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성찰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성찰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8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형준
서명 / 저자사항
성찰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 박형준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의암출판 ,   2001.  
형태사항
370 p. : 삽도 ; 23 cm.
ISBN
8974726025 :
000 00548namccc200193 k 4500
001 000000707755
005 20100807120828
007 ta
008 010608s2001 ulka 000a kor
020 ▼a 8974726025 : ▼c \1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79608 ▼f 개가 ▼l 111179609 ▼f 개가 ▼l 111179610 ▼f 개가
082 0 4 ▼a 303.4 ▼2 21
090 ▼a 303.4 ▼b 2001
100 1 ▼a 박형준 ▼0 AUTH(211009)67631
245 1 0 ▼a 성찰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 ▼d 박형준 지음.
260 ▼a 서울 : ▼b 의암출판 , ▼c 2001.
300 ▼a 370 p. : ▼b 삽도 ; ▼c 23 c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 2001 등록번호 1111796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 2001 등록번호 1111796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 2001 등록번호 1111796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03.4 2001 등록번호 1511042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 2001 등록번호 1111796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 2001 등록번호 1111796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 2001 등록번호 1111796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03.4 2001 등록번호 1511042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형준(지은이)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지방분권부산운동본부 공동집행위원장이다. 지은 책으로 <성찰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5
서장 성찰성의 사회학과 성찰적 시민사회 = 11
   1. 성찰성의 사회학 = 11
   2. 성찰적 시민사회 = 19
   3. 시민 삶의 세 가지 계기 = 23
 제1부 성찰적 시민사회를 위하여 - 이론적 논의
  시민사회론의 이론적 역사적 지위 = 33
   1. 왜 다시 시민사회론인가? = 33
   2. 시민사회, 역사와 개념 = 35
   3.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그리고 시민사회 = 55
  민주주의 이론과 다원적 참여민주주의 = 74
   1. 머리말 = 74
   2. 근대 민주주의의 특수성 = 75
   3. 민주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적 해석과 마르크스주의적 해석의 한계 = 81
   4. 대의제 민주주의를 둘러싼 쟁점들 = 86
   5. 시민권의 문제 = 93
   6. 맺음말 = 97
  구조화 이론과 현대성의 해명 = 101
   1. 머리말 = 101
   2.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그리고 구조화이론 = 102
   3. 구조화이론과 현대성 = 118
   4. 맺음말 = 126
  욕망체계와 사회운동의 패러다임 = 130
   1. 노동사회에서 문학사회로의 이행? = 130
   2. 사회운동의 새로운 패러다임 = 136
   3. 노동운동과 새로운 사회운동의 관계 = 146
  성적 욕망과 자아, 그리고 친밀성의 논리 = 152
   1. 성적 욕망이라는 주제 = 152
   2. 근대적 성의 이중성 = 156
   3. 섹스와 거짓말의 상동성 = 161
   4. 성적 욕망과 친밀성(intimacy)의 논리 = 164
   5. 맺음말 - 포르노와 사적 생활의 민주화 사이의 거리 = 171
 제2부 한국의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국의 시민운동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79
   1. 90년대 한국 사회의 변동과 시민사회 = 180
   2. 90년대 시민운동의 사회학적 특성 = 187
   3. 주도적 시민운동의 사회정치적 특성 = 193
   4. 시민운동의 방향 모색 - 대중동원주의에서 대안적 참여주의로 = 201
  민주화, 권력의 재구조화, 그리고 성찰적 시민사회 = 211
   1. 시민사회 연구의 도달 지점 = 211
   2. 민주화와 개인주의화 = 216
   3. 민주화와 권력의 재구조화 = 225
   4. 성찰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의역할 = 237
  위기 시대의 시민 삶 읽기 = 247
   1. 위기의 의미 = 247
   2. 위기는 어디에서 오는가? - 위기의 성격진단 = 251
   3. 삶의 전략과 정치의 역할 = 259
  새로운 사회운동과 경실련 = 268
   1. 문제의 제기 = 268
   2. 구성주의적 관점과 경실련 운동 = 271
   3. 복합체계에서의 사회운동 - 메시지로서의 사회운동 = 280
   4. 네트워크 운동 - 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운동주체 형성 = 287
   5. 맺음말 = 296
  1980년대의 사회운동과 그 전환에 대하여 = 301
   1. 분석의 시각 = 301
   2. 사회운동의 이념, 가치, 이슈 = 305
   3. 행위자의 성격과 행위양식 = 310
   4. 갈등해결의 제도형태 = 317
   5. 맺음말 = 322
  지역정체성과 지역민주주의 = 326
   1. '늦깍이' 지방자치의 성과와 한계 = 326
   2. 부산의 지역적 정체성과 창조적 지역주의의 필요성 = 331
   3. 창조적 지역주의의 방법론 - 네트워크 구축 전략과 대화민주주의 = 336
  시민사회론적 관점에서 본 일본의 시민운동 = 345
   1. 일본 시민사회론 재활성화의 역사적 맥락 = 345
   2. 현대 일본의 주민운동과 시민운동 - 역사적 전개 = 348
   3. 일본 시민운동의 현단계 유형과 시민운동의 전망 = 361
   4. 맺음말 = 368


관련분야 신착자료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