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Loan 7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석화
Title Statement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 강석화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경세원 ,   2000.  
Physical Medium
313 p. : 삽도,도판 ; 23 cm.
ISBN
898341045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291]-298)과 색인 수록
000 00609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705700
005 20100806113636
007 ta
008 010521s2000 ulkaf 001a kor
020 ▼a 8983410450 ▼g 03910 : ▼c \18000
040 ▼a 211009 ▼c 211009
049 1 ▼l 111183943 ▼f 개가 ▼l 111183944 ▼f 개가 ▼l 111183945 ▼f 개가
082 0 4 ▼a 953.92057 ▼2 21
090 ▼a 953.92057 ▼b 2000
100 1 ▼a 강석화 ▼0 AUTH(211009)49292
245 1 0 ▼a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 ▼d 강석화 지음.
260 ▼a 서울 : ▼b 경세원 , ▼c 2000.
300 ▼a 313 p. : ▼b 삽도,도판 ; ▼c 23 cm.
504 ▼a 참고문헌(p.[291]-298)과 색인 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92057 2000 Accession No. 1111839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92057 2000 Accession No. 1111839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92057 2000 Accession No. 1111839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953.92057 2000 Accession No. 1410174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강석화(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육군사관학교 사학과 교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지은 책으로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백두산> 등의 연구서가 있고, 어린이들을 위한 <한국사 읽는 어린이>를 함께 집필했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론 = 17

제1장 1712년의 조·청(朝·淸) 백두산 정계

 1. 정계의 배경 = 31

  가. 북관정비론(北關整備論)과 두만강변 개간지 확대 = 31

  나. 범월사건의 증가 = 41

 2. 조·청 백두산정계 = 48

 3. 두만강 수원(水源)의 문제와 조선의 대응 = 59

제2장 중앙정부의 함경도 개발정책

 1. 강역확보 노력 = 74

 2. 민생안정책 = 88

  가. 개시정례(開市定例)의 정비 = 88

  나. 교제창의 설치와 운영 = 96

 3. 백두산의 국가사전화(國家祀典化) = 103

 4. 왕실사적 현창사업 = 107

 5. 함경도 소개서의 증가 = 118

제3장 함경도지역의 성장

 1. 인구증가와 개간지 확대 = 130

  가. 두만강변 개간과 무산부(茂山府)의 성장 = 131

  나. 내륙지역 개발과 장진부(長津府) = 138

   (1) 장진부의 신설 = 138

   (2) 19세기 장진부의 읍세 변화 = 142

  다. 압록강변 개발과 폐사군지역의 읍치 설치 = 152

   (1) 후주지역의 개발과 후장군 설치 = 154

   (2) 자성군의 설치와 폐사군의 완전 복구 = 169

 2. 무사층과 친기위 = 179

  가. 설치경위와 편성규정 = 179

   (1) 설치경위 = 179

   (2) 편제 및 대우 = 184

  나. 체제확립과 증액과정 = 193

   (1) 증강정책의 추진 = 193

   (2) 규모확대의 의미 = 197

  다. 친기위의 허설화(虛設化) = 202

   (1) 친기위의 위상저하 = 202

   (2) 군사적 의미의 상실 = 205

 3. 함경도 문사층의 위상강화 노력 = 213

  가. 18세기말의 '문풍'(文風) 인정 = 213

  나. 19세기 함경도 유생들의 위상 강화 노력 = 226

   (1) 도과(道科)의 시행요구 = 227

   (2) 지방 명사 숭앙사업 = 229

   (3) 왕실사적 현창사업 참여 = 234

제4장 조선 후기의 북방영토의식

 1. 폐사군 복구론(廢四郡復舊論) = 240

 2. 고토수복론(故土收復論) = 247

  가. 요동수복론(僚東收復論) = 247

  나. 선춘령(先春嶺)에 대한 재인식 = 251

 3. 백두산정계 비판과 분계강론(分界江論) = 256

  가. 백두산정계에 대한 비판 = 256

  나. 분계강론(分界江論) = 261

 4. 19세기말 조·청 영토분쟁의 배경 = 269

  가. 조선의 범월방지 노력 = 269

  나. 조선인 월강 개간의 증가 = 280

결론 = 28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학호남진흥원 (2022)
홍봉한 (2022)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2022)
최보영 (2022)
김민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