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 : 지식정보화사회의 행정과 규제개혁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 : 지식정보화사회의 행정과 규제개혁 (13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안문석
서명 / 저자사항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 : 지식정보화사회의 행정과 규제개혁 / 안문석 저.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   2001.  
형태사항
xviii, 401 p. : 삽도 ; 26 cm.
ISBN
891045167X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579namccc200193 k 4500
001 000000702726
005 20100806104541
007 ta
008 010426s2001 ulka 001a kor
020 ▼a 891045167X ▼g 93350: ▼c \2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11010
082 0 4 ▼a 351.53 ▼2 21
090 ▼a 351.53 ▼b 2000b
100 1 ▼a 안문석 ▼0 AUTH(211009)126648
245 1 0 ▼a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 : ▼b 지식정보화사회의 행정과 규제개혁 / ▼d 안문석 저.
260 ▼a 서울 : ▼b 박영사 , ▼c 2001.
300 ▼a xviii, 401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0b 등록번호 1111822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0b 등록번호 1111822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0b 등록번호 1111822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351.53 2000b 등록번호 1410099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안문석(지은이)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지식정보화 사회의 등장과 새로운 행정 패러다임의 필요성

 제1장 지식정보화 사회의 등장과 특징 = 3

 제2장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조직의 특징과 전자정부의 등장

  제1절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조직의 특징 = 7

   1. 조직의 청년화 현상과 경험의 사장화 현상 = 7

   2. 권한의 분산화 현상과 조정력의 결여 현상 = 7

   3. 공급자 중심의 조직으로부터 수요자 중심의 조직으로의 이행현상 = 8

  제2절 전자정부의 이념 = 9

   1. 고객중심적인 Governance 이념의 구현 = 9

   2. 지능형 행정 = 10

   3. 분권화와 강력한 조정력을 갖춘 행정 = 10

   4. 원스톱 서비스의 구현 = 10

   5. 개혁지향적 행정 = 11

  제3절 전자정부를 추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 11

 제3장 제2의 베버의 출현을 기대하며

  제1절 공공시스템은 국력이다 = 17

  제2절 초기 산업사회의 혼란과 신뢰구축 필요성 등장 = 17

  제3절 지식정보호화 사회에서의 신뢰구축 = 19

제2부 정부와 기업관계를 보는 시각 : 경계선 이론

 제4장 정부의 경계선

  제1절 바람직한 사람 사이의 관계 = 23

  제2절 시장실패와 경계선 이론 = 25

   1. 공공재의 생산 및 소비와 관련된 상황 = 25

   2. 외부효과가 존재하는 영역 = 27

   3.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는 사회간접자본형 사업 = 29

   4. 경쟁제한적인 시장환경 = 30

   5. 기타 공공부문의 영역 = 31

  제3절 정부실패와 경계선 이론 = 31

   정치체제의 차이에 의한 분류 = 32

  제4절 비용효과 분석과 경계선 이론 = 35

 제5장 사이버 공간에서의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경계선

  제1절 가상조직과 전자정부의 등장 = 36

   1. 가상조직 = 37

   2. 공공부문의 관료제 붕괴 = 38

  제2절 새로운 조직으로서의 가상조직의 특징 = 39

   1. 개인중심적 조직 = 39

   2. Case Manager의 등장 = 40

   3. 전체이면서 부분인 조직관의 등장 = 41

  제3절 가상조직이 뿌리내리기 위한 조건 = 41

  제4절 전망 = 43

제3부 기업환경과 정부환경

 제6장 경제발전과 경계선의 변화

  제1절 서론 = 47

  제2절 선형계획적 관점에서 본 경제발전단계 = 48

   1. 선형계획의 기본모형 = 48

   2. 농경사회로부터 산업사회로의 이행과 투입정책 = 49

   3. 농경사회로부터 산업사회로의 이행 = 50

   4. 산업사회로부터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이행 = 51

   5. 경제발전의 역사적 사실 = 51

  제3절 시장과 정부의 양립 : 장벽치기의 사례 = 53

 제7장 기업관의 변화와 경계선의 이동

  제1절 서론 = 55

  제2절 죄악관 = 56

  제3절 자원배분기능관 = 56

  제4절 이윤관의 변화 = 57

   1. 국가발전전략기와 이윤보장 = 58

   2. 이윤불신기 = 59

   3. 이윤재평가기 = 60

  제5절 정보화 사회에서의 이윤관 = 61

  제6절 투기와 이윤관 = 62

  제7절 미국의 이윤관 = 63

  제8절 이윤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5

   1. 재벌 등 기업가의 축재과정에 대한 의구심 = 65

   2. 거품경제와 부동산 투기꾼의 횡행 = 65

   3. 매판자본관 = 65

   4. 시민단체 및 소비자 보호단체의 반기업관 = 66

   5. 경기순환의 존재 = 66

   6. 흥부를 미화하는 문화 = 66

   7. 매스컴의 부정적인 이윤관 = 66

  제9절 이윤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갖는 집단 = 67

제4부 공공부문의 위기

 제8장 정부환경의 변화

  제1절 행정권위의 원천과 변화 = 71

   1. 권위에 대한 인식 = 71

   2. 공무원의 권위와 경계선 = 72

  제2절 관료제의 붕괴 : Taylor and Weber Revisited = 73

   1. 서론 = 73

   2.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관료 : 왜 관료가 '왕따'되는가? = 73

   3. 법령에 근거한 행정과 융통성 있는 행정 사이의 딜레마 = 74

   4. 상식이 통하는 행정과 행정배심원 제도 = 74

   5. 전문성과 순환보직제 = 75

   6. 공정성과 겸업금지 = 76

   7. 공익과 사익 그리고 공직관 = 76

  제3절 1997년 12월 한국의 외환위기가 의미하는 것 = 78

 제9장 행정학의 새로운 동향

  제1절 공공부문에서의 Governance = 82

  제2절 행정의 특징 = 85

   1. 조직목표 설정에서의 특징 = 85

   2. 행정과 경영은 동일한 것인가? = 87

 제10장 정부개혁의 이슈

  제1절 서론 = 91

  제2절 '기업형 정부'의 존재가능성 = 92

  제3절 행정과 경영의 차이 = 93

   1. 목표설정측면에서의 차이 = 93

   2. 정책변수의 속성상의 차이 = 94

  제4절 과거 행정개혁의 특징 = 94

  제5절 '기업형 정부'개혁의 특징 = 96

   1. 경영학 및 경제학 중심의 추진주체 구성 = 96

   2. 관중심의 행정개혁과 정치적 파워게임 = 96

   3. 개혁내용상의 특징 = 97

   4. 시간에 쫓기는 개혁 = 97

   5. 행정개혁과 재정개혁의 통합적 수행 = 97

  제6절 IMF 환란 극복과정중의 '국민의 정부' 제1차 정부조직개편의 특징과 행정개혁의 기본방향 = 98

   1. 친정체제의 도입 = 99

   2. 고통분담의 원칙 = 99

   3. 과도기적 특성 = 99

   4. 공동정부적 속성 = 100

   5. 여소야대적 정치환경 = 100

   6. 새로운 경제환경의 도래 : IMF 구제금융시대의 도래 = 100

   7. WTO체제와 개방체제의 도래 = 101

   8. 외국의 민간주도 행정개혁의 영향 = 101

  제7절 정부개혁과 관련된 이슈 = 102

제5부 지식정보화 사회와 행정개혁

 제11장 정부실패와 작은 정부

  제1절 시장실패와 케인지안의 등장 = 107

  제2절 거대정부의 실패 : 복지국가의 위기 = 109

  제3절 개발도상국의 거대정부 실패 = 110

 제12장 행정개혁의 시스템 이론적 정의와 전략

  제1절 행정개혁의 정의 = 114

  제2절 한국 행정개혁의 역사적 개관 = 115

   1. 미군정하의 행정개혁 = 115

   2. 자유당 정권하의 행정개혁 = 115

   3. 민주당 정권하의 행정개혁 = 116

   4. 박정희 정권의 행정개혁 = 117

   5. 전두환 정권의 행정개혁 = 119

   6. 노태우 정권의 행정개혁 = 122

   7. 문민정부의 행정개혁 = 123

   8. 국민의 정부에서의 행정개혁 = 125

   9. 한국의 행정개혁 요약 = 126

  제3절 외국의 행정개혁 사례에서 배울 점 = 127

   1. 불문법 국가의 개혁이 성문법 국가보다 더 성공적이다 = 127

   2. 시민단체의 활동이 활발한 나라에서 개혁이 성공할 확률이 높다 = 128

   3. 문화적으로 세계화가 되어 있는 나라가 폐쇄적인 나라보다 개혁이 성공적이다 = 128

   4. 개혁은 위기적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 = 129

  제4절 성공적 개혁의 전제조건 = 129

   1. 천시와 지리의 이익을 얻어야 한다 = 130

   2. 인심을 얻어야 한다 = 130

   3. 속전속결의 장점 = 131

   4. 따뜻한 피가 통하는 개혁 = 131

  제5절 '쓰레기통 이론'과 행정개혁 = 131

제6부 역사의 교훈과 조기경보체계의 도입

 제13장 역사적 접근방법의 유용성에 대하여 = 137

 제14장 조기경보체계

  제1절 조기경보체계의 정의와 특징 = 139

  제2절 조기경보체계의 구성요소 = 140

   1. 모니터링 요소 = 140

   2. 휠터링 요소 = 140

   3. 기억요소 = 140

   4. 조기경보체계에서의 산출을 상위 시스템에 전달하여 대응을 하도록 하는 요소 = 141

  제3절 조기경보체계의 정상적 운용을 위한 조건 = 141

  제4절 조기경보체계의 정상적인 운용을 저해하는 요인 = 142

   1. 휠터기능의 장애 = 142

   2. 정교하지 못한 유형화 = 143

   3. 정확치 못한 해답 = 143

  제5절 사회시스템에서의 조기경보체계가 비정상적으로 가동하는 요인 = 144

   1. 매몰비용에 대한 인식문제 = 144

   2. 거짓 정보 : 양치기 소년의 이야기 = 145

   3. 능률적에 대한 미신 = 145

   4. 시뮬레이션 미비 = 146

   5. 처리시간의 지연 = 146

  제6절 조기경보체계의 실패와 1997년의 외환위기 = 147

 제15장 한국의 외환위기 : 복잡성 이론과 조기경보체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제1절 시스템과 복잡성 이론 = 149

  제2절 살아 있는 시스템과 국가시스템 = 151

   1. 협동현상과 임계현상 = 151

   2. 자체조직화와 프랙탈적 구조 = 152

   3. 환경과 내부모형 = 152

   4. 긍정적 피드백과 브레이크 없는 시스템 = 153

  제3절 1997년 우리 나라 외환위기의 전개과정 = 153

   1. 상품시장의 경쟁력 상실 = 153

   2. 노동시장의 경직성 = 154

   3. 외환시장의 경직성과 개방정책 = 155

   4. 시장 사이의 관계 : 부정적 피드백이 없는 상황 = 156

   5. 자전거 이론 = 156

   6. 대기업의 도산과 금융시장의 붕괴 = 157

   7. 시장붕괴의 인과지도 = 157

  제4절 복잡성 이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외환위기 = 159

   1. '왕따'가 된 기업 : 공공부문의 개입과 상품시장의 붕괴 = 159

   2. 세계화와 잘못 진행된 협동현상 = 160

   3. 정경유착의 근원 ; 금융시장의 비극 = 161

   4. 공공부문의 조정력 결여 : 공공부문의 비극 = 163

   5. 브레이크가 고장난 프랙탈 구조 = 164

   6. '한국병 치유'에 고착된 내부환경 = 164

  제5절 외환위기의 교훈과 전망 = 166

제7부 규제개혁 : 이론 및 제도편

 제16장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경계선 이론 : B/C적 접근의 대두 = 171

 제17장 규제의 정의와 유형

  제1절 규제의 특징과 정의 = 173

  제2정 규제의 유형 = 174

   1. 경제규제와 사회규제 = 174

   2. 촉진적 규제와 억제적 규제 = 175

   3. 길목 지키는 직접적 규제와 간접규제 = 175

   4. 가격규제 = 177

   5. 지식정보화 사회와 경제적 규제 = 178

  제3절 사회규제 = 179

   1. 사회규제가 왜 필요한가? = 180

   2. 사회규제의 보호대상 = 180

   3. 사회규제의 방법 = 181

 제18장 규제효과분석 : 비용효과분석기법

  제1절 비용의 속성 = 183

  제2절 혜택의 속성 = 184

  제3절 규제의 비용효과분석에서 발견되는 문제점 = 185

  제4절 비용효과분석기법 : 규제영향평가 = 186

   1. 비용효과분석 절차 = 186

   2. 규제영향평가보고서를 평가하는 기준 = 187

   3. 사회적 적정규제수준과 규제순응 : 규제공급곡선과 규제수요곡선 = 188

   4. 처벌의 실효성과 규제순응 = 189

   5. 미래가치와 규제 = 189

 제19장 경제규제와 사회규제의 본질, 특징 그리고 문제점 :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소수의 승자와 다수의 패자의 문제

  제1절 경제규제개혁의 본질 = 191

  제2절 세계화 주창자와 반대론자 = 194

  제3절 조기경보체계와 경제규제개혁 = 195

  제4절 사회규제의 본질 = 195

   1. 생산단계에서의 약자인 근로자 보호 = 196

   2. 유통단계 및 소비단계에서의 약자보호 = 197

   3. 환경문제와 사회규제 = 198

   4. 준조세와 규제 = 199

 제20장 규제행정의 문제점 : 규제확장 성향

  제1절 규제사슬과 노예로의 길 = 201

  제2절 퇴출제도의 미흡 = 201

  제3절 '규제=힘'의 논리 = 202

  제4절 규제비용 내면화의 어려움 = 203

  제5절 규제가 갖는 이중적 성격 = 203

  제6절 정부실패와 규제증가 = 204

  제7절 신중상주의와 규제증가 = 204

  제8절 복지국가의 등장과 규제증가 = 205

 제21장 규제개혁을 위한 제도적 장치

  제1절 규제억제를 위한 제도 = 206

   1. 규제총량제 = 206

   2. 규제일몰심사제도 = 207

   3. 신설규제 사전심사제 = 207

   4. 민간중심의 규제심사위원회의 구성 = 208

  제2절 행정규제기본법 = 208

   1. 규제개혁의 원칙 = 209

   2. 규제개혁조직 = 210

제8부 규제개혁의 당위와 우리의 현실

 제22장 규제의 당위론 = 213

 제23장 규제개혁의 효과 = 217

  제1절 서론 = 217

  제2절 규제개혁의 필요성 = 218

  제3절 현재 진행중인 규제개혁의 특징 = 220

  제4절 규제개혁의 성과 : 규제개혁이 성공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 222

   1. 준법투쟁이라는 말이 사라진다 = 222

   2. 준법의식이 고양되어 질서의식이 자리를 잡는다 = 223

   3. 관청에 갈 일이 없어진다 = 223

   4. 공무원의 복지부동이 사라진다 = 224

   5. 정경유착이 사라지고 공무원의 부정부패가 사라져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다 = 224

   6. 획일이 사라지고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가 된다 = 224

   7. 깨끗한 환경이 보존되고 유지된다 = 225

   8. 산업안전 및 위생분야 등에서 국민복지가 증진된다 = 225

   9. 조기경보체계가 제대로 가동되어 국가적 위기관리가 제대로 된다 = 225

  제5절 성공적인 규제개혁을 위한 과제 = 226

   1. 시기를 상실해서는 안 된다 = 226

   2. 이익집단에 포획되어서는 안 된다 = 226

   3. 규제개혁의 모든 과정이 기록되고 공개되어야 한다 = 227

   4. 시민단체 등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한다 = 227

   5. 규제개혁은 정보화를 수단으로 해야 하고 다른 개혁과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227

   6. 상식이 통하는 행정의 구현을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 228

   7. 민간부문의 책임성이 강조되고 새로운 윤리관이 정립되어야 한다 = 228

  제6절 결론 = 228

 제24장 정부의 구조조정 노력,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제1절 구조조정의 정의 = 230

  제2절 구조조정의 필요성 = 230

  제3절 구조의 모습 = 231

   1. 연결시간을 중심으로 한 구조 = 232

   2. 연결구조의 순환적 특징 = 232

   3. 요소의 다차원적 속성 = 233

   4. 대상별 분류와 기능별 분류 = 233

  제4절 구조조정의 내용 = 233

  제5절 정부조직개편의 구조조정적 의미 = 235

  제6절 정부구조조정의 내용 = 236

   1. 슬림화 현상 = 236

   2. 조직개편의 융통성 도입과 팀제의 도입 = 237

   3. 외부전문가의 영입 = 238

  제7절 정원조정의 허와 실 = 239

 제25장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규제개혁 비교

  제1절 연혁 = 241

  제2절 정보화 사회에서의 규제행정의 특징 = 241

   1. 입법상의 시차문제 : 시차실패 = 242

   2. 시민단체의 역할 증대 = 242

   3. 정부와 기업 사이의 역할 변화 = 243

   4. 변화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의 역할 = 243

  제3절 김영삼 정부의 규제개혁 개관 = 243

  제4절 김대중 정부의 규제개혁 = 244

   1. 규제개혁의 목표 = 244

   2. 정부가 인식하고 있는 우리 나라 행정규제의 특징 = 245

   3. 규제개혁의 효과 = 246

   4. 규제개혁 추진전략 = 247

   5. 규제개혁 추진체제 및 조직 = 248

   6. 활동실적 = 249

  제5절 규제개혁을 바라보는 틀의 정립 = 250

   1. 서론 = 250

   2. 규제개혁을 바라보는 시각 = 251

  제6절 김대중 정부의 규제개혁위원회와 김영삼 정부의 행정쇄신위원회 비교분석 = 258

   1. 법률상의 특징 = 258

   2. 위원회의 구성상의 차이 = 259

   3. 운영상의 차이 = 260

   4. 기록관리상의 차이 = 262

   5. 시민단체와의 관계상의 차이 = 263

   6. 결론 = 263

 제26장 김대중 정부의 규제개혁 평가

  제1절 김대중 정부의 규제개혁 중간평가 = 265

   1. 규제틀을 중심으로 본 평가 = 265

   2. 공식적인 규제개혁의 성과와 체감규제개혁 사이의 차이 = 267

   3. 규제완화 비용의 문제 = 268

   4. 제도의 국제화 기여 = 268

   5. 부정부패 척결과 규제완화 = 268

   6. 규제일몰제의 성과 = 268

   7. 의원입법과 규제개혁 = 269

   8. 김대중 정부의 규제개혁이 차이를 갖는 이유 = 269

  제2절 성공적 규제개혁을 위한 조건 = 270

   1. 행정조기경보체계 구축의 필요성 = 270

   2. 이익집단 사이의 조정과 정보공개의 필요성 = 271

   3. 맞춤형 행정의 실현을 위한 규제개혁 = 272

   4. 입법부와 사법부의 규제개혁 필요성 = 272

   5. NGO 참여와 규제개혁 = 273

제9부 NGO와 경계선 이론

 제27장 NGO의 정의와 활동영역 = 277

 제28장 NGO와 시민참여

  제1절 시민참여의 제도화 = 279

  제2절 NGO와 시민운동 = 281

  제3절 NGO와 소비자 보호 = 283

   1. 소비자보호의 배경 : 정보는 자유재가 아니다 = 284

   2. 소비자 보호운동의 정의 = 285

   3. 소비자 보호를 부추기는 원인 = 287

   4. 소비자 보호기관 = 288

   5. 소비자 보호를 위한 규제수단 = 290

   6. 허위 광고와 소비자 보호 = 294

  제4절 NGO와 소외계층의 보호 = 294

제10부 세계화와 경계선 이론

 제29장 세계화와 힘의 외교

  제1절 세계화의 의미 = 301

  제2절 산업화와 함포외교 = 302

  제3절 냉전체제와 세계화 = 304

 제30장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세계화 = 309

 제31장 글로벌 경영체제의 등장

  제1절 글로벌 경영과 관료제의 몰락 = 313

  제2절 세계시장의 등장과 세계적 규모의 경쟁체제 = 314

  제3절 글로벌 시대의 도래와 문제 = 315

제11부 행정학의 새로운 움직임

 제32장 Governance 개념의 등장

  제1절 기업의 Governance = 321

  제2절 공공부문에서의 Governance = 323

 제33장 행정권위의 위기

  제1절 권위의 근원 = 325

   1. 공공조직내 권위 = 325

   2. 공무원과 민간인 사이에 존재하는 권위 = 326

  제2절 권위에 대한 인식의 변화 = 327

  제3절 행정과 경영의 이원론적 관점 : 신이원론과 행정의 권위 = 328

 제34장 공직부패와 반부패법의 제정

  제1절 공직부패의 정의와 특징 = 333

  제2절 정권별 공직부패의 유형 = 335

  제3절 민주주의와 행정부패의 척결 = 341

제12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경계선 : 통제와 시장 그리고 기업과 정부의 책무성

 제35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제1절 고전적 경제이론에서의 기업의 책임 = 345

  제2절 기업의 3차원적 책임 = 346

  제3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이론적 내용 = 347

  제4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수정된 의견 = 350

  제5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 : 국제비교 = 351

  제6절 결론 = 353

 제36장 시장기구를 통한 경제성장과 민주주의의 병행적 발전논쟁 : 소비자 잉여와 소비자 불만족 영역

  제1절 문제의 제기 = 354

  제2절 불만영역 = 356

  제3절 시장기구와 정치적 민주주의는 병행발전할 수 있나? = 357

  제4절 왜 미국은 시장경제와 민주주의의 병행발전에 성공하였나? = 358

 제37장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취약점 : 노동문제와 정부와 기업의 역할

  제1절 인력정책에서 본 정부와 기업의 관계 = 361

  제2절 고용인은 소모품인가 아니면 자본재인가? = 361

  제3절 일의 정의와 직업관 = 363

   1. 서양의 직업관 = 363

   2. 동양의 직업관 = 364

  제4절 정보화 사회의 직업관 = 365

  제5절 일에 대한 문화적 관점 : 미국과 일본의 비교분석 = 366

  제6절 일본식 또는 동양식 직업관의 약점 = 368

  제7절 미국내 일본기업 = 368

  제8절 조직문화와 조직통폐합 = 369

  제9절 조직문화 = 370

   1. 의식과 관례 = 370

   2. 이야기와 신화 = 370

   3. 규범, 가치 그리고 가정 = 370

   4. 물리적 환경 = 370

  제10절 직장을 변화시키는 외부적 요인 = 371

   1. 기술변화 = 371

   2. 인구구조의 변화 = 371

   3. 산업구조의 변화 = 371

   4. 경쟁 = 372

   5. 세대간 가치관 차이 = 372

   6. 정부의 간여 = 373

 제38장 지식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통제체제 : 정부의 새로운 역할

  제1절 지식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새로운 통제체제의 필요성 = 375

  제2절 정보화 사회의 순기능과 역기능., 그리고 통제장치의 필요성 = 376

  제3절 정보화 사회에서의 통제의 특징 및 대상 = 378

   1. 정보인프라 부문의 통제 = 378

   2. 급격한 환경변화에 상응한 조기경보체계의 작동여부 = 379

   3. 정보화 정책 및 정보산업정책의 연계성 = 379

   4. 정보화의 부작용 최소화 = 380

   5. 표준화 분야 = 380

   6. 재교육 또는 평생교육과 실업대책 = 381

   7.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지원적 감사 기능 = 381

참고문헌 = 383

인명색인 = 391

국문색인 = 391

영문색인 = 39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