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언어학에서의 의미론
1. 의미론의 개념 = 9
2. 의미론과 기호론 = 11
3. 의미론 정의의 세 가지 문제점 = 12
4. 문법모형상의 의미론 = 13
5. 몇 가지 가설 = 16
제2장 의미·사고·실제
1. 지시적 접근과 표시적 접근 = 25
2. 지시 = 27
3. 의미 이론으로서의 지시 = 31
4. 심리적 표상 = 33
제3장 단어와 의미
1. 단어와 문법범주 = 41
2. 단어와 어휘목록 = 42
3. 단어 의미의 고정화 = 46
4. 어휘관계 = 50
5. 파생관계 = 58
제4장 문 관계와 진리치
1. 화자의 지식 = 63
2. 논리와 진리치 = 64
3. 필연적 진리치와 분석적 진리치 = 71
4. 함의 = 74
5. 전제 = 76
제5장 문 의미론Ⅰ : 상황
1. 상황분류 = 87
2. 서법성과 증거 = 99
제6장 문 의미론Ⅱ : 참여자
1. 의미역 = 105
2. 의미역과 문법관계 = 112
3. 의미역 격자와 동사 = 114
4. 의미역의 문제점 = 116
5. 의미역의 규명 = 119
6. 수동태 = 123
제7장 맥락과 추론
1. 직시체계 = 129
2. 맥락과 지시 = 133
3. 문맥으로서의 지식 = 135
4. 정보구조 = 141
5. 추론 = 144
6. 대화함축 = 146
제8장 언어기능 : 화행
1. 화행개념 = 151
2. 수행문 = 155
3. 적절조건 = 157
4. 언표내적 행위 분류 = 162
5. 직접화행과 간접화행 = 165
제9장 의미성분
1. 성분분석과 어휘관계 = 173
2. Katz의 의미이론 = 175
3. 문법규칙과 의미성분 = 180
4. 의미성분과 결합유형 = 189
5. Jackendoff의 개념구조 = 191
제10장 형식 의미론
1. 영어와 상위언어 = 205
2. 논리적 의미론 = 215
3. 문의 진리가 확인 = 219
4. 내포성 = 222
5. 단어의미 : 의미공존 = 229
제11장 인지 의미론
1. 인지 의미론의 개념 = 233
2. 은유 = 234
3. 이미지 도식 = 243
4. 다의성 = 248
5. 심리적 공간 = 256
6. 장면(상황) 해석 = 266
인명색인 = 273
용어색인 = 275
참고문헌 = 279