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7
제1장 한국의 사회합의제도와 참여민주주의 / 김호진 = 27
1. 한국의 합의 모형 - 이념과 기능 = 27
2. 노사정 대타협과 경제회생 = 29
3. 21세기의 노사관계 어떻게 돼야 하나 = 32
4. 갈등을 넘어 = 41
제2장 한국민주화와 사회합의주의 / 임혁백 = 45
1. 김대중 정부의 출범과 한국 사회합의주의의 생성 = 45
2. 한국 사회합의주의의 전통 - DJ 노동철학의 원류 = 48
3. 권위주의에서의 한국 사회합의주의의 구상 - DJ 노동철학의 준비 = 51
4. 대중참여 민주주의와 협력적 노사정관계의 제안 - DJ 노동철학의 형성 = 59
5. 김대중 정부의 등장과 한국형 사회합의주의의 제도화 - DJ 노동철학의 실현 = 67
제3장 민주주의와 사회합의주의 / 강명세 = 73
1. 민주주의와 사회합의주의 = 73
2. 거시적 사회합의주의의 발전과 퇴조 = 80
3. 세계화와 공급주의 사회합의주의의 등장 = 90
4. 민주주의의 승리와 사회합의주의 = 95
제4장 유럽의 사회합의제도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안두순 = 99
1. 유럽의 사회합의제도 개관 = 99
2. 네덜란드의 폴더모형과 그 성과 = 102
3. 덴마크의 경쟁력제고를 위한 사회협약 = 110
4. 독일의 고용을 위한 연대 = 118
5. 유럽의 경험과 한국의 노사관계에 주는 교훈 = 123
제5장 한국 사회합의제도의 사회경제적 기반 / 마인섭 = 137
1. 민주주의, 경제발전 그리고 사회합의제도 = 137
2. 구조주의 시각에서 본 사회합의의 조건 = 140
3. 한국 사회합의주의의 구조적 한계 = 144
4. 한국 사회합의주의의 발전을 위한 대안 - 노동을 중심으로 = 157
5. 결론 - 참여와 발전을 위한 정치적 대안 = 166
제6장 사회합의주의와 한국의 발전모델 / 김균 = 169
1. 노사정위원회 - 위기관리의 방편인가, 사회합의주의의 출발인가? = 169
2. 한국의 발전모델의 역사적 변모 = 172
3. IMF위기 이후 경제개혁의 성과와 과제 = 176
4. 사회합의주의와 시장주의 = 183
제7장 한국에서의 사회합의주의 실험 : 새로운 노동정치 패러다임을 향하여 / 김장호 = 187
1. 새로운 노사관계 패러다임과 사회합의주의 = 187
2. 사회합의주의의 모색과 전개 = 192
3. 경제위기와 사회합의주의의 본격적 실험 = 201
4. 사회합의제의 법제화와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 = 217
5. 평가와 교훈 = 221
제8장 사회합의주의와 생산적 복지제도 / 최경구 = 225
1. 머리말 = 225
2. 사회합의주의와 생산적 복지 = 227
3. 한국사회복지의 과거 - 비생산적 복지 = 236
4. DJ의 생산적 복지 - 민주적, 실용적, 인도적 복지 = 244
5. 맺는말 = 254
제9장 한국 노사정위원회의 구조와 과정 / 선한승 = 257
1. 들어가는 글 = 257
2. 노사정위원회제도의 민주적 구조와 과정 = 259
3. 한국 노사정위원회의 구조적 특성 = 267
4. 한국 노사정위의 운영과 발전조건 = 275
5. 향후 발전방향 = 281
제10장 세계화와 사회적 합의 : 한국적 의미 / 송호근 = 283
1. 위기관리정치로서의 사회적 합의 = 283
2. '제2차 대변혁' - 세계화와 그 충격 = 289
3. 사회정책의 변화와 사회협약 = 293
4. '제2차 사회적 합의'를 향하여 - 세계화와 한국 = 305
제11장 21세기 국가발전전략과 노사정위원회의 발전방향 / 이원덕 = 311
1. 들어가는 말 = 311
2. 사회적 합의주의의 필요성과 성공조건 = 312
3. 사회적 합의주의 위한 노사관계의 재설계 = 317
4. 노사정위원회의 성격 및 그간의 활동 = 322
5. 노사정위원회의 발전방향 = 326
6. 맺는말 - '21세기를 향한 신사회협약' = 332
참고문헌 = 335
필자소개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