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발전행정론의 성립과 역사적 전개
제1장 발전행정의 개념, 진전과 이론적 패러다임의 변화
Ⅰ. 발전행정의 개념과 패러다임의 구성 = 3
1. 발전행정의 대두, 진전과 새 발전행정 패러다임의 필요성 = 3
2. 발전행정(론)에 대한 패러다임의 구성과 변화 : 하나의 분석들 = 6
Ⅱ. 관주도 산업화의 추진과 「구조창출형」 발전행정 패러다임 = 9
1. 60∼70년대의 구조창출형 발전행정 패러다임의 형성과정 = 9
2. 구조창출형 패러다임의 내용 = 10
Ⅲ. 구조창출형 발전행정의 한계와 「복지배분형」 패러다임으로의 수정노력 = 13
1. 70년대 말∼80년대 초에 맞은 구조창출형 패러다임의 한계 = 13
2. 복지배분형 발전행정 패러다임으로의 수정 노력 = 14
Ⅳ. 자유화의 진전과 「혁신확산형」 발전행정 패러다임의 대두 = 17
1. 세계화 · 자유화의 진전과 「정부개조운동」(Reinventing Government Movement)의 전개 = 17
2. 범체계적 구조혁신과업과 '혁신확산형' 발전행정 패러다임 = 21
Ⅴ. 새 발전행정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 30
제2부 국가발전의 개념과 동태적 매커니즘
제2장 국가발전의 개념화 : 목표론적 접근과 능력론적 접근
Ⅰ. 국가발전에 대한 개념의 혼란과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 = 35
1. 근대화의 수동적 시발과 사회과학 이론의 낙후 = 35
2. 국가발전에 대한 새로운 사회과학적 접근의 대두 = 40
Ⅱ. 국가발전에 대한 목표(과제)론적 접근 :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가치산출의 증대 = 44
1. 행복추구 방법의 선택 : 정신적 희열과 물질적 만족 = 44
2. 인간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가치의 유형 = 46
3. 체제의 성숙을 위한 위기과제의 유형 = 47
Ⅲ. 국가발전에 대한 능력론적 접근 :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체제능력의 향상 = 50
Ⅳ. 국가발전에 대한 두 접근의 종합 = 52
제3장 정치발전의 좌표 : 민주복지국가로의 길
Ⅰ. 민주적 복지국가에의 염원 = 57
Ⅱ. 정치적 다원론(Pluralism)의 재음미 = 60
Ⅲ. 국가의 역할 설정을 위한 선택적 모형 = 62
Ⅳ. 한국정치발전의 설계 : 좌표와 방향 = 68
1. 우리 체제의 오늘의 좌표 = 68
2. 다원적 민주복지국가상의 정립을 위한 전략 = 69
제4장 행정발전의 과제 : 관료부패의 척결
Ⅰ. 신생국 행정발전의 최대장애 : 관료부패 = 72
Ⅱ. 관료부패의 정치 · 사회적 동학 = 76
1. 월권형(越權型) 관료제의 부패 = 76
2. 실권형(失權型) 관료제의 부패 = 79
Ⅲ. 부패의 조직내적 국면 = 86
Ⅳ. 부패의 정치 · 사회적 결과 = 90
Ⅴ. 부패척결을 위한 전략의 모색 = 94
제5장 사회개발의 개념화와 한국에 있어서의 전개
Ⅰ. 사회개발의 중요성 = 99
Ⅱ. 사회개발의 개념화 = 100
1. 사회개발의 제 1국면 : 국가발전의 원천적 능력 함양 = 102
2. 사회개발의 제 2국면 : 국가발전의 궁극적 목표 = 103
3. 신생국 근대화 정책에 있어서의 현실적 위치 = 106
Ⅲ.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사회개발 개념의 전개 = 108
Ⅳ. 사회개발정책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 113
제6장 유교문화에 바탕한 동아시아의 발전체제
Ⅰ. 동아시아의 발전과 전통문화에 대한 시각의 변화 = 114
Ⅱ. 「아시아적 가치」논쟁과 새 방법론의 정립 = 117
1. 아시아적 가치에 관한 논쟁 = 117
2. 아시아적 성장모형의 정립을 위한 새 방법론의 모색 = 126
Ⅲ. 동아시아 전통문화의 본체적 내용 = 134
1. 동아시아 전통문화의 사회·경제적 기반 : 수리(水利)농업사회의 요청 = 134
2. 동아시아 전통문화의 이상적 규범 : 유교(儒敎)의 이념과 덕목 = 136
Ⅳ. 유교적 가치덕목들과 발전체제와의 친화성 = 143
1. 유교문화와 경제발전 : 「유교자본주의」 = 144
2. 유교 교리와 정치 행정 발전 : 「유교민주주의」 = 150
3. 유교 교리와 21세기 보편윤리 : 「유교적 인도주의」 = 156
Ⅴ. 유교적 발전체제의 순항의 조건 = 160
1. 권력의 도덕성(道德性) = 161
2. 과제의 변화에 대응하는 문화요소 재결합의 유연성 = 164
제7장 체제발전의 영원한 과제 : 미래로부터의 도전과 대응
Ⅰ. 미래로부터의 도전 = 167
Ⅱ. 미래에 대한 학문적 연구 = 169
Ⅲ. 미래연구의 과제 = 171
Ⅳ. 미래의 정복 = 173
제3부 국가발전의 단계적 관리
제8장 체제발전의 단계적 관리 : 그 의의와 이론모형
Ⅰ. 체제발전 단계화의 의의, 불가피성 및 그 관리상의 함축 = 177
1. 단계화의 의의 = 177
2. 단계화 관리의 불가피성 = 179
3. 발전관리상의 함축 = 181
Ⅱ. 체제발전의 단계화와 대응적 관리체제에 관한 이론모형 = 183
1. 국가발전의 단계화 모형 = 183
2. 조직성장의 단계화 모형 = 187
Ⅲ. 율곡(栗谷)의 시무론(時務論) : 범용적 체제발전 단계모형 = 191
Ⅳ. 시무론의 적용 : '공성신퇴(攻城身退)'의 윤리와 논리 = 201
제9장 한국의 경제 발전과 행정체제의 대응전략 : 단계화관리의 사례
Ⅰ. 경제발전과 행정체제의 추진 능력 : 연관성과 분석의 틀 = 205
1. 두 개념의 연관성 = 205
2. 분석의 틀 = 207
Ⅱ. 1950년대까지 형성된 사회 · 문화적 기반 = 211
Ⅲ. 1960년대 경제성장을 추진하기 위한 행정체제 능력의 구축 = 216
1. 경제성장에 대한 대통령의 집념(執念)과 관료제 속으로의 침투 = 216
2. 행정능력 향상을 위한 구조개혁 = 222
3. 행정운영상의 새 규범의 정립 = 226
Ⅳ. 관주도 성장체제의 성취와 한계 = 230
1. 60∼70년대 관주도 성장체제의 성과 = 230
2. 70년대 후반부터 봉착한 관주도체계의 한계 = 233
3. 80년대 이래 전개되고 있는 체제개혁 = 236
Ⅴ. 한국의 국가발전 과정과 그 추진체제의 대응 : 평가와 교훈 = 238
제10장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과 정부 · 기업간의 관계변화
Ⅰ. 경제 · 사회운영의 기본국면으로서의 정부 · 기업관계 = 241
Ⅱ. 우리 경제의 발전과 정부 · 기업관계 = 243
1. 정부 · 기업관계 분석을 위한 약간의 이론적 기초 = 243
2. 60∼70년대 경제성장기의 관주도적 정부 · 기업관계의 형성 = 245
3. 관주도적 성장체제의 성취와 한계 = 248
Ⅲ. 정보화사회로의 진입과 정부·기업관계에 대한 개혁의 강박 = 252
1. 산업화의 성숙과 개방 · 국제화의 급진전 = 252
2. 정보화사회로의 진입 = 254
Ⅳ. 정보화사회에 걸맞는 정부 · 기업간의 새로운 관계 설정 = 256
제11장 민주, 복지, 개방사회를 위한 행정체제의 개혁
Ⅰ. 21세기로의 진입과 행정체제개혁의 강박 = 257
Ⅱ. 우리가 당면한 국가발전 과제들 = 258
1. 발전 단계 관리의 잘못에서 제기된 과제들 = 259
2. 단계관리상 성숙단계로의 이행에 따르는 과제 = 263
3. 21세기 세계화 단계로의 진입에 따르는 과제 = 265
Ⅲ. 행정체제의 대응적 개혁 전략 = 268
1. 개혁의 기본 이녑 : 「작고도 강한 정부」 = 268
2. 정부개혁의 지침 : 「민주정부」, 「문화복지대국」, 「효율 · 혁신행정」 = 269
제12장 국가발전의 진전과 국가감사체계의 개혁전략
Ⅰ. 국가발전을 지원하는 감사체계의 역할 : 접근방법 = 273
1. 문제와 연구방법 = 273
2. 분석의 틀 = 274
Ⅱ. 경제발전의 진전과 국가감사체계의 변화 = 277
1. 경제발전단계의 진전과 정부역할의 변화모형 = 277
2. 경제발전에 따른 국가감사체제의 대응적 변화요소 = 279
3. 경제의 발전과 감사 패러다임의 전환 = 282
Ⅲ. 아시아 국가들의 감사제도발전을 위한 노력 = 284
1. 감사제도 발전 개관 = 284
2. 효과성감사의 도입 경험과 교훈 = 290
3. 앞으로의 과제 = 294
Ⅳ. 국가 감사체계의 개선을 위한 몇가지 제언 = 294
제13장 한국 현대사에 있어서의 단절의 극복
Ⅰ. 한국 현대사에 대한 인식의 혼란과 국가발전의 위기 = 298
Ⅱ. 과거사의 청산과 단절의 논리 = 302
Ⅲ. 단절논리의 위험과 비판 = 305
Ⅳ. 단절을 극복한 사례와 교훈 = 310
Ⅴ. 현대사 단절에 대한 극복의 논리 = 314
제4부 기관형성과 조직개혁의 관리
제14장 기관형성을 위한 혁신능력 향상 전략 : 이론적 탐색
Ⅰ. 발전행정에 대한 능력론적 접근 = 319
Ⅱ. 체제혁신능력에 대한 이론적 탐색 = 322
1. 혁신촉진적 조직특성 연구 = 323
2. 엘리트의 시관론(時觀論) = 324
3. 기관형성론(機關形成論) = 327
Ⅲ. 기관형성 과정의 동태화와 관리과제의 도출 = 330
1. 기관형성 과정의 동태화 = 330
2. 기관형성 촉진을 위한 전략적 과제 = 334
제15장 기관형성 방향의 최적화 및 속도의 촉진 : 전략도구의 실증적 검증
Ⅰ. 기관형성의 촉진을 위한 전략적 과제 = 336
Ⅱ. 기관형성을 위한 전략적 요소의 조작화와 분석의 틀 = 338
1. 체제혁신 과제(혁신자 유형)의 분류 = 338
2. 체제혁신의 성취 정도 = 341
3. 혁신능력원(源)의 측정 : 혁신성향 지수 = 342
4. 혁신능력의 발굴, 흡수 및 배양 = 343
5. 분석의 전체적 틀 = 345
Ⅲ. 우리나라 공 · 사(公 · 私) 관료제의 혁신능력에 대한 실증연구 = 347
1. 조사의 설계와 방법 = 347
2. 우리나라 고급관료층의 혁신활동 : 정도와 대상 = 348
3. 고급관료층의 혁신성향지수 = 350
4. 개혁자(과제지향) 유형의 식별지표 = 353
5. 혁신 성향의 사회화 과정 = 356
6. 관료체제간의 혁신성향 배양 · 흡수력 비교 = 358
Ⅳ. 국가발전의 방향과 관리체제에 대한 함축 = 360
제16장 조직개혁의 통합적 전략<사례1> : 대학개혁의 방향과 추진전략
Ⅰ. 「IMF위기」와 대학에의 도전 = 365
1. 대학의 위기와 혁신 = 365
2. IMF 위기의 본질과 대학의 책임 = 366
3. IMF 위기로부터 대학이 받을 충격 = 368
Ⅱ. 대학 개혁의 전략 설계를 위한 논리적 기초 = 370
1. 우리 대학들의 발전단계 평가로부터 도출된 개혁과제 = 370
2. 선도적 구조개혁 경험으로부터의 교훈 = 374
Ⅲ. 대학개혁의 방향 = 376
1. 대학개혁의 기본방향 = 376
2. 대학개혁의 구체적 방안 = 378
Ⅳ. 대학개혁의 추진전략 = 388
1. 대학개혁의 리더쉽 = 388
2. 추진전략 선택의 자율성 = 390
3. 대학개혁과 정부의 역할 = 391
제17장 조직개혁의 구체적 전략<사례2> : 대학 내부집단의 역동적 통합과 총장의 리더쉽
Ⅰ. 대학 총장의 직무환경 : 끝없는 갈등과 한없는 기대 = 395
Ⅱ. 대학내 주요 집단의 특성과 관계구조 = 397
1. 교수진과의 관계 = 397
2. 학생과의 관계 = 401
3. 사무직원과의 관계 = 403
4. 재단(이사회)과의 관계 = 406
Ⅲ. 대학혁신의 추구와 역동적 통합의 길 = 407
제18장 조직개혁의 구체적 전략<사례3> : 산학협동을 통한 대학원 교육개혁
Ⅰ. 대학원교육 개혁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 = 412
Ⅱ. 대학원교육 개혁에 있어서 사회적 대응성 = 417
Ⅲ. 대학원 교육 개혁의 사례 :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 421
Ⅳ. 교훈과 전망 = 427
제19장 정책 및 프로그램 평가 관리의 효율화
Ⅰ. 정책과 프로그램 평가의 의의 = 429
Ⅱ. 정책과 프로그램의 과정과 단계별 분석 도구 = 432
Ⅲ. 정책과 프로그램 평가 관리상의 애로 = 435
Ⅳ. 평가관리의 효율화 방안 = 439
1. 평가성 사정(preassessment of evaluability programs) = 439
2. 평가관리의 효율성을 위한 행정적 접근 = 440
제5부 혁신의 도입과 확산의 관리
제20장 혁신의 도입과 확산의 관리 : 의의, 과정 및 이론모형
Ⅰ. 국가발전의 핵심요인으로서의 혁신 = 443
Ⅱ. 혁신의 도입과 확산에 관한 학문적 관심의 증대 = 448
1. 선진 외국의 동향 = 448
2. 우리나라의 혁신연구 동향 = 451
Ⅲ. 혁신확산론의 학문적 체계 : 혁신연구의 주요 패러다임 = 457
1. 연구 · 개발 및 확산모형(Research, Development and Diffusion Perspective) = 458
2. 사회적 상호관계모형(Social Interaction Perspective) = 461
3. 문제해결 모형(Problem Solver Perspective) = 465
4. 연계모형(Linkage Model) = 468
Ⅳ. 조직맥락에서의 혁신 확산 과정 = 474
1. 조직에의 투입국면 = 477
2. 조직의 산출국면 = 481
3. 조직내의 전환과정 = 484
Ⅴ. 발전행정의 기본과제로서의 혁신관리 = 488
제21장 기술혁신체제의 성숙을 위한 정부의 역할
Ⅰ. 기술주도사회로의 진입 = 491
Ⅱ. 기술혁신 시스템과 정부의 역할 = 495
Ⅲ. 우리나라에서의 과학 · 기술정책의 전개 = 502
Ⅳ. 기술혁신정책의 몇 가지 문제점 = 504
Ⅴ. 맺음말 : 기술입국의 길 = 509
제22장 기술혁신 지향적 지역개발 정책의 정립
Ⅰ. 지역개발과 기술혁신의 연계 = 511
1. 지역개발정책의 새로운 시각 = 511
2. 기술 혁신 지향적 지역개발 정책의 체제와 유형 = 513
Ⅱ. 기술혁신을 통한 지역개발 성공사례 : 선진국의 경험과 교훈 = 516
1. 각국의 성공사례 = 516
2. 외국사례의 성공요인 = 522
Ⅲ. 우리나라의 지역기술행정의 현황과 문제점 = 523
1. 우리나라에서 싹트고 있는 실험적 사례들 = 523
2. 지방 기술행정의 문제점 = 528
Ⅳ. 기술혁신을 위한 지방행정의 개선 방향 = 532
1. 개선방향 = 532
2. 추진전략상의 유의점 = 536
제23장 기술혁신과 산학협동 체제의 활성화
Ⅰ. 기술혁신과 산학협동 = 538
1. 기술혁신 기반으로서의 산학협동 = 538
2. 산학협동의 개념과 유형 = 541
Ⅱ. 우리나라 산학협동의 현황과 문제점 = 544
1. 산학협동의 역사적 전개 = 544
2. 산학협동체계의 문제점 = 548
Ⅲ. 산학협동의 성공사례 = 553
1. 선진국에서의 성공사례 = 553
2. 우리나라 산학협동의 선도적 사례들 = 558
Ⅳ. 산학협동의 활성화 방안 = 566
1. 대학이 해야 할 협동촉진적 개혁 = 566
2. 기업이 해야 할 협동촉진적 개혁 = 568
3. 정부의 협동 활성화 지원책 = 569
제24장 우리나라 관료제 조직에 있어서 혁신촉진의 전략
Ⅰ. 관료제 조직에 있어서 혁신 압력의 원천 = 573
Ⅱ. 조직혁신을 촉진 · 저지하는 구조적 압력의 원천 : 분석의 틀 = 576
Ⅲ. 우리나라 관료제에 있어서의 혁신 압력의 체계 : 실증분석 = 578
1. 조사의 설계와 방법 = 578
2. 혁신활동에 대한 촉진적 압력체계 = 579
3. 혁신활동에 대한 저지적 압력 체계 = 583
Ⅳ. 조직혁신 전략상의 함축 = 587
참고문헌 = 589
찾아보기 = 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