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읽기교육의 이해

읽기교육의 이해 (Loan 11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천경록 이재승, 공저
Title Statement
읽기교육의 이해 / 천경록 ; 이재승 [공]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우리교육 ,   2000.  
Physical Medium
414 p. : 삽도 ; 23 cm.
ISBN
8988906586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및 색인 수록
000 00634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705444
005 20100806113152
007 ta
008 010518s2000 ulka 001a kor
020 ▼a 8988906586 ▼g 93710 : ▼c \25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85445 ▼f 개가 ▼l 111185446 ▼f 개가 ▼l 111185447 ▼f 개가
082 0 4 ▼a 372.4 ▼2 21
090 ▼a 372.4 ▼b 2000
100 1 ▼a 천경록
245 1 0 ▼a 읽기교육의 이해 / ▼d 천경록 ; ▼e 이재승 [공]지음.
260 ▼a 서울 : ▼b 우리교육 , ▼c 2000.
300 ▼a 414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 수록
700 1 ▼a 이재승, ▼e 공저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4 2000 Accession No. 1111854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4 2000 Accession No. 1111854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72.4 2000 Accession No. 11118544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정기철(지은이)

한남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읽기 교육의 원리 
  Ⅰ. 읽기의 개념 = 10 
    1. 읽기의 중요성 = 11 
    2. 읽기의 본질 = 15 
    3. 읽기의 과정 = 20 
  Ⅱ. 읽기 교육의 방법 = 31 
    1. 직접 교수법 = 33 
    2. 자기 점검 전략 = 47 
    3. 질문 생성 전략 = 53 
    4. 직접 읽기 사고 활동법 = 57 
    5. 의미 시각화법 = 64 
    6. SQ3R = 68 
    7. 총체적 접근법 = 71 
  Ⅲ. 읽기 교육 과정 = 77 
    1. 읽기 교육 과정의 성격 = 77 
    2. 교육 과정기별 읽기 영역의 변천 = 80 
    3. 교육 과정 내용의 구조화 = 107 
  Ⅳ. 읽기 평가의 원리와 방법 = 113 
    1. 읽기 평가의 문제점 = 113 
    2. 읽기 평가의 원리 = 120 
    3. 읽기 평가의 전제 = 125 
    4. 읽기 평가 방법 = 128 
제2부 읽기 교육의 변천 
  Ⅰ. 읽기 교육 연구의 개관 = 144 
  Ⅱ. 경험으로서의 읽기 교육 = 152 
    1. 연구 방법 = 153 
    2. 검토 결과 개관 = 155 
    3. 암기 모형 = 156 
    4. 연동 모형과 단계 모형 = 167 
    5. 사고 획득 모형 = 187 
    6. 요약 및 결론 = 200 
  Ⅲ. 과학으로서의 읽기 교육 = 203 
    1. 연구 방법 = 204 
    2. 연구 절차 = 206 
    3. 역사적 배경 = 206 
    4. 읽기 지도 방법 = 214 
    5. 요약 및 결론 = 229 
  Ⅳ. 읽기 교육의 경향 = 232 
    1. 읽기 교육의 경향 = 232 
    2. 읽기에 대한 관점과 그 영향 = 235 
    3. 중요 연구물 = 235 
    4. 앞으로의 방향 = 240 
제3부 읽기 교육의 전망 
  Ⅰ. 읽기 교육의 방향 = 254 
    1. 읽기 교육의 문제점 = 254 
    2. 읽기 교욱의 방향 = 263 
  Ⅱ. 읽기 교육 연구의 과제 = 280 
    1. 읽기 교육 연구의 실태 = 280 
    2. 일기 교육 연구의 과제 = 289 
부록 A 읽기 교육 연구 문헌 개관 = 324 
부록 B 읽기 교육 연구 논문 목록 = 390 
인명 색인 = 410 
내용 색인 = 41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