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론 = 13
1.1. 목적 및 대상 = 15
1.2. 연구 방법 = 18
1.3. 예비 지식 = 21
1.3.1. 문말(文末)의 구조적 특성 = 22
1.3.2. 문장종결법과 문장종결형 = 24
1.4. 논의의 구성 = 27
제2장 현대국어 문장종결법과 문장종결형 = 31
2.1. 기존 논의의 검토 = 33
2.2. 현대국어 문장종결법 기술의 선결 과제 = 39
2.2.1. 용어상의 문제법 = 39
2.2.2. 문장종결법과 서법 = 42
2.2.3. 문장종결법과 대우법 = 45
2.2.4. 문장종결법과 인용법 = 46
2.2.5. 문장종결법과 화행론 = 49
2.3. 담화상에서 본 문장종결법 = 52
2.3.1. 담화의 구조와 문장종결법 = 52
2.3.2. 명제 내용 : 상태인가 행동인가 = 56
2.3.3. 행위참여자(화자, 청자) : 화자 중심인가 청자 중심인가 = 58
2.3.4. 행위참여자와 명제 내용의 관계 : 전달인가 요구인가 = 59
2.3.5. 주관적 정서 = 61
2.4. 현대국어 문장종결법의 체계 = 64
2.4.1. 현대국어 문장종결법의 체계화 = 64
2.4.2. 현대국어 문장종결법(1)의 체계 = 67
2.4.3. 현대국어 문장종결법(2)의 체계 = 72
2.4.4. 현대국어 문장종결법의 체계 = 79
2.5. 현대국어 문장종결형의 활용 조건 = 80
2.5.1. 담화적 조건 = 80
2.5.2. 통사적 조건 = 84
2.5.3. 형태적 조건 = 87
2.5.4. 억양 조건 = 89
제3장 현대국어 문장종결법(1) = 91
3.1. 현대국어 문장종결법(1)의 특징 = 93
3.2. 설명법 = 96
3.2.1. 설명법의 의미 = 96
1) 기존 연구의 검토 = 96
2) 담화상에서 본 설명법의 의미 = 96
3.2.2. 설명법 문장종결형 = 101
1) 설명법 문장종결형의 선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 = 101
2) 종결어미를 이용한 설명법 문장종결형 = 104
(1) -다, -라 = 104
(2) -네, -이, -ㄹ세, -데 = 112
(3) -오, -소 = 116
(4) -ㅂ니다/습니다. = 116
3) 반말을 이용한 설명법 문장종결형 = 119
(1) -어 / 아 = 119
(2) -지 = 120
4) 전성어미를 이용한 설명법 문장종결형 : -ㅁ = 121
5) 합성형을 이용한 설명법 문장종결형 : -ㄴ걸, -ㄹ걸 = 122
3.2.3. 설명법과 문장종결형의 관계 = 123
3.3. 감탄법 = 125
3.3.1. 감탄법의 의미 = 125
1) 기존 연구의 검토 = 126
2) 담화상에서 본 감탄법의 의미 = 126
3.3.2. 감탄법 문장종결형 = 129
1) 감탄법 문장종결형 선정에 관련한 몇 가지 문제 = 129
2) 종결어미를 이용한 감탄법 문장종결형 = 131
(1) -구나, -로구나, -누나 = 131
(2) -구먼, -로구먼 = 133
(3) -구려, -로구려 = 134
(4) -군, -로군 = 135
(5) -어 / 아라 = 137
3) 반말을 이용한 감탄법 문장종결형 : -어 / 아 = 138
4) 합성형을 이용한 감탄법 문장종결형 = 139
(1) -ㄹ걸 = 139
(2) -노라 = 140
3.3.3. 감탄법과 문장종결형의 관계 = 140
3.4. 의문법 = 141
3.4.1. 의문법의 의미 = 142
1) 기존 연구의 검토 = 142
2) 담화상에서 본 의문법의 의미 = 144
3.4.2. 의문법 문장종결형 = 146
1) 의문법 문장종결형 선정에 관련한 몇 가지 문제 = 146
2) 종결어미를 이용한 의문법 문장종결형 = 150
(1) -냐, -뇨, -니 = 150
(2) -ㄴ가, -ㄴ고, -나 = 152
(3) -오 / 소 = 154
(4) -ㅂ니까 / 습니까 = 155
(5) -ㄹ까 = 156
3) 반말을 이용한 문장종결형 = 157
(1) -어 / 아 = 157
(2) -지 = 158
4) 합성형을 이용한 문장종결형 = 159
(1) -련 = 159
(2) -ㄹ래 = 159
3.4.3. 의문법과 문장종결형의 관계 = 160
제4장 현대국어 문장종결법(2) = 163
4.1. 현대국어 문장종결법(2)의 특징 = 165
4.2. 약속법 = 167
4.2.1. 약속법의 의미 = 167
1) 기존 연구의 검토 = 167
2) 담화상에서 본 약속법의 의미 = 168
4.2.2. 약속법 문장종결형 = 171
1) 약속법 문장종결형의 선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172
2) 종결어미를 이용한 약속법 문장종결형 = 173
(1) -마 = 173
(2) -ㅁ세 = 174
3) 반말을 이용한 약속법 문장종결형 : -어 / 아 = 174
4) 합성형을 이용한 약속법 문장종결형 = 175
(1) -리다, -오리다 = 175
(2) -ㄹ게 = 176
4.2.3. 약속법과 문장종결형의 관계 = 176
4.3. 허락법 = 177
4.3.1. 허락법의 의미 = 177
1) 기존의 연구 = 177
2) 담화상에서 본 허락법의 의미 = 180
4.3.2. 허락법 문장종결형 = 184
1) 허락법 문장종결형 선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185
2) 종결어미를 이용한 허락법 문장종결형 = 186
(1) -려무나, -려마, -렴 = 186
(2) -구려 = 187
3) 반말을 이용한 허락법 문장종결형 : -어 / 아 = 188
4.3.3. 허락법과 문장종결형의 관계 = 188
4.4. 경계법 = 189
4.4.1. 경계법의 의미 = 189
1) 기존 연구의 검토 = 189
2) 담화상에서 본 경계법의 의미 = 190
4.4.2. 경계법 문장종결형 = 193
1) 경계법 문장종결형의 선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194
2) 종결어미를 이용한 문장종결형 = 195
(1) -ㄹ라 = 195
(2) -리 = 196
3) 반말을 이용한 문장종결형 : -어 / 아 = 197
4) 합성형을 이용한 경계법 문장종결형 : -리다 = 198
4.4.3. 경계법과 문장종결형의 관계 = 198
4.5. 명령법 = 199
4.5.1. 명령법의 의미 = 199
1) 기존 연구의 검토 = 199
2) 담화상에서 본 명령법의 의미 = 199
4.5.2. 명령법 문장종결형 = 203
1) 명령법 문장종결형의 선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204
2) 종결어미를 이용한 명령법 문장종결형 = 207
(1) -어 / 아라, -거라, -너라, -여라 = 207
(2) -게 = 208
(3) -오, -소 = 209
(4) -ㅂ시오 = 211
(5) - 소서 = 211
(6) -라 = 212
3) 반말을 이용한 명령법 문장종결형 = 213
(1) -어 / 아 = 213
(2) -지 = 213
4) 연결 어미를 이용한 명령법 문장종결형 : -도록 = 214
5) 합성형을 이용한 명령법 문장종결형 = 215
(1) -엇 / 앗 = 215
(2) -ㄹ것 = 215
4.5.3. 명령법과 문장종결형의 관계 = 216
4.6. 공동법 = 217
4.6.1. 공동법의 의미 = 217
1) 기존 연구의 검토 = 217
2) 담화상에서 본 공동법의 의미 = 218
4.6.2. 공동법 문장종결형 = 222
1) 공동법 문장종결형의 선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223
2) 종결어미를 이용한 공동법 문장종결형 = 224
(1) -자, -자꾸나 = 224
(2) -세 = 226
(3) -ㅂ시다 = 226
3) 반말을 이용한 공동법 문장종결형 = 227
(1) -아 / 어 = 227
(2) -지 = 227
4.6.3. 공동법과 문장종결형의 관계 = 229
제5장 결론 = 231
5.1. 현대국어 문장종결법의 의미 특성 = 233
5.2. 현대국어 문장종결법과 문장종결형의 관계 = 235
5.3. 남는 문제 = 236
참고문헌 = 239
찾아보기 =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