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ⅲ
제1장 번역과 번역학 = 1
1. 번역의 정의 = 4
2. 번역과 언어학 = 7
3. 번역학의 태동 = 11
4. 번역학의 성격 = 18
4-1. 학제적 성격의 번역학 = 18
4-2. 실천학문으로서의 번역학 = 23
5. 번역 연구의 틀과 방향 = 25
제2장 번역에 대한 일반적 논의 = 35
1. 번역의 매개변수 = 35
1-1. 텍스트의 유형 = 35
1-2. 번역가에게 요구되는 능력 = 39
2. 텍스트의 이해 = 41
2-1. 이해의 절대성과 상대성 = 42
2-2. 이해의 매개변수 = 45
2-3. 해석의 문제점 = 52
2-3-1. 언어적 문맥 = 52
2-3-1-1. 단어의 층위 = 53
2-3-1-2. 문장의 층위 = 56
2-3-1-3. 문체의 층의 = 62
2-3-2. 문화적 문맥 = 67
2-3-3. 시간의 차이 = 76
3. 재현 = 79
3-1. 언어의 형태적 제약 = 80
3-2. 언어 위상의 문제 = 82
3-2-1. 방언의 번역 = 84
3-2-2. 고유 어법의 번역 = 86
3-3. 재현 방식의 기술적(記述的)분류 = 90
3-4. 체계적 변형 = 94
3-4-1. 어휘의 변형 = 95
3-4-2. 문장의 변형 = 105
3-5. 번역본의 위상 = 111
제3장 문학 텍스트의 번역 = 113
1. 문학 텍스트 번역의 특수성 = 113
1-1. 문학 담론의 언어와 일상적 담론의 언어 = 116
1-2. 문학 텍스트의 특성 = 118
2. 문학 텍스트 번역 방법론의 사적 고찰 = 121
2-1. 직역 = 124
2-2. 의역 = 139
2-3. 직역과 의역의 인식론적 차이 = 156
3. 문학 장르에 따른 번역의 문제점들 = 160
3-1. 시의 번역 = 160
3-2. 소설의 번역 = 166
3-3. 희곡의 번역 = 172
4. 소설 번역의 매개변수 = 175
4-1. 인물의 성격과 어법 = 176
4-2. 논리적 전개와 시간 = 182
4-3. 이미지 언어의 번역 = 186
제4장 번역본의 검토 : 『이방인』에 나타나는 까뮈 문체의 몇몇 특성 = 193
1. 자유간접화법의 번역 = 197
2. 대화의 번역-직접화법 = 204
3. 의미 전달의 변형과 효과 = 211
4. 문체의 특성과 이질성 = 221
5. 시간상의 차이 = 225
제5장 맺는 말 = 231
참고문헌 = 235
찾아보기 =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