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1. 연구의 범위 = 3
2. 연구방법 = 5
제2장 주민참여와 지역NGO = 9
제1절 주민참여에 관한 이론적 고찰 = 9
1. 주민참여의 필요성 = 9
2. 주민참여형태의 변화 = 13
3. 주민참여의 단계 = 14
4. 주민참여의 유형 = 17
5. 주민참여 저해 요인 = 22
제2절 NGO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4
1. NGO의 개념 = 24
2. NGO의 특징 = 26
3. NGO활동의 확대배경 = 27
4. NGO의 필요성 = 29
제3절 정부와 NGO의 협력이론 = 30
1. 민·관 파트너쉽에 의한 공동생산(co-production)이론 = 30
2. 제3섹터 이론 = 36
3. 정부와 NGO간의 파트너쉽 유형 = 43
제4절 지방자치단체와 지역NGO의 관계분석 = 46
1. 지방자치단체와 지역NGO의 관계 = 46
2. 지방자치단체와 지역NGO의 협력관계 형성 = 51
3.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NGO의 관계 = 55
4.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과정에서 지역NGO의 영향 = 61
제3장 지역NGO의 일반적 현황과 문제점 = 67
제1절 우리 나라 NGO의 현황 = 67
1. 우리 나라 NGO의 일반적 현황 = 67
2. NGO에 대한 정부지원 현황 = 70
제2절 지역NGO의 현황과 문제점 = 76
1. 지역NGO의 최근 활동경향 = 76
2. 사례지역 NGO의 일반적 현황 = 82
3. 문제점 = 107
제4장 지역NGO의 정책참여와 협력사업 실태분석 = 112
제1절 분석틀 = 112
1. 분석설계의 방향 = 112
2. 조사방법 및 분석내용 = 113
제2절 지역NGO의 정책참여 현황 및 문제점 = 118
1. 지역NGO의 지방정책참여의 일반적 현황 = 118
2. 사례지역분석 = 121
3. 지역NGO의 정책참여과정상의 문제점 = 145
제3절 지역NGO의 협력사업 실태분석 = 155
1. 지역NGO와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사업 개요 = 155
2. 지역NGO와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사업 사례분석 = 158
3. 지역NGO와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사업의 문제점 = 171
제5장 외국의 지역NGO 정책참여 사례 = 179
제1절 미국 지역NGO의 정책참여사례 = 179
1. 지역NGO의 정책참여 역사 = 179
2. 정책참여사례(BID) = 180
제2절 일본 환경관련 지역NGO의 정책참여 사례 = 184
1. 환경관련 지역NGO의 현황 = 184
2. 일본 환경관련 지역NGO의 정책참여 사례 = 184
1. 환경관련 지역NGO의 현황 = 184
2. 橫浜 쓰레기를 생각하는 연락회 = 186
3. 豊島(토시마)區「東池袋4·5目지구 마을 가꾸기 추진협의회」 = 188
제3절 호주 환경관련 지역NGO의 정칙참여 사례 = 190
1. 수질감시 프로그램의 개요 = 190
2. 수질감시 프로그램의 목표 = 191
3. 수질감시 활동의 단계 = 192
4.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수질감시활동 결과의 공유 = 193
제4절 시사점 = 193
제6장 지역NGO의 지방자치단체 정책참여 강화방안 = 195
제1절 기본방향 = 195
1. 민·관 파트너쉽의 강화 = 195
2. 지역NGO활동을 통한 주민참여의 강화 = 198
제2절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의 지역NGO 지원강화 = 202
1. 지역NGO에 대한 법적·행정적 지원체제의 강화 = 202
2. 지역NGO에 대한 재정지원 확대 = 204
3. 행정정보의 공개확대 = 207
4. 공무원의 의식전환 = 210
제3절 지역NGO의 지방자치단체 정책참여 확대 = 211
1. 지역NGO운영의 건전화 = 211
2. 지방자치단체 - 지역NGO 상설 협의체의 구성 = 215
3. 주민자치단체를 통한 정책참여의 강화 = 217
4. 지역NGO활동가의 전문성 강화 = 219
5. 지역NGO간의 교류확대 = 220
제4절 지역NGO와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사업 강화 = 222
1. 공동생산 방식 활용 : 환경부문을 중심으로 = 222
2. 지방자치단체 지역NGO담당부서의 신설·확대 = 224
3. 지역NGO 공동사무실 설치 = 225
4. 협력사업의 확대 = 225
5. 일반시민의 참여기회 확대 = 226
제7장 요약 및 결론 = 229
【참고문헌】 = 245
【Abstract】 = 249
【부록】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