412
3. 불완전한 정보가 미치는 영향 = 412
4. 작은 정부와 준칙정책 선호 = 414
제2절 새케인즈학파(New Keynesian Macroeconomics) = 415
2.1 케인즈이론 재구성 = 415
2.2 주요 내용 및 정책적 시사점 = 416
1. 임금의 경직성 = 416
2. 가격의 경직성 = 417
3. 시장실패시 조정·개입 = 417
제3절 균형경기변동이론 = 418
3.1 균형경기변동이론이란? = 418
3.2 화폐적 균형경기변동 이론 = 419
3.3 실물적 균형경기변동 이론 = 421
3.4 디지털충격과 경기변동 = 423
제4절 개방화 영향 = 424
4.1 상호의존성과 국내정책의 독립성 제약 = 424
4.2 동조화 현상 = 425
4.3 불안정성 및 불확실성 증대 = 426
제5절 디지털경제와 거시경제학과의 관계 = 427
5.1 신경제논쟁 = 427
5.2 정보통신기술과 거시경제학과의 관계 = 429
1. 생산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 429
2. 물가에 미치는 영향 = 430
3. 고용에 미친 영향 = 431
4. 경기변동과의 관계 = 431
요약정리 = 432
부록 = 434
참고문헌 = 437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