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서문 = ⅰ
감사의 글 = ⅸ
편집장 서문 = ◆UFFFD◆
서론 = ⅹⅴ
제1부 모형
제1장 번역의 전망과 배경 = 3
1.1 번역이란 무엇인가? = 5
1.1.1 상당어구 : 의미적·문체적 상당어구 = 7
1.1.2 번역의 규칙들 : 기술과 규범 = 13
1.1.3 번역의 과정과 결과 = 17
1.1.4 요약 = 18
1.2 번역자란 무엇민가? = 19
1.2.1 기억, 의미, 언어 = 21
1.2.2 의사소통 과정 = 24
1.2.3 번역 과정 = 27
1.2.4 요약 = 29
1.3 번역 이론이란 무엇인가? = 29
1.3.1 이론, 모형, 유추 = 31
1.3.2 번역 이론의 조건들 = 36
1.3.3 방법론 : 번역의 탐구 = 39
1.3.4 요약 = 43
1.4 결론 = 44
제2장 번역하기 : 번역 과정의 모형화 = 46
2.1 번역자의 지식과 기술 = 47
2.1.1 이상적인 이중인어 능력 = 51
2.1.2 전문성 = 52
2.1.3 의사 소통 능력 = 55
2.1.4 요약 = 57
2.2 번역하기 : 모형화 = 59
2.2.1 모형의 구성소와 과정 = 59
2.2.2 분석 = 61
2.2.2.1 통사 분석 = 61
2.2.2.2 의미적 분석 = 71
2.2.2.3 화용적 분석 = 73
2.2.3 통합 = 78
2.2.3.1 화용적 통합 = 78
2.2.3.2 의미 통합 = 80
2.2.3.3 통사 통합 = 80
2.2.4 요약 = 81
2.3 번역 과정의 이용 = 81
2.3.1 분석 : 원문 텍스트 읽기 = 83
2.3.1.1 텍스트 = 83
2.3.1.2 절차 = 84
2.3.2 번역의 준비 = 91
2.3.3 통합 : 목표 언어의 텍스트로 쓰기 = 95
2.3.4 요약 = 101
2.4 결론 = 102
제2부 의미
제3장 단어 의미와 문장 의미 = 109
3.1 단어의미 : 세가지 접근법= 110
3.1.1 지시 이론 = 111
3.1.2 성분 분석 = 115
3.1.3 의미 공준 = 121
3.1.4 요약 = 127
3.2 분류 사전 = 127
3.2.1 어휘장과 의미장 = 130
3.2.2 외연과 함축 = 132
3.2.3 의미 차연 = 135
3.2.4 요약 = 138
3.3 문장 의미 = 139
3.3.1 단어와 문장 = 140
3.3.2 발화, 문장, 명제 = 144
3.3.3 상황, 맥락, 담화 세계 = 149
3.3.3.1 발화의 근접 상황 = 150
3.3.3.2 발화 맥락 = 151
3.3.3.3 담화 세계= 153
3.3.4 요약 = 154
3.4 결론 = 155
제4장 논리학, 문법, 수사학 = 157
4.1 인지적 의미, 개념적 기능, 타동성 = 165
4.1.1 의사 소통의 참여자와 사건 과정 = 165
4.1.2 상황 = 170
4.1.3 논리와 번역자 = 174
4.1.4 요약 = 179
4.2 상호작용적 의미, 대인적 의미, 서법 = 180
4.2.1 소통적 교환과 절의 선택= 184
4.2.2 연쇄와 선택 : 어구의 선택 = 191
4.2.2.1 어구 수군에서의 다빈도 구조 저장소 = 193
4.2.2.2 명사구 내의 수식어 순서 = 194
4.2.3 문법과 번역자 = 196
4.2.3.1 형용어구의 순서 짓기 = 196
4.2.3.2 양상(Modality) = 197
4.2.4 요약 = 199
4.3 담화적 의미, 텍스트 기능, 주제 체계 = 200
4.3.1 정보의 조직 : 텍스트 구조 = 202
4.3.2 주제화 = 204
4.3.2.1 무표 주제 = 206
4.3.2.2 유표 주제 = 207
4.3.2 절의 연결 : 텍스트 응집 = 210
4.3.3 수사학과 번역자 = 212
4.3.4 요약 = 214
4.4 결론 = 215
제5장 텍스트와 담화 = 217
5.1 텍스트성의 기준 = 220
5.1.1 응집과 코히어런스 = 222
5.1.2 의도성과 수용성 = 225
5.1.3 정보성, 관련성, 텍스트 상호성 = 226
5.1.4 요약 = 232
5.2 화행과 협동 원리 = 234
5.2.1 구성 요소와 규칙들 = 236
5.2.2 간접 화행 = 241
5.2.3 협동 원리 = 246
5.2.4 요약 = 250
5.3 담화 매개 변수 = 251
5.3.1 경향 = 253
5.3.1.1 형식성 = 254
5.3.1.2 공손함 = 255
5.3.1.3 비인격성 = 256
5.3.1.4 접근 가능성 = 256
5.3.2 방법 = 257
5.3.2.1 통로 제한 = 257
5.3.2.2 자발성 = 258
5.3.2.3 참여 = 259
5.3.2.4 개인성 = 260
5.3.3 담화 영역 = 261
5.3.3.1 전통적인 모형 = 261
5.3.3.2 야콥슨의 여섯 가지 기능 모형 = 262
5.3.4 요약 = 267
5.4 결론 = 268
제3부 기억
제6장 텍스트 처리 과정 = 273
6.1 텍스트 유형들 = 274
6.1.1 형식적 유형들 = 276
6.1.2 기능적 유형들 = 277
6.1.3 텍스트 유형, 형태, 샘플들 = 278
6.1.4. 요약 = 280
6.2 텍스트 처리와 지식 = 280
6.2.1 통사적 지식 = 281
6.2.2 의미론적 지식 = 283
6.2.3 화용적 지식 = 285
6.2.4 요약 = 288
6.3 텍스트 처리 과정의 기능들 = 288
6.3.1 문제-해결과정과 텍스트-처리 과정 = 292
6.3.1.1 텍스트 처리 과정 = 294
6.3.2 종합 : 쓰기 = 300
6.3.3 분석 : 읽기 = 304
6.3.4 요약 = 309
6.4 결론 = 310
제7장 정보, 지식, 기억 = 313
7.1 인간 정보 처리 = 315
7.1.1 세 단계 = 316
7.1.2 세 가지 과정 = 320
7.1.2.1 상향식 처리 과정 = 320
7.1.2.2 하향식 처리 과정 = 321
7.1.2.3 상호작용 처리 = 321
7.1.3 다섯 가지 디몬 = 321
7.1.3.1 이미지 디몬 = 324
7.1.3.2 자질 디몬 = 324
7.1.3.3 인지 디몬 = 325
7.1.3.4 결정 디몬 = 326
7.1.3.5 감독 디몬 = 326
7.1.4 요약 = 327
7.2 지식 = 328
7.2.1 개념적 범주와 기재 항목들 = 330
7.2.1.1 논리적 기재 항목 = 332
7.2.1.2 어휘적 기재 항목 = 333
7.2.1.3 사전적 기재 항목 = 334
7.2.2 사전적 기재 항목 = 335
7.2.3 스키마 = 340
7.2.4 요약 = 347
7.3 기억 체계 = 348
7.3.1 일화적 기억과 개념적 기억 = 349
7.3.1.1 일화적 기억 = 349
7.3.1.2 개념적 기 억 = 350
7.3.2 호칭 체계 = 351
7.3.3 기억 검색 = 353
7.3.3.1 제1단계 : 질문을 처리하지 전단계 = 354
7.3.3.2 제2단계 : 데이터 베이스 접근 = 357
7.3.3.3 제3단계 : 대답 찾기 = 359
7.3.4 요약 = 360
7.4 결론 = 360
맺음말 = 362
부록 = 364
참고문헌 = 370
용어대조표 = 390
찾아보기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