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읽기 교육의 원리
Ⅰ. 읽기의 개념 = 10
1. 읽기의 중요성 = 11
2. 읽기의 본질 = 15
3. 읽기의 과정 = 20
Ⅱ. 읽기 교육의 방법 = 31
1. 직접 교수법 = 33
2. 자기 점검 전략 = 47
3. 질문 생성 전략 = 53
4. 직접 읽기 사고 활동법 = 57
5. 의미 시각화법 = 64
6. SQ3R = 68
7. 총체적 접근법 = 71
Ⅲ. 읽기 교육 과정 = 77
1. 읽기 교육 과정의 성격 = 77
2. 교육 과정기별 읽기 영역의 변천 = 80
3. 교육 과정 내용의 구조화 = 107
Ⅳ. 읽기 평가의 원리와 방법 = 113
1. 읽기 평가의 문제점 = 113
2. 읽기 평가의 원리 = 120
3. 읽기 평가의 전제 = 125
4. 읽기 평가 방법 = 128
제2부 읽기 교육의 변천
Ⅰ. 읽기 교육 연구의 개관 = 144
Ⅱ. 경험으로서의 읽기 교육 = 152
1. 연구 방법 = 153
2. 검토 결과 개관 = 155
3. 암기 모형 = 156
4. 연동 모형과 단계 모형 = 167
5. 사고 획득 모형 = 187
6. 요약 및 결론 = 200
Ⅲ. 과학으로서의 읽기 교육 = 203
1. 연구 방법 = 204
2. 연구 절차 = 206
3. 역사적 배경 = 206
4. 읽기 지도 방법 = 214
5. 요약 및 결론 = 229
Ⅳ. 읽기 교육의 경향 = 232
1. 읽기 교육의 경향 = 232
2. 읽기에 대한 관점과 그 영향 = 235
3. 중요 연구물 = 235
4. 앞으로의 방향 = 240
제3부 읽기 교육의 전망
Ⅰ. 읽기 교육의 방향 = 254
1. 읽기 교육의 문제점 = 254
2. 읽기 교욱의 방향 = 263
Ⅱ. 읽기 교육 연구의 과제 = 280
1. 읽기 교육 연구의 실태 = 280
2. 일기 교육 연구의 과제 = 289
부록 A 읽기 교육 연구 문헌 개관 = 324
부록 B 읽기 교육 연구 논문 목록 = 390
인명 색인 = 410
내용 색인 =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