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45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696349 | |
005 | 20100806093410 | |
007 | ta | |
008 | 010226s2000 ulka 001a kor | |
020 | ▼a 8976440889 ▼g 93350 : ▼c \13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75202 ▼f 개가 ▼l 111175203 ▼f 개가 ▼l 111175204 ▼f 개가 |
082 | 0 4 | ▼a 351 ▼2 21 |
090 | ▼a 351 ▼b 2000e | |
245 | 0 0 | ▼a 뉴 거버넌스 연구 / ▼d 김석준...[등저]. |
260 | ▼a 서울 : ▼b 대영문화사 , ▼c 2000. | |
300 | ▼a 345 p. : ▼b 삽도 ; ▼c 26 cm. | |
490 | 0 0 | ▼a 뉴 거버넌스 연구소 연구총서 |
504 | ▼a 참고문헌(p.308-337)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석준 ▼0 AUTH(211009)9534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51 2000e | 등록번호 11117520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00e | 등록번호 1111752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00e | 등록번호 1111752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 2000e | 등록번호 151113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 2000e | 등록번호 1511131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51 2000e | 등록번호 11117520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00e | 등록번호 1111752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00e | 등록번호 1111752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 2000e | 등록번호 151113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 2000e | 등록번호 1511131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석준(지은이)
<뉴 거버넌스 연구>
곽진영(지은이)
<뉴 거버넌스 연구>
이선우(지은이)
<뉴 거버넌스 연구>
문병기(지은이)
•학력:서울대학교(정치학 학사) University of Akron(행정학 석사) Ohio State University(정책학 박사) •경력:행정고등고시․입법고등고시 출제위원 행정자치부 정책자문위원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고문 한국이민정책학회 회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무처장․기획처장 외 다수 •현재: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저술:「체류외국인 사회통합교육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2017, 제31권 1호) 「사회적 기업의 성과평가체계 구축: B–Corporation 평가인증체계의 한국적 적실성 검증과 연계」, 『한국행정학보』(2015, 제49권 1호) 『콤무니타스 이코노미:모두를 위한 경제는 어떻게 가능한가』(공역, 2020, 북돋움출판협동조합) 『신 지방의회론』(공저, 2019, 박영사) 외 다수

목차
목차 책머리에 = 3 여는 장 = 19 제1부 거버넌스의 이론과 접근 제1장 거버넌스의 개념과 이론의 전개 : 다접근성과 다차원성 = 31 제1절 머리말 = 31 제2절 거버넌스 이론의 등장배경과 패러다임 변화 = 33 1. 등장 배경 = 33 2.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거버넌스의 대두 = 37 3. 통치와 정부에서 거버넌스로의 패러다임 전환 = 38 제3절 거버넌스의 개념과 이론의 다접근성 = 41 1. 거버넌스 개념과 이론의 다학제간 접근성 = 41 2. 거버넌스 개념과 이론의 정치·사회학적 접근 = 42 3. 거버넌스 개념과 이론의 행정학적 접근 = 46 4. 거버넌스 개념과 이론의 다접근성 = 48 제4절 거버넌스의 개념과 이론의 다차원성 = 48 1. 분석의 단위와 수준의 다차원성 = 48 2. 정의의 다차원성 : 인식론과 기능적 측면 = 50 제5절 거버넌스의 개념과 이론의 전개 = 52 1. 시대별 거버넌스 이론의 전개 = 52 2. 한국에서의 거버넌스 연구 = 55 3. 거버넌스 이론의 분석적인 접근 = 57 제6절 거버넌스 이론의 한계와 과제 = 57 1. 개념의 혼란과 극복문제 = 57 2. 이론적 다양성과 이질성의 극복문제 = 58 3. 뉴 거버넌스를 위한 연구과제 = 60 제2장 국가중심 거버넌스 이론 = 61 제1절 이론적 배경 = 61 1. 국가유형과 거버넌스 = 61 2. 국가중심 거버넌스의 원리 = 62 3. 국가중심 거버넌스이론의 유형 = 63 제2절 신공공관리론 = 63 1. 내용 = 63 2. 평가 = 64 3. 신공공관리론과 거버넌스 = 65 제3절 Osborne과 Gaebler의 기업가적 정부와 거버넌스 = 65 1. 전통적 행정과 기업가적 거버넌스의 비교 = 65 2. 11가지 세부 내용 비교 = 66 제4절 좋은 거버넌스 = 67 1. 내용 = 67 2. 세 가지 차원의 의미 = 68 제5절 신축적 정부모형의 거버넌스 = 69 1. Guy Peters의 네 가지 정부모형 = 69 2. 내용 = 70 제6절 탈규제적 정부모형 = 71 1. 내용 = 71 2. 평가 = 73 제7절 경쟁국가론 = 74 1. 세계화와 국가의 경제개입 기능 증대 = 74 2. 경쟁국가의 세 가지 변화 = 74 3. 국가자본주의와 경쟁국가 = 75 4. 경쟁국가의 거버넌스 = 76 제8절 조종국가 = 76 1. 체제이론, 네트워크 체제 및 조종국가 = 76 2. 신조합주의와 조종국가 = 77 3. 조종국가와 거버넌스 = 78 제9절 맺는 말 = 78 제3장 시민사회중심 거버넌스 = 80 제1절 이론적 배경 = 80 1. 대리인체제의 실패와 거버넌스의 대두 = 80 2. NGO에 의한 시민사회의 새로운 대리인 모형 = 81 제2절 시민사회 중심 거버넌스의 기본 원리 : 참여주의와 공동체주의 = 82 1. 참여주의 = 82 2. 대리인 체제인 대의제 민주주의의 위기와 담론적 정책결정 = 83 3. 공동체주의 = 84 제3절 시민사회 중심 거버넌스이론의 유형 = 85 1. 국가형과 시민 중심 거버넌스 = 85 2. 사회 - 사이버네틱(인공지능) 체제이론 또는 사회 정치 거버넌스 이론 = 86 3. 자기조직적 네트워크이론 = 88 4. 법인 거버넌스 = 90 5. 참여적 정부모형의 거버넌스 = 91 제4절 시민사회 중심 거버넌스의 평가 = 92 제4장 시장 중심 거버넌스 이론 = 94 제1절 자본주의의 세계화와 세계자본주의체제의 질적 심화 = 94 제2절 시장 중심 거버넌스의 원리 : 시장주의 = 95 제3절 시장 중심 거버넌스의 유형 = 96 1. 시장적 정부모형 = 96 2. 최소국가론 = 98 제4절 시장 중심 거버넌스의 평가 = 99 제5절 시장, 국가 및 시민사회 중심 거버넌스의 공통성 = 100 1. 개념적 공통성 = 100 2. 거버넌스 이론의 공통점 = 100 제5장 거버넌스의 이론적 접근 = 104 제1절 합리제도주의이론과 거버넌스 = 104 1. 등장 배경고 이론적 특성 = 105 2. 쟁점과 관련 이론 = 107 3. 합리제도주의와 거버넌스 = 111 제2절 총체주의적 접근이론과 거버넌스 = 112 1. 역사제도주의이론 = 112 2. 사회학적 신제도주의이론 = 114 3. 총체주의적 접근과 거버넌스 = 115 제3절 레짐이론과 거버넌스 = 116 1. 레짐이론의 배경과 전개 = 116 2. 레짐이론의 특성과 쟁점 = 119 3. 레짐이론과 거버넌스 = 120 제4절 신공공관리론과 거버넌스 = 121 1. 신공공관리론의 대두 배경 = 122 2. 신공공관리론의 유형 = 123 3. 신공공관리론의 쟁점 = 124 4. 신공공관리론과 거버넌스 = 127 제5절 네트워크 이론과 거버넌스 = 128 1. 네트워크이론의 개념과 대두 배경 = 128 2. 공공정책 네트워크론의 쟁점 = 130 3. 네트워크이론과 거버넌스 = 132 제6장 거버넌스의 범위 및 수준 = 134 제1절 글로벌 거버넌스 = 135 제2절 리저널 거버넌스 = 137 제3절 내셔널 거버넌스 = 139 제4절 로컬 거버넌스 = 140 제5절 사이버 거버넌스 = 144 제2부 뉴 거버넌스의 내용와 주요 이슈 제7장 한국사회 뉴 거버넌스의 내용과 주요 이슈 = 149 제1절 거버넌스 이론의 평가 = 149 1. 거버넌스의 이론성 문제 = 149 2. 거버넌스 이론 분석의 세 가지 접근이론 = 150 3. 분석 모형 = 151 제2절 한국사회 뉴 거버넌스 모형의 도출 및 비교 = 153 1. 독립형 = 153 2. 연립병존형 = 155 3. 네트워크형 = 156 4. 한국적 모형의 선택 = 156 제3절 국가 차원의 뉴 거버넌스 모색 = 157 1. 기존 거버넌스 이론의 한계와 뉴 거버넌스의 모색 = 157 2. 한국에서의 민주주의·자본주의·관료주의 관계 = 158 3. 한국 국가의 역사적 맥락과 선택 = 159 4. 국가 차원의 뉴 거버넌스의 방향 = 161 5. 균형네트워크모형에 따른 뉴 거버넌스 = 161 제4절 정부 차원과 행정관리 차원의 뉴 거버넌스의 모색 = 164 1. 정부 차원의 뉴 거버넌스 = 164 2. 행정관리 차원의 뉴 거버넌스 = 165 3. NGO·Cyber국가·전자정부를 이용한 뉴 거버넌스 = 166 제5절 국가자산으로서의 신뢰와 뉴 거버넌스 = 167 1. 국가자산으로서의 신뢰 = 167 2. 신뢰의 확립과 뉴 거버넌스 = 168 제6절 맺는 말 = 169 제8장 뉴 거버넌스와 새로운 정부 역할의 조명 = 173 제1절 거버넌스 개념의 시대적 배경과 전환 = 173 1. 행정환경의 영향 = 173 2. 대중행정에서 맞춤행정으로의 전환 = 175 제2절 거머넌스와 초우량 행정관리 그리고 신자유주의 = 180 1. 신관리주의 와 신자유주의 = 180 2. 신자유주의의 초우량행정관리 = 182 제3절 거버넌스와 신공공관리 = 184 1. 목표의 명확화 = 186 2. 성과 향상 = 187 3. 통제 위치의 전환 = 189 4. 목적 달성 수단의 제고 = 190 제4절 거버넌스와 행정서비스 마케팅 = 191 1. 행정서비스 마케팅의 개념 = 191 2. 행정서비스 마케팅의 철학 = 195 제5절 거버넌스와 갈등관리 = 198 1. 갈등관리의 중요성 = 198 2. 갈등관리의 개념과 종류 = 202 제6절 뉴 거버넌스 : 조정·연결·사이버넌스 = 205 1. 가치갈등의 해소 = 208 2. 인력관리정보체계의 확립 = 218 3. 업무관리정보체계의 확립 = 221 제7절 맺는 말 = 224 제9장 뉴 거버넌스와 주요 이슈·행위 주체 = 226 제1절 거버넌스의 주요 이슈와 행위 주체에 대한 접근 = 226 1. 거버넌스 개념의 등장 배경 = 226 2. 이슈와 행위 주체의 선정을 위한 전제 = 227 제2절 거버넌스의 주요 이슈 = 230 1. 주요 이슈와 적용 차원 = 230 2. 거버넌스의 주요 이슈 = 234 제3절 거버넌스의 주요 행위 주체 = 247 1. 행위 주체의 분류와 주요 활동 범주 = 247 2. 행위 주체의 관심과 자원 및 상호작용의 유형 = 249 제4절 사이버 공간에서의 거버넌스 = 276 제10장 뉴 거버넌스와 국가혁신 = 279 제1절 뉴 거버넌스와 국가혁신의 필요성 = 279 제2절 뉴 거버넌스에 따른 국가혁신, 정부혁신 및 행정관리혁신 = 280 1. 국가혁신 = 280 2. 정부혁신과 정부관리혁신 = 283 제3절 뉴 거버넌스를 위한 국가혁신과 정부개혁 프로그램 = 284 1. 국가혁신의 목료로서의 21세기 한국의 국가상 = 284 2. 국가, 시민사회 및 기업과의 관계 재정립 = 287 3. 세계체제와 국가간의 관계 재정립 = 291 4. 국가혁신과 국가기관간의 관계 조정 = 293 제4절 정부혁신과 정부개혁 프로그램 = 295 1. 국가재창조를 위한 정부의 기능과 역할의 변화 = 295 2. 정부조직 개편의 장기적 방향 = 296 3. 국가기구의 근본적인 변화와 정부조직 개편의 기본 방향 = 297 4. 정부조직의 기본 성격 재정립 = 297 제5절 정부관리혁신과 정부개혁 프로그램 = 299 1. 정부관리혁신 = 299 2. 전자정부와 첨단국가 = 300 3. 정부산하기관 개혁 방안 = 301 4. 정책과정별 공공관리혁신 방안 = 301 제6절 맺는 말 = 303 닫는 장 = 305 참고 문헌 = 308 찾아보기 =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