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80namcc2200205 c 4500 | |
001 | 000000706486 | |
005 | 20101120170648 | |
007 | ta | |
008 | 010529s2001 ulk 000c kor | |
020 | ▼a 8909066814 ▼g 93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85839 ▼f 개가 ▼l 111185840 ▼f 개가 ▼l 111185841 ▼f 개가 |
082 | 0 4 | ▼a 028.5 ▼2 22 |
085 | ▼a 028.5 ▼2 DDCK | |
090 | ▼a 028.5 ▼b 2001 | |
245 | 2 0 | ▼a (과정 중심) 독서지도 / ▼d 한철우 [외] |
260 | ▼a 서울 : ▼b 교학사, ▼c 2001 | |
300 | ▼a 471 p. ; ▼c 26 cm | |
700 | 1 | ▼a 한철우, ▼e 저 ▼0 AUTH(211009)65956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5 2001 | 등록번호 11118583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5 2001 | 등록번호 1111858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5 2001 | 등록번호 1111858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028.5 2001 | 등록번호 1511209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028.5 2001 | 등록번호 1511209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5 2001 | 등록번호 11118583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5 2001 | 등록번호 1111858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5 2001 | 등록번호 1111858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028.5 2001 | 등록번호 1511209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028.5 2001 | 등록번호 1511209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명순(지은이)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다. 영남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로 있다.
한철우(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및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2012년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국어과 교수 - 학습론>, <국어교육학 원론> 등이 있다.
박진용(지은이)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다. 강원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로 있다.
박영민(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국어과교육과정, 쓰기 지도 방법, 쓰기 평가 방법에 관심을 두고 공부하고 있으며, 공저로 ≪쓰기 지도 방법≫(역락), ≪작문교육론≫(역락), ≪독서교육론≫(사회평론), 공역으로 ≪작문 교육 연구의 주제와 방법≫(박이정) 등의 논저가 있다.

목차
목차 제1부 독서 지도의 원리 제1장 어휘의 이해 = 8 1. 어휘력과 읽기 = 8 2. 어휘 지도의 목표와 내용 = 10 3. 어휘 지도의 원리 = 12 4. 어휘 지도 방법 = 15 제2장 배경 지식의 활성화 = 18 1. 스키마의 개념과 종류 = 18 2. 스키마의 특성과 기능 = 19 3. 스키마 이론의 시사점 = 22 4. 스키마 활성화 방법 = 25 제3장 읽기 동기의 유발 = 32 1. 읽기와 동기 유발 = 32 2. 동기 유발의 심리적 요인 = 33 3. 동기 유발과 읽기 = 42 제4장 비유어의 이해 = 44 1. 비유의 본질 = 44 2. 비유어와 독해 = 45 3. 비유어 지도의 원리와 방법 = 47 제5장 추론하며 읽기 = 50 1. 추론과 독해 = 50 2. 추론의 유형 = 53 3. 추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5 제6장 중심 생각의 파악 = 60 1. 독해와 중심 생각 = 60 2. 중심 생각의 개념 = 61 3. 중심 생각 찾기 방법 = 64 제7장 내용의 요약 = 68 1. 요약과 독해 = 68 2. 요약 규칙 = 69 3. 요약하기 방법 = 72 제8장 글 구조의 이해 = 81 1. 텍스트의 개념 = 81 2. 텍스트의 유형 = 82 3. 텍스트의 표현 구조 = 84 4. 텍스트의 의미 구조 = 86 제9장 내용의 예측 = 92 1. 내용 예측과 능동적 독서 = 92 2. 내용 예측하기 전략 = 93 3, 내용 예측하기 지도 = 95 제10장 비판하며 읽기 = 100 1. 사고 발달과 언어 사용 = 100 2. 비판적 사고와 비판적 읽기 = 102 3. 비판적 읽기 지도 요소 = 106 제11장 창의적으로 읽기 = 109 1. 창의적 사고의 특성 = 109 2. 창의적 사고와 읽기 = 113 3. 창의적 읽기의 개념 = 115 4. 창의적 읽기의 원리와 방법 = 117 제12장 컴퓨터와 독서 지도 = 125 1. 컴퓨터 보조 학습(CAI)과 교수-학습 = 125 2. 컴퓨터와 국어과 교수-학습 = 134 3. 컴퓨터와 읽기 지도 = 137 제13장 읽기와 쓰기 = 142 1. 통합 언어(Whole language) 교육 = 142 2. 읽기와 쓰기의 관련성 = 147 3. 설명적 글의 읽기와 쓰기 = 152 참고 문헌 = 164 제2부 독서 지도의 실제 제1장 어휘 지도 = 184 1. 일반적인 어휘 지도하기 = 184 2. 문맥 단서 사용 지도하기 = 191 3. 접사 사용 지도하기 = 192 4. 내용 교과 어휘 지도하기 = 194 제2장 배경 지식 활성화하기 = 199 1. 배경 지식 세우기 = 199 2. 배경 지식 활성화하기 = 210 제3장 동기 유발 = 226 1. 독서의 유용성 = 226 2. 독서의 재음미 = 233 3. 독서와 의사 소통 = 238 4. 부모 참여하기 = 240 제4장 어구 나누기 = 242 1. 어구 단위로 읽기 = 242 2. 어구 확인하기 = 243 3. 어구와 문장 만들기 = 246 4. 소리 내어 읽기 = 249 제5장 주요 항목 추출하기 = 256 1. 문장에서 기억해야 할 항목 찾아 내기 = 256 2. 글 속에서 기억해야 할 항목 찾아 내기 = 265 제6장 비유 언어 이해하기 = 269 1. 비유적인 언어 익히기 = 269 2. 연습 활동 = 275 제7장 대용어 이해하기 = 280 1. 대용어 확인을 위한 기초 지도 = 280 2. 대용어 확인하기 = 282 3. 대용어 사용하기 = 288 제8장 문장 연결하기 = 291 1. 명시적 연결어와 함축적 연결어 이해하기 = 291 2. 연결어 제공하기 = 296 제9장 추론하기 = 306 1. 일반적인 추론 인식하기 = 306 2. 이야기에서 인물, 구성, 배경 추론하기 = 310 제10장 중심 생각 찾기 = 318 1. 어휘 범주화하기 = 318 2. 중요하지 않은 정보 삭제하기 = 324 3. 중심 생각 선정하기 = 327 4, 중심 생각 창조하기 = 334 제11장 요약하기 = 337 1. 요약 인식하기 = 337 2. 요약문 작성하기 = 342 제12장 구조 이해하기 = 351 1. 이야기 = 351 2. 설명적인 글 = 364 제13장 예측하기 = 373 1. 단어 예측하기 = 373 2. 이어질 내용 예측하기 = 379 제14장 배경 지식 활용하기 = 395 1. 직접 교수 = 395 2. 안내된 읽기 = 402 제15장 상상하기 = 419 1. 직접 교수 = 419 2. 그리기와 쓰기 = 421 제16장 비판하며 읽기 = 426 1. 저자의 신뢰성에 대해 판단하기 = 426 2.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 427 3. 사실과 허구 구분하기 = 430 4. 선전 기술 발견하기 = 431 5. 주관적인 감정의 단어 발견하기 = 433 6. 저자의 어조, 목적, 관점 파악하기 = 435 7. 판단하기 전에 평가 기준 세우기 = 437 8. 종합적으로 토의하기 = 438 제17장 창의적인 읽기 = 440 1. 일반적인 연습 = 440 2. 내용 교과 읽기 = 444 제18장 독해 과정 점검하기 = 447 1. 직접 교수 = 447 2. 독해 문제의 발견과 교정 = 450 제19장 공부하기 전략 = 453 1. 교과서 읽기와 공부하기 = 453 2. 회상하기와 공부하기 = 463 3. 노트하기와 밑줄 긋기 =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