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18namccc200193 k 4500 | |
001 | 000000702631 | |
005 | 20100806104424 | |
007 | ta | |
008 | 010425s2000 tgk 000a kor | |
020 | ▼a 8988088212 ▼g 93800 : ▼c \12000 | |
040 | ▼a 211009 ▼c 211009 | |
049 | 1 | ▼l 111181625 ▼f 개가 ▼l 111181626 ▼f 개가 ▼l 111181627 ▼f 개가 |
082 | 0 4 | ▼a 801 ▼2 21 |
090 | ▼a 801 ▼b 2000g | |
100 | 1 | ▼a 박종섭, ▼e 편 |
245 | 1 0 | ▼a 문학의 이해 / ▼d 박종섭 편. |
260 | ▼a 대구 : ▼b 文昌社 , ▼c 2000. | |
300 | ▼a 322 p. ; ▼c 27 cm.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1118162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111816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2/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111816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410124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511114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511114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1118162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111816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2/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111816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410124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511114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01 2000g | 등록번호 1511114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종섭(지은이)
1941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거창고등학교와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수료한 후 동 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 문학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거창고등학교와 거창중앙고등학교 교사와 계명대학교 거창학습관 관장을 지냈다. 「춘향전 방자의 인물성격 연구」,「호질 고찰」,「근대 민요의 근대성에 대한 소고」,「민요의 내면적 저항의식에 대한 고찰」,「성경과 한국신화 및 불경의 비교 시안」,「거창 민요의 특징」,「거창 전설의 사상적 배경 고찰」,「거창 삼베일소리의 연구」,「한국인의 죽음의식에 대한 고찰」등의 논문이 있으며 경상남북도·전라남북도·경기도 등의 민속·민요·무속·설화조사 자료 등 지난 수십 년간에 걸쳐 전국에서 수집하고 정리한 구비문학의 방대한 자료들은 현재 우리 민속과 설화·민요 연구의 귀중한 자산으로서 후배 학자들의 학문적 토대가 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민요와 한국인의 삶1·2』,『거창의 전설』, 『과천의 민요와 설화』,『거창의 민요』,『산청의 민요』,『언어의 생활』, 『거창군의 마을신앙』,『거창 명승지의 역사와 전설』,『거창의 무속』, 『지리산자락 민요』,『거창민담』,『산청구비문학1·2』,『함양구비문학1·2』, 『사천시 신수도의 민속신앙』,『거창군사(민속·민요·전설편)』, 『산청군사(민속·민요·전설편)』등이 있다. 한국 민요학회와 한국 구비문학회 회원이자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호 ‘거창 삼베일소리’예능후보자이기도 하다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文學의 一般理論編 1. 文學이란 무엇인가? = 11 1-1 넓은 뜻의 文學 = 12 1-2 좁은 뜻의 文學 = 13 1-3 結論 = 14 2. 文學의 起源 = 15 2-1 心理的 起源說 = 15 2-2 功利的 起源說 = 17 2-3 民謠舞踊說 = 18 3. 文學의 基本性格 = 19 3-1 創造性 = 20 3-2 感動과 情緖 = 22 3-3 思想 = 23 3-4 恒久性과 普遍性 = 24 3-5 想像과 體驗 = 24 3-6 眞實性 = 25 4. 文學의 機能 = 26 4-1 感性的 機能 = 27 4-2 理性的 機能 = 29 5. 文學과 다른 藝術 = 31 5-1 文學과 舞踊 = 31 5-2 文學과 音樂 = 32 5-3 文學과 美術 = 33 6. 文學과 여러 觀念 = 34 6-1 創作과 여러 觀念 = 34 6-2 批評과 여러 觀念 = 37 7. 文學과 自然科學 = 38 8. 文學의 장르 = 42 제2장 詩의 入門 1. 詩란 무엇인가? = 45 2. 詩의 基本性格 = 48 2-1 情緖의 表出化 = 48 2-2 型式의 압축미 = 49 2-3 이미지와 想像 = 51 2-4 眞實性 = 52 3. 詩의 言語 = 54 3-1 言語의 兩面性 = 54 3-2 曖昧性과 難解性 = 57 4. 詩의 韻律 = 59 4-1 外在律 = 60 4-2 內在律 = 62 5. 詩의 修辭的 技巧 = 63 5-1 比喩法 = 63 5-2 象徵 = 66 5-3 反語法 = 68 5-4 逆說 = 69 6. 詩의 構造 = 70 7. 詩의 主題 = 72 8. 詩의 種類 = 75 8-1 形態上의 分類 = 75 8-2 內容上의 種類 = 78 9. 現代詩의 傾向 = 81 제3장 小說의 入門 1. 小說의 무엇인가? = 85 2. 小說의 起源 = 88 2-1 敍事詩와 小說 = 89 2-1 Roman, 說話와 小說 = 89 3. 小說의 基本性格 = 90 3-1 虛構性 = 90 3-2 人間의 探究와 表現 = 91 3-3 現實性 = 92 3-4 敍事的 散文 = 93 3-5 形式의 無限性 = 95 3-6 淨化性과 思想 = 95 4. 小說의 짜임새 = 96 4-1 짜임새의 槪念 = 96 4-2 짜임새의 機能 = 98 4-3 짜임새의 順序 = 98 4-4 敍述의 視點 = 102 4-5 距離와 語調 = 105 5. 小說의 人物 創造 = 106 5-1 人物의 槪念 = 106 5-2 人物의 類型 = 108 5-3 人物의 設定方法 = 109 6. 小說의 背景 = 111 6-1 背景의 槪念 = 111 6-2 背景의 種類 = 113 7. 小說의 文體 = 114 7-1 文體의 槪念 = 114 7-2 小說文體의 種類와 特性 = 115 8. 小說의 主題 = 116 8-1 主題의 槪念 = 116 8-2 主題의 把握 = 117 9. 小說의 種類 = 119 제4장 口碑文學의 入門 1. 國文學의 發生 = 121 2. 說話 = 122 3. 民謠 = 125 4. 판소리 = 127 5. 巫歌 = 129 6. 民俗劇 = 130 제5장 說話의 世界 1. 傳說의 반영된 意識世界 = 131 1-1 序論 = 131 1-2 本論 = 140 1-3 結論 = 180 2. 傳說에 나타나는 죽음의식 = 181 2-1 序論 = 181 2-2 本論 = 183 2-3 結論 = 193 3. 聖經·佛經과 韓國神話와의 比較試案 = 194 3-1 序論 = 194 3-2 敍事構造的 共通性 = 196 3-3 構造對比 = 200 3-4 共通構造素의 意味 = 203 3-5 結論 = 210 제6장 民謠의 世界 1. 民謠에 반영된 意識世界 = 213 1-1 序論 = 213 1-2 民謠에 內在한 抵抗意識 = 214 1-3 民謠에 內在된 抵抗意識과 앞으로의 課題 = 229 2. 近代 民謠와 近代性 問題 = 230 2-1 序論 = 230 2-2 本論 = 231 2-3 結論 = 240 제7장 古典小說의 入門 1. 古典小說이란 무엇인가? = 243 2. 古典小說의 分類 = 247 2-1 國文小說 = 247 2-2 漢文小說 = 250 3. 「春香傳」房子의 性格硏究 = 251 3-1 序論 = 251 3-2 房子型 人物의 性格 = 256 3-3 「春香傳」房子의 性格 = 280 3-4 房子와 李道令의 葛藤樣相에 反映된 意味 = 298 3-5 結論 = 308 4. 「虎叱」考察 = 310 4-1 序論 = 310 4-2 本論 = 310 4-3 結論 =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